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8 제너시스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7
버나드 베켓 지음, 김현우 옮김 / 내인생의책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신의 마음은 당신의 신체 중 어디에 있나요?", 라고 물어온다면 당신은 뭐라고 대답할 것인가?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신의 가슴을 가리킬 것이다. 또는 머리(뇌)에 마음이 있다고 답하는 이도 있을 것이다. 혹여 누군가가 발이나 손에 마음이 위치한다고 주장해도 명백한 논리로 반박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렇듯 인간의 마음은 그 존재나 정의 자체를 정확히 규정지을 수 없는 미지의 세계이다. 과학기술이 아무리 발달할지라도 인간의 사유세계까지 제대로 구현해낼 수 있는 기계의 탄생은 거의 불가능한 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인간과 기계(초고도 인공지능 안드로이드)와의 차이점은 마음의 유무라고 간단하게 선을 그어 구분할 수도 있을 것이다.

『2058 제너시스』는 디스토피아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미래소설이다. 공화국 학술원에 들어가기 위해서 아낙시맨더는 아담 포드에 대해 4시간에 걸쳐서 시험을 치르게 된다. 작가는 시험관과 아낙시맨더의 대화를 통해서 공화국의 탄생, 공화국의 역사와 규칙, 이단아 아담 포드, 기계 아트 등에 대해서 알려준다. 인간과 기계와의 대결구도가 이 작품의 주제이기 때문에 책을 읽기 전에 나는 과학에 관련된 다양한 소재들이 많이 등장할 것이며 그것들을 깊이 다룰 것이라 예상했었다. 하지만 나의 예상은 빗나갔다. 과학적 소재도 종종 등장했지만 결국 『2058 제너시스』는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철학적인 이념이 주된 이야기이다. 작가 버나드 베켓은 인간이 인간으로서 동물․기계와 다른, 인간다움이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주제를 처음부터 끝까지 고민한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이 그랬던 것처럼 작가는 아낙시맨더와 시험관의 문답 형식을 사용하고 있다. 작가가 채택한 문답법의 서술 형태는 마치 영화의 시나리오와도 많이 닮아 있다. 그리고 이는 매 장면들이 눈앞에서 바로바로 구현되는 것 같아 독자로 하여금 아주 생생한 기분이 들게 만들었다. 예를 들어 시험을 보는 아낙시맨더가 시험관 앞에서 쩔쩔 맬 때는 나도 땀이 삐질 흐르는 것 같았고 당당하게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때에는 나도 모르게 쾌재를 부르게 되는, 일종의 나 자신을 아낙시맨더와 동일시하는 체험을 했던 것 같다. 한 편의 영화를 보면서 주인공에게 동화되는 관객이 되어보게 만드는 참으로 영리한 서술이라 하지 않을 수 없었다. 『2058 제너시스』를 읽는 내내 버나드 베켓의 효과적인 서술방식에 감탄했고 이 작품을 더욱 특별하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로 기억되었다.

예전에 사람이 숨을 거두는 순간, 영혼의 무게만큼 몸무게가 몇 그램 정도 감소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이 말이 사실이건 거짓이건 나는 인간이 여타 존재와 구분 지을 수 있는 것은 버나드 베켓이 시종일관 독자에게 말하는 것처럼 마음(사유, 의식)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아담 포드가 기계 아트와 탈옥을 계획하고 자신의 최후를 아트에게 맡겼던 그 순간, 아담의 표정은 인간에 대한 당연하고도 자신만만한 확신이며 작품을 읽는 동안 우리가 매순간 고민하던 문제의 궁극적 해답에 힘을 실어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58 제너시스』의 마지막 반전은 특히 눈여겨봐야할 이 작품의 백미이다. 하지만 앞으로 이 책을 읽을 독자들의 소설적 재미를 위해서 작품의 마지막 반전은 언급하지 않겠다. 다만 『2058 제너시스』가 시류에 편승한 단순한 미래소설이 아니라는 사실을 많은 독자들이 알아주길 바랄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