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들 땐 그냥 울어
스즈키 히데코 지음, 이정환 옮김, 금동원 그림 / 중앙books(중앙북스) / 2009년 12월
평점 :
절판


몇 주 전, 대기업 부사장이 자신의 아파트에서 몸을 던졌다. 누구나 부러워하고 감히 엄두도 못내는 직업에 출중한 능력을 겸비한 그는 진정 행복하지 않았던 것일까? 인간의 행복은 명예, 돈, 능력 등에 의해서 결정되지 않는 것만은 확실한 것 같다. 인간은 자기 자신의 마음에 따라 행복할 수도 있고 불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힘들 땐 그냥 울어』는 행복의 기운을 불어넣어 주는 작품이다.
아무 생각 없이 책을 펼쳤던 나는 행복한 마음과 감사한 마음으로 책의 마지막 장을 덮었다. 마치 탈무드의 "행복판"이라고 부르고 싶을 정도로 많은 깨달음을 내게 가져다주었다.
인간이 자신을 소중히 여기고 사랑하는 일은 가장 쉬운 일처럼 보이지만 의외로 실천하기 어려운 일이다. 특히 자신의 한계를 넘어선 일을 당한 이들은 스스로를 사랑하는 일을 포기한 채 자신을 책망하고 자기학대에 이르게 된다. '왜 그랬을까? 만약 내가 그런 선택을 하지 않았다면?' 같은 식으로 책망하고, 이미 엎질러진 물을 주워 담고자 무의미하고 끝이 없는 Why?(왜?) 비관론을 펼친다. 이 점에 대해서 『힘들 땐 그냥 울어』의 저자 스즈키 수녀는 간단명료하게 답한다. 우리는 완벽하지 않다고. 또한 우리는 불완전한 인간이기 때문에 스스로를 책망하는 일은 하지 말자고. 또 앞으로의 희망적인 일들만 생각하자고 일러준다.

『힘들 땐 그냥 울어』는 내 주변사람들을 다시금 돌아보게 만들어주는 작품이다.
우리는 가장 가까운 가족의 중요성을 잊고 사는 경우가 많다. 쓰나미 사고로 살아남은 젊은 부부이야기가 기억난다. 기적적으로 살아남은 이들은 매일 자신을 위해 기도해주는 부모가 아찔했던 순간 떠올랐다고 한다. 누군가 자신을 위해서 기도를 해 준다는 사실만으로 삶의 의지가 강해진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덕분에 매일 새벽 못난 자식을 위해서 기도하시는 나의 부모님 생각에 코끝이 찡해졌고 가슴에는 감사함이 채워졌다. 이제 나도 부모님을 위한 기도를 하리라 다짐하게 되었다.

『힘들 땐 그냥 울어』는 내 가족이 아닌 타인에 대한 배려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작품이다.
고여 있는 물은 썩는다고 한다. 나와 내 가족만의 행복은 언젠가는 퇴색된다는 것이 저자의 이야기이다. 인간은 혼자 살수 없다. 타인과 부대끼며 살아가는 게 인간이다. 그래서 타인에 대한 배려가 중요하다고 스즈키 수녀는 말한다. 남에게 선행을 베푼다는 건 작은 것에서부터 출발한다고 한다. 그저 미소 짓는 것이 타인에 대한 배려라고 한다. 그러면 그 미소가 돌고 돌아 결국 자신에게 기쁨으로 온다는 것이다. 매일매일이 불행한 할머니가 타인의 생일에 자신이 좋아하는 꽃을 몰래 가져다 놓기 시작하면서 할머니는 행복해진다. 불과 얼마 전까지 자신이 불행하다고 생각했던 것마저 잊게 될 정도로 말이다. 그리고 꽃선물을 했던 천사의 정체를 알게 된 사람들이 할머니의 크리스마스트리 아래에 선물을 놓아둔다. 이 이야기를 읽는 나도 행복해지는데 할머니는 얼마나 행복했을까, 라는 상상을 하면 나도 모르게 미소가 지어진다.

거동조차 불편한 할아버지는 손녀에게 "이다음에 뭐가 되고 싶냐?"는 물음을 듣는다. 이에 할아버지는 "새를 바라보며 모이를 주는 사람이 되고 싶구나."라고 대답한다. 손녀의 "할아버지는 분명 그렇게 될 수 있어요. 새들이 할아버지 옆에 와서 먹이를 먹을 거예요."라는 말로 인해 그 믿음대로 이뤄졌던 일화는 정말 감동이었다. 먼저 당장 하고 싶은 일을 생각해보고, 그 다음은 할 수 있다는 믿음을 갖고, 마지막은 그대로 실천하면 믿음의 강한 힘이 발휘된다.
나에게 『힘들 땐 그냥 울어』는 희미해서 어렴풋하게만 보이던 행복을 뚜렷하게 볼 수 있게 도움을 준 고마운 작품이고 앞으로도 나를 응원해 주는 작품이 될 것이다.
이젠 이글을 읽고 있는 당신에게 묻고 싶다. "당신은 이다음에 뭐가 되고 싶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