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rd of the Flies (Paperback, 미국판, International)
윌리엄 골딩 지음 / Penguin Classics / 200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명한 이 고전의 리뷰가 낮은 이유가 직잠이 된다. 그 중 하나에 번역이 매끄럽지 않다는 지적이 많았다. 스토리가 단순함에 비해 상징적 묘사가 많아서 번역이 어려웠을 것으로 추측이 된다. 내용 또한 전반적으로 우울해서 흥미진진하진 않았다. 수상작은 자극적인 흥미와 반전으로 독자들을 끌어 당기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마지막에 주인공 Ralph는 외롭게 고군분투하던 무인도에서 해군에 의해 구조되지만, 어린아이의 순수가 무너진 것과, 인간 본성의 어두움에 대하여 울부짖는다. 이 책 뒷편에 있는 문학비평에서, 이 책을 “The Catcher in the Rye(호밀밭의 파수꾼)”과 비교를 해 놓았다. 전자가 부패된 사회속에서 고뇌하는 청소년을 그린 것이라면, 이 책은 인간 본성의 타락과 어두움 즉 원죄설을 다루고 있다고 했다. 인간 본성 내의 선과 악의 불가피한 갈등을 다루고 있다.

비행기 추락으로 무인도에 살게 된 소년들의 나이는 6-12세이다. 처음엔 어른들의 권위와 구속에서 벗어나 자유를 누리지만 곧 그들은 스스로를 돌보며 살아야 함을 느끼며, 어른들이 무엇을 했는지를 생각하고, 아이들이지만 어른의 모습으로 살아간다. 지도자를 뽑고, 불을 지피며 오두막을 짓고, 구조선이 오기를 기다린다.

무인도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짐승을 보았다는 소문은 온 소년들을 두려움에 휩싸이게 한다. 그러나 그 짐승(beast)은 곧 우리의 일부이다. 즉, 인간의 본성 내부에 살고 있는 악을 지칭하고 있다. 나 스스로도 순간 순간 못된 생각을 하거나 복수심에 불타서 짐승보다 더 못된 생각을 할 때가 많지 않은가? 돌아보면 부끄러웠던 과거가 많고, 요즘도 짐승같은 악의 생각에 잠겨 있거나 그런 생활을 할 때가 많다.

이 책 제목 “파리 대왕”은 Beelzebub(바알세불) 즉, 악마를 상징한다. 책 속에서는 Jack이 사냥한 돼지 머리가 장대에 걸어져 거기에 파리떼가 몰리게 되고 이를 바라보던 Simon이 환상 속에서 파리 대왕과 대화를 나누게 된다. 파리 대왕은 “I’m part of you. Why thing are what they are?”라고 하고 있다. 우리 속에 누구나 악마 근성이 있어서 이 세상이 순리대로 선하게 돌아가지 않는 것일까?

Ralph의 리더십에 불만을 느끼고 추장이 되고자 했던 Jack은 결국 일부 소년을 데리고 나가며 Ralph와 대립 관계에 서게 되고, 불을 지필 생각으로 Ralph의 오두막에 급습하여 Piggy의 안경을 훔치게 된다. 멈추지 않는 권력욕을 보여주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그들의 모습이 곧 어른의 모습이며 다름 아닌 인간 본연에 내재되어 있는 천성이라는 것이 놀라울 뿐이다.


내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부정 부패를 일삼으며, 눈 하나 깜짝 안하고 국민을 우롱하는 정치인의 모습과 이 책에 나오는 소년들의 모습이 오버랩 되며 슬픔이 찾아들었다. 인간 본성의 악함 아니 나 자신 본연의 어두움을 씻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가? 권모술수를 일삼으며 반도덕적 행동에 대해 일말의 양심도 보이지 않는 정치인들에 대해 투표로서 나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고 위안을 한다. 그러나 나의 내면에 도사리고 있는 원죄에 대해서는 어떻게 벗을 수 있을까?

종교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원죄설에 대해, 부끄럽지만 확신이 없었는데 이 책을 읽고 나니 인간이 얼마나 악한지 알게 되었다. 사실 요즘 정치에 대한 나의 관심 때문이기도 하고, 직장에서의 암울한 분위기 때문에 더욱 나 자신도 부정적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고, 그러 인해 나의 행동이나 말도 더 악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런데, 이 책을 읽고 나니, 반드시 정치나 직장 분위기 때문이 아니라, 나의 본성이 악함을 부르고 있는건 아닌지 모르겠다.

얼마나 더 나의 악함과 고군분투해야 하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