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달 후, 일 년 후
프랑수아즈 사강 지음, 최정수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부터 끝까지 사랑의 덧없음을 작가 프랑수아즈 사강은 외치고 있다. 본인도 이에 동의하는 바이다.
작품의 초반에는 통속적인 연애소설이려니 생각했다. 새벽, 우유부단한 베르나르가 사랑하는 조제에게 전화를 걸면서 이야기는 시작되기 때문이다. 베르나르가 원하는 조제가 아닌 조제의 새로운 애인, 자크가 베르나르의 전화를 받게 되는 장면도 흔히 볼 수 있는 통속극의 주된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연애소설에서 볼 수 없는 작가만의 차가운 시선이 『한 달 후, 일 년 후』에는 있다.

자신을 끔찍이 사랑하는 아내가 있음에도 옛 연인을 사랑하는 남자, 베르나르.
옛 사랑을 보낸 뒤 새로운 사랑을 확신할 수 없어 마음이 복잡한 여자, 조제.
남편만을 바라보며 그의 사랑을 원하는 젊은 부인, 니콜.
사랑 그대로만을 볼 줄 아는 조제의 새로운 사랑, 자크
매력적인 여배우를 사랑하게 된 중년의 남편, 알랭.
남편의 마음을 알지만 짐짓 모르는 척 하는 중년부인, 파니.
치명적 매력으로 타인의 마음을 손쉽게 얻는 여배우, 베아트리스.
베아트리스의 사랑만을 갈구하는 순박한 시골 청년, 에두아르.
베아트리스의 사랑을 듬뿍 받는 능력남, 졸리오.
『한 달 후, 일 년 후』에는 9명의 다양한 인물이 등장한다. 이 작품을 읽기 전부터 유명한 '조제'는 일본영화를 통해 자주 언급되어 알고 있었다. 그래서 나는 가장 익숙한 조제와 공감대를 함께 하면서 글을 읽기 시작했다. 하지만 나는 점점 조제가 아닌 베르나르의 마음으로 공감대를 옮겨가고 있었다. 나에게는 베르나르의 마음이 가장 와 닿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자신을 매우 사랑하는 아내가 있지만 조제에 대한 사랑을 멈출 수 없는 베르나르는 결단성이 없는, 내가 싫어하는 캐릭터 중 하나이다. "조제를 그토록 사랑하면 아내에게 더 이상 몹쓸 짓을 그만하고 태도를 분명히 하란 말이다!",라고 생각하면서도 역으로 베르나르의 답답한 태도가 한편으로는 이해가 되었다. 솔직히 베르나르야말로 우리 보편적인 인간의 모습이 아닐까.
작품의 말미에 베르나르와 조제는 만난다.
"언젠가 당신은 그를 사랑하지 않게 될 거예요. 그리고 언젠가 나도 당신을 사랑하지 않게 되겠죠."
"그리고 우리는 다시 고독해지겠죠. 그렇게 되겠죠. 그리고 한 해가 또 지나가겠죠……."
"나도 알아요."
여전히 그녀를 사랑하는 그와 새로운 사랑을 확신한 그녀의 대화이다.
베르나르 입장에서는 끝까지 당신을 사랑하겠노라는 의미로 던진 의미심장한 말이고, 조제 입장에서는 인간의 사랑하는 감정이 세월 앞에서 얼마나 덧없는가를 인정하는 말로 나는 해석하고 받아들였다.
사랑에 빠진 인간은 세상의 모든 것들이 아름답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 사랑이라는 원에서 자칫 조금이라도 금을 밟게 되면 아름다운 세상은 더 이상 아름답지 않게 된다. 차라리 원 밖으로 나오면 지옥탈출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원 밖으로 나오기란 매우 어렵다. 내가 아닌 타인을 영원히 사랑할 수 있는 인간은 없다고 생각한다. 그만큼 인간의 사랑은 덧없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덧없다"는 "무의미하다"가 아니다. 『한 달 후, 일 년 후』는 사랑의 아름다움을 노래하지 않고 냉소적인 시선으로 사랑을 바라본 작품이다. 작가의 시린 시선으로 1957년에 태어난 이 작품은 지금 읽어도 전혀 구태의연하지 않다. 앞으로 50년 뒤에 읽게 되더라도 『한 달 후, 일 년 후』는 그 반짝임을 잃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