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정말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유치원에서 배웠다 - 출간 15주년 기념 개정증보판
로버트 풀검 지음, 최정인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그토록 할아버지를 갖고 싶었던 로버트 풀검 아저씨가 본인이 할아버지가 되어서 돌아왔다!
출간 15주년을 기념해서 뺄 것은 빼고 더할 것은 더해서 내놓은 알짜 <내가 정말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유치원에서 배웠다>!!
남녀노소 누구나 다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다.
우리는 가끔 착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헤매인다.
진리는 복잡한 것이 아닌 아주 단순하고 기본적인 곳에서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내가 정말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유치원에서 배웠다>는 우리가 겪는 착각을 없애주고 잠시 잊고 있는 진리를 일깨워 주고 있다.
작가는 자신이 겪었던 일상적인 일화나 생각을 순수하게 토해낸다. 이에 독자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이야기를 읽어 내려갈 수 있다.
에피소드를 읽으면서 '아~, 맞아! 그렇지! 내가 그동안 이런 걸 잊고 있었네!'라는 생각이 쉼없이 내 머리속을 들락날락했다.
물론 이 책을 읽는 모든 독자들 역시 나와 비슷한 경험을 했을 것이다.
 

가장 인상 깊었던 에피소드는 <사물의 이름>과 <나방>이었다.
나는 평상시에 "이름"에 대해서 꽤 신경을 많이 쓰는 편이다. 사물뿐만 아니라 사람의 이름도 아무 생각 없이 지어서 붙인 듯한 경우가 많다고 생각하곤 했다. 이상하다 못해 불쾌한 이름들을 보면 도대체 어떠한 생각으로 그런 이름을 지어서 붙인 것일까 지은이의 얼굴을 보고 싶은 적이 한 두번이 아니었다. 로버트 풀검 할아버지 역시 나와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다는 걸 에피소드 <사물의 이름>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또한 같은 생각을 공유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너무나 신기했다.
예쁜 들꽃의 이름을 입에 담기에도 민망한 것으로 지어서 붙인 "작자(로버트 풀검 할아버지는 그들을 이렇게 지칭하였다.)"를 성토한다.
하지만 예쁜 꽃들은 정작 이름에는 관심이 없고 이름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오직 인간뿐이라는 작가의 말에 많은 생각이 들었다.
또 <나방> 에피소드, 나방을 죽이는 아이들의 모습에서 나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나비는 좋은 것이고 나방은 나쁜 것이라는 생각이 얼마나 편견에 쌓인 것인지를 깨달았다. 어쩌면 내가 나도 모르게 편견덩어리가 되어가고 있는 사실을 꼬집어 준 중요한 에피소드였다.
죽은 나방 한 마리를 들고 돋보기로 들여다보며 "날개달린 테디베어"처럼 생겼다고 말하는 어린 아이를 통해서 그동안 나방을 하찮게 여겼다는 죄스러운 마음에서 구원되었다는 기분이 들었다.
나이를 먹을수록 편견이라는 쓸모없는 것도 야금야금 쌓이는 것 같다. 항상 편견 없는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연습을 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되었다.

요즘은 유치원에서도 국영수 공부를 한다고 한다. 그것도 대기자가 많아서 바로 입학할 수 없고 예약을 해야 들어갈 수 있다니 입이 떡 벌어질 노릇이다.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내가 정말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유치원에서 배웠다>라는 제목은 몇십 년 후에는 바꿔야 할런지도 모를 일이다.

< 책 속 이미지는 출판사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

기본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은 수없이 많이 들어서 누구나 아는 것이다.
하지만 간혹 기본을 놓치고 가는 경우에 운이 좋아서 일이 성공한 경험도 누구나 한 두번 쯤은 경험해봤을 것이다.
고사성어 "사상누각[砂上樓閣]"을 다시금 떠올려보자.
'겉모양은 번듯하나 기초가 약하여 오래가지 못한다.'는 뜻을 갖고 있는 한자성어이다. 요행덕분에 기본 없이도 성공하는 경우는 진정한 성공이 아니다. 언제 무너지더라도 하는 수 없는 불안한 성공인 것이다.
할아버지가 되어서 돌아온 로버트 풀검 할아버지는 계속 "기본이 가장 중요하다"고 한다.
우리는 로버트 풀검 할아버지의 외침을 새겨들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