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뢰인은 죽었다 탐정 하무라 아키라 시리즈 2
와카타케 나나미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여탐정!
『의뢰인은 죽었다』를 읽게 된 이유는 오직 하나, 단지 여탐정이 등장해서였다.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추리물에서 등장하는 탐정은 항상 모두 남성이다.
그리고 여성은 그저 탐정 혹은 범인의 애인 자리에서 그 역할에 만족하는 것이 대다수이다.
하지만 『의뢰인은 죽었다』는 여탐정이 존재하기에 관심이 생겼으며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던 것이다.

내가 어릴 적에는 공중파에서 외화시리즈를 많이 방영해 주었고 그것들은 인기 드라마만큼 시청자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았다.
쥐를 먹는 외계인들도 흥미로웠고 스위스제 만능나이프로 어디서든지 탈출하는 맥가이버도 멋졌지만 내가 열광했던 인물은 다름아닌 '레밍턴스틸'의 여탐정 <로라>였다. 매주 일요일마다 목이 빠져라 <로라>를 기다렸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사건 의뢰가 전혀 들어오지 않아서 남자를 자신의 허수아비로 대신 세웠던 <로라>와는 달리 『의뢰인은 죽었다』의 <하무라 아키라>는 제약없이 남자 못지 않게 사건을 의뢰받고 열심히 해결해 나간다.

<하무라 아키라>라는 여자는 독특하게 살인 사건에 관해서는 민감한 '촉'을 갖고 있고 있는 시니컬한 인간형이다.
하지만 마음 속으로는 그 누구보다도 따뜻한 사람이다.
이에 <하무라 아키라>는 매력적인 주인공이 될 수 있는 전형적인 자격을 부여받았노라. 
여탐정 하무라는 '하세가와 사건조사소'에서 정직원이 아닌 계약직(?)으로 있으면서 사건을 의뢰받고 조사한다.
작품은 2년의 시간 안에서 계절의 흐름에 따라 총 9편의 에피소드로 이뤄져있다.

솔직히 『의뢰인은 죽었다』처음의 기대만큼 몰입되는 작품은 아니었다.
페이지가 넘어갈때마다 '내가 기대를 너무 많이 했나!' 싶었다.
나는 사건을 스펙타클하게 해결하는 여탐정을 원했는데 의외로 너무나도 조용하게 사건을 "조사하는" 여탐정을 마주하게 된 것이니 조금은 당황스럽기까지 했다.
하지만 중반이후부터는 점점 하무라에게 집중이 되었고 후반의 마지막 에피소드인 "편리한 지옥"은 매우 흥미진진하였다.

인간은 자기 안에서 공포를, 지옥을 만든다. 그리고 그렇게 환상을 만들고 믿으면서 자기합리화를 한다.
때문에 절대로 그런 유혹에 넘어가지 말라고 하세가와 소장은 하무라 아키라에게 이야기한다.
결국 작가 와카타케 나나미가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주된 것이다.

『의뢰인은 죽었다』에서 하무라 아키라의 사건은 마지막까지 현재진행형이다.
그래서인지 항상 책을 다 읽고나면 느껴지는 아쉬움이 이번에는 50%정도로 감소한 것 같다.
『의뢰인은 죽었다』는 끝이 났지만 다른 작품안에서 하무라 아키라의 사건은 계속되기 때문이다.
현재진행형인 그녀의 또다른 사건에 빨리 동행하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