나사의 회전 세계문학의 숲 6
헨리 제임스 지음, 정상준 옮김 / 시공사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종일관 눈앞에 유령이 보인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당신은 그 사람의 말을 믿고 함께 동요할 것인가? 아니면 그 사람이 환각을 보았다고 간주하고 유령의 존재를 부정할 것인가?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범위는 이 정도쯤일 것이다. 나는 헨리 제임스의 『나사의 회전』을 전자와 후자의 두 입장에서 한 장 한 장 읽어 나갔었다.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작가 헨리 제임스는 작품 초반에는 전자의 입장으로, 중반이 넘어선 이후에는 후자의 입장으로 능수능란하게 나를 이끌고 있었다.

시골의 한 저택에 젊고 아름다운 가정교사가 고용되었다. 부모가 죽고 남겨진 아이들을 돌보기 위해서 보내진 것이다. 조용한 저택은 아이들과 가정교사, 그리고 몇 명의 하인들이 기거하게 되었다. 가정교사는 예쁘고 착한 어린 두 남매와 금세 친밀해진다. 또한 하인들의 우두머리인 그로스 부인과도 믿고 의지하는 사이가 된다. 아무 문제가 없을 것 같았던 여교사의 일상에 어느 날부터 유령이 나타난다. 탑 위, 창문 너머, 정원, 호숫가에서 시시각각으로 나타나는 유령은 하나가 아닌 둘이었다. 그녀의 평화로운 일상은 유령들의 등장으로 점점 파괴되어간다. 그동안 착한 아이들이였던 남매가 더 이상 착하게 보이지 않았고, 믿었던 그로스 부인도 의심스럽다. 도대체 유령은 왜 나타나는 건지 알 수 없지만 여교사는 유령으로부터 아이들을 지켜야 한다고 결심한다. 그리고 유령의 존재를 파헤치기 시작한다.

『나사의 회전』은 읽는 이에게 친절한 작품이 아니다. 게다가 작가는 이 점을 십분 활용하고 있다. 매번 출몰하는 유령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호한 존재로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화자는 주인공인 가정교사, 즉 1인칭 시점으로 풀어내고 있다. 독자는 오직 그녀의 심리상태와 그녀가 보고 들은 단서들로만 유령을 추측해야하며 이야기를 간파해야 한다. 때문에 독자는 가정교사와 함께 유령의 존재를 맞닥들이다가 나중에는 그녀의 정신 상태를 의심하게 된다. 하지만 그녀를 끝까지 의심할 수 없다는 데에서 읽는 이는 혼란스러워진다.

헨리 제임스의 문체는 매우 섬세하다. 『나사의 회전』은 여교사, 단 한명의 변화되는 사고와 심리의 흐름으로 진행된다. 작가는 철저하게 인물과 동화되도록 의식의 흐름을 풀어내고 있다. 그래서 독자는 작가의 바람대로 마지막 장을 덮을 때까지 생각하고 또 생각하게 된다. 작가 혼자서만 고민하고 표현된 결과물을 그저 받아들이는 형태의 책 읽기에 익숙한 요즘 독자들에게 이 작품은 불친절한 작품이다. 하지만 독자도 작가의 고민에 참여할 수 있게 도와주는 『나사의 회전』은 두고두고 곱씹어 볼 수 있는 능동적인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