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 시티 민음사 모던 클래식 17
레나 안데르손 지음, 홍재웅 옮김 / 민음사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우연인지 필연인지 『덕 시티』를 읽는 동안 나는 다이어트를 하고 있었다. 겨우내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내 몸에 생성․침투한 지방 덩어리와의 이별을 위해서 식단 조절에 열중하던 중이었다. 그래서 『덕 시티』를 단순히 관조하는 입장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입장으로 만나게 되었다.

풍요로운 도시, 덕 시티의 국민들은 두 손에 행복을 쥐고 있었다. 하지만 이것도 옛말이 되어버렸다. 이는 대통령이 체지방과의 전쟁을 선포하기 전까지의 행복이다. '작전 에이햅2 - 흰 고래를 찾아서'가 발효되면서 국민들은 매일, 혹은 불시에 자신의 체지방률을 측정 받게 되었다. 만약 기준치를 넘게 되면 산꼭대기 수용소에 갇혀 체지방을 줄여야만 사회로 돌아올 수 있다. '도널드'의 체지방률은 기준치의 범위를 넘어가는 상태이고 수용소에 보내지는 것은 시간문제이다. 도널드의 삼촌, '존'은 덕 시티의 독점 도넛 회사인 'JvA'의 사장이다. 존은 대통령과 가까운 관계이다. 사회에서는 에이햅 작전이 진행되고 있지만 그 이면에서 존은 국가의 허가를 받아 기름에 튀긴 도넛을 무한생산하고 있는 중이다. 덕 시티의 국민들은 이 모순을 비판하기는커녕 'JvA'의 도넛을 정신없이 먹어 치운다. 하지만 대통령, 고위관료, 그리고 'JvA' 사장은 절대 도넛을 먹지 않는다. 기름진 도넛 먹기를 포기하지 않았기에 국민들의 체지방은 점점 증가하고 국가는 흰 고래를 잡으려고 온갖 방법을 내놓고 있는 것이 덕 시티의 현실이다.

비만 때문에 심장수술을 하게 된 도널드는 수술 후에도 어쩔 수 없이 튀긴 음식과 지방이 많은 음식을 먹게 된다. 이 장면은 덕 시티의 모순된 사회구조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체중감량을 외치면서 모든 기관에서, 심지어 병원에서조차 고열량 고지방식단이 공급되는 덕 시티는 무언가 어긋나 있다. 또한 뚱뚱하다는 이유로 교수직에서 해임된 해럴드와 연쇄살인의 희생자들이 존재한다. 단지 허구의 세계라고 치부하기에는 현실의 사건과 비슷해 두려움의 감정이 생기기도 했다. 그리고 덕 시티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작가는 실력과 무관한 가장 마른 사람이다. 이 대목에서는 살을 빼고 인기 스타가 된 모 연예인의 모습이 떠오르기도 했다.

스웨덴 작가 레나 안데르손은 과도한 소비지향적 미국을 풍자해서 『덕 시티』를 탄생시켰다고 한다. 나는 『덕 시티』를 읽으면서 풍자된 대상이 굳이 바다 건너 미국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현재 우리 사회의 모습은 덕 시티와 부정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닮아 있다. 실제로 한때일 것 같았던 '몸짱'열풍은 점점 과열화되고 있으며 이젠 그 끝을 알 수 없게 된 상황이다. 인간의 아름다운 라인을 여성에게만 강요하던 시기도 있었지만 지금은 남성도 체지방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되었다. 처음 '몸짱'열풍은 비만한 여성의 날씬해진 모습에만 초점을 맞췄다. 하지만 최근에는 남성이라면 누구나 복부에 초콜릿을 휴대하라고 강요하는 것으로 초점이 옮겨간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풍요로운 도시였던 덕 시티는 단지 뚱뚱하다는 이유만으로 영혼을 빼앗긴 국민들이 속출하면서 붕괴된다. 우리는 덕 시티의 붕괴를 좌시해서는 안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