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박물관 1 민음사 모던 클래식 27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오르한 파묵은 한 여인을 향한 한 남자의 처절한 집착에 가까운 사랑을 "순수"라고 규정하였다. 『순수 박물관』을 펼치고 있는 매순간마다 오르한 파묵의 "순수 규정"에 대해 수긍해야할지 말아야할지 고민이 되었다. 『순수 박물관』은 사랑하는 여인만을 갈망하는 한 남자의 이야기이다.

주인공 케말은 부유층출신으로 아름다운 약혼녀가 있는 자타공인 행복한 남자이다.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만나게 된 먼 친척 퓌순에게 한순간 마음을 뺏겨버린다. 약혼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케말은 퓌순과의 금지된 사랑을 시작하게 된다. 그러면서 그는 예전보다 더욱 행복한 남자가 되었다. 하지만 자신의 약혼식날 이후로 사랑하는 퓌순은 종적를 감쳐버린다. 이 순간부터 케말의 인생목표는 퓌순의 자취를 찾는 것으로 급수정되었다. 한 남자의 일상은 양 손에 떡을 쥔 아이처럼 연애 따로, 결혼 따로의 행복을 만끽하다가 연애대상이 사라진 이후 엉망진창이 되어버렸다. 그리고 케말의 퓌순 찾기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시간이 아무리 많이 흘러도 영원히 회자될 화두인 "사랑"에 관한 이야기를 오르한 파묵에 의해서 창조되었다는 소식을 접한 순간부터 나는 『순수 박물관』에 대해서 많은 기대를 품었다. 그리고 이 작품을 마주했었다. 하지만 이 작품은 나의 기대를 저버린 작품으로 기억될 것 같다. 간단히 말하자면 『순수 박물관』은 마치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통속극의 불륜 드라마와 비슷한 내용이다. 나는 『순수 박물관』을 읽기 시작하면서 초반에는 이 작품이 진정 오르한 파묵의 작품인지를 여러 번 확인해 보아야만 했다. 처절함의 한계를 훌쩍 넘어선 남자의 사랑이야기는 어떠한 공감도 얻어내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씁쓸한 실소만을 자아내게 한다. 물론 내용과는 무관하게 오르한 파묵의 문체는 아주 매력적이었다. 주인공의 섬세한 심리묘사와 단순한 이야기를 힘있게 이끌어가는 그의 필력은 여전히 건재하였다. 그의 필력과 문체가 있었음에 끝까지 읽어낼 수 있었다고 하여도 과장이 아닐 것이다. 또한 1970년대 터키 이스탄불을 배경으로 그 당시 터키의 사회 문화적인 사고방식을 자연스럽게 담고 있어 터키인들의 사고를 엿보고 우리와 비교해보는 재미도 빠뜨릴 수 없는 부분이다.

어린아이는 순수하다. 순수하기에 한없이 잔인하다고 하는 이들도 있다. 나는 케말이 보여준 사랑을 어린아이의 '잔인한' 순수로 정의하고 싶다. 자신의 사랑에만 순수하게 열중하고 있었기에 그는 약혼녀와 퓌순에게 상처를 주었다. 특히 약혼녀 시벨에게는 더욱 잔인한 기억을 남겨주었다. 작가는 케말의 사랑을 근원적인 사랑이라고 말하고 있었지만 나는 그의 사랑이 오직 원초적인 본능에 의한 감각적인 사랑으로밖에 보이지 않았다. 아무래도 이 작품은 사랑에 대한 입장에 따라 호불호가 극단적으로 갈릴 것이라 예상된다. 오르한 파묵은 "나는 이 소설로 기억될 것이다.", 라고 말했다. 하지만 나는 『순수 박물관』이 독자의 기억 저편너머에 머무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