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cond Mountain : The Quest for a Moral Life (Paperback) - 『두 번째 산』 원서
데이비드 브룩스 / Penguin Books Ltd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년전 이맘 때에 이 작가의 The Social Animal을 읽고 크게 감동받은 적이 있다. 지금도 그 책에서 뽑은 인용구가 책꽂이에 붙여있다. 어떤 삶을 살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큰 울림을 주었다. 온라인 서점을 둘러보다 높은 평점으로 이 책을 만났는데 같은 작가인지 모르고 샀다. 언어의 연금술사란 말을 이 작가를 두고 하는가? 세련되고 정제된 영어가 백미이고, 그 안에 담긴 큰 메세지가 찬란한 보석이 아닐 수 없다.

앞 부분 읽을 때에는 이 책 안에 있는 표현’ I was in the book, not in myself. ‘처럼 내가 책 안으로 들어가는 것 같았다. 작년 어디선가 COVID-19으로 인해 미국과 유럽이 무조건 옳다는 사대주의 사상이 깨졌다고 읽은 적이 있다. 영어 공부의 과열현상이 불었던 적이 있고 지금도 영어가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여겨지는 순간이 있다. 나도 한국의 보수적 문화 및 공동체 문화로 인해 나의 사적인 부분이 침해받음에 서양의 개인주의 문화와 개인의 자유가 존중됨이 무척 부러웠던 적이 있다.

그런데, 서양의 지식인에 의하여 초개인주의(hyper-individualism)를 강하게 비판하는 글을 읽으며 다시 세상의 중심이 동양으로 움직이는가하는 착각을 했다. 이성(reason), 사생활 존중, 자아실현, 자아, 자기애 등을 부르짖으며 세상의 중심에 ‘나’가 있었다. 지난 번 읽었던 The tyranny of Meritocracy(업적주의의 횡포)도 왜 현재 미국사회에서 업적주의가 비난받는지를 설명했었다.

우리는 그렇게 나를 사랑해야 한다, 자아실현이 중요하고, 노력하면 성취할 수 있다는 주문을 외우며 첫번째 높은 산(The First Mountain)에 오르게 된다. 그러나 실패와 좌절이 불가피한 인생길에서 한번씩은 계곡(valley)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런 실패를 failing upward, bright sadness, fortunate fall 등의 아름다운 표현을 사용한다. 즉, 더 높이 오르기 위한 실패이자 밝은 슬픔이며, 행운의 실패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제 계곡에서 일어나 우리는 두 번째 산(The Second Mountain)에 올라 유의미한 목적있는 삶을 살 수 있기때문이다.

자기애와 개인주의만을 위해 달려온 우리는 단절된 삶이 부른 외로움, 우울증, 높은 자살률, 공허감 등의 셀 수 없는 병폐와 폐단을 부산물로 얻었다. 도덕적 생태학을 추구하는 삶을 위한 4가지 헌신(commitment)을 하며, 서로 공생하는 관계주의의 삶을 살라고 촉구한다. 매력적 다양성과 활력이 존재하는 서로가 연결되고 얽혀있는 정글같은 도덕적 생태계!!

두 번째 산에서 헌신해야 하는 4가지는 vocation/calling(소명의식/소명으로 받은 분야), family(가족), philosophy/faith(철학이나 종교), community(지역사회)이다. 나도 작년에 나의 소명이 무엇인지, 현재 내가 가고 있는 길이 나의 길이 맞는지 고민했기에 첫번째 소명의식에 빠져 읽었고, 결국 실천이 없는 독서는 무의미할 수 있다는 생각과 어깨 위의 짐같은 오랜 숙원 사업으로 지역사회 NGO단체에 후원도 시작했다. 봉사 참여는 COVID-19로 인해 얼마큼 실천으로 옮길지 모르나 작년 상황에서도 지역 봉사를 한 사진을 둘러 보며 반성을 했다.

자아(self)를 위한 산에서 봉사/나눔(service)을 위한 두 번째 산으로 옮겨가며, 내가 아닌 타인을 전인격적 시선, 관심, 사랑으로 바라보며, 융합(fusion), 두려움을 넘어선 친밀감(intimacy beyond fear), 상호의존(interdependence), 관계주의(relationalism)의 삶을 살기를 권고한다. 유의미한 목적있는 삶을 얼마나 갈구했는가? 나 자신의 행복한 삶을 위해 살아왔는데도 공백과 허무감은 불가피하다. 결국 나를 찾기위해 나를 잃고(I lose myself to find myself), 나 자신(ego)의 기본값을 벗고 나아가는, 우리(we)라는 공생의 삶 속에 정서적으로 풍요하고 영적으로 깊은 삶이 있다고 했다.

돌봄(Care)마저 아웃소싱을 하는 비인간적인 사회라는 말이 허를 찌른다. 가족과 지역사회의 유대와 연대가 무너져서 이제는 정신건강은 치료사가, 육체건강은 병원이, 교육은 학교가 책임지고 있다. 일상의 사소한 결정에는 오랜 시간 고민을 하면서도 정작 유의미하고 목적있는 삶을 위한 숙고를 게을리했다는데 삶의 역설이 있다.

이 책에서 4가지 답을 제시하며 실제로 두 번째 산에서 나누며 헌신하는 삶을 살아가는 무수히 많은 예시를 제시한다. 물론 작가도 WEAVE라는 단체를 만들어 봉사하고 있다. 15명의 소외된 아이들을 데려다 저녁을 제공하는 한 여성에게 어떻게 이런 대단한 일을 하느냐 묻자 ‘How is it you don’t?(어떻게 안 할 수 있죠?)’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예전에 아프리카 관련 소설 읽을 때에도 이런 답변이 있었다.

어떻게 안 할 수 있는가? 나는 오로지 나 자신만을 위한 삶만을 위해 달려와서 이리 큰 외로움과 공허감에 시달리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