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크는 왜 네 갈퀴를 달게 되었나
헨리 페트로스키 지음, 백이호 옮김, 이인식 / 김영사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학이 필요한 시간’을 읽고, 책 속의 책의 발견으로 인해 주문한 책이었다. 구매를 통해 책을 읽어야 종이책이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데 일부 기여한다는 미약한 논리와 나의 책이라는 소유감 때문에 메모도 하며 꼼꼼하게 읽을 것이라는 피상적인 생각으로, 대부분의 책을 구매하고 구매 전 책 선정에 신중을 기한다. 여러 방면의 독자평을 참고한 책인데 읽기에 어려움이 있다면 나 스스로의 한계라고 자책을 하며 자괴감에 빠지게 된다.

편독을 막는다고 다짐을 했으나 이과 계열의 책을 읽지 않아서인지 처음과 마지막을 빼고 다분히 인공물(포크, 클립, 망치, 도끼, 포스트잇, 단추, 지퍼 등등)의 탄생 및 진화 과정에 관한 중간부분은 지루하기 짝이 없었다. 작가의 의견이나 인문학적 부연 설명이 전혀 없이 fact만 설명하는 부분이 많아 힘들었다.

공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헨리 페트로스키가 쓴 책으로 거의 필독서 수준이라는데 내가 역량이 모자라나 한탄하며 읽었다. 그럼에도, 전체를 정독하지는 못했으나 모든 책 속에서는 각기 다른 보석을 안고 있다는걸 또 새삼 느낀다. 처음부터 끝까지 관통하는 주제는 ‘형태는 실패에 따라 결정된다(Form follows failure)’이다. 인공물의 형태의 변화가 기능에 따라 결정되거나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는 표현을 반박한다고 볼 수 있다.

너무나 멋진 표현이 아닐 수 없다. 인공물은 기능면에서 뭔가 부족함이 있기 마련이며 이것이 진화의 원동력이었다고. 기술과 물건이 지니는 문제점과 결함을 먼저 인지하고 해결하려고 했던 이들이 발명가, 디자이너, 엔지니어들일 것이다. 모든 기술 변화는 비난과 칭찬을 받을 잠재력이 있기에, 현대인들은 진화하는 기술에 대해 양가감정이 들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보통 사람들은 불완전한 기술에 생활습관을 맞추며 살아간다.

신선했던 표현은 기술이 냉혹하게 앞으로만 전진하기 때문에 뒤쫓아 가지 않으면 곧 시대에 뒤떨어지리라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라고 했다. 즉, 우리 자신의 본질처럼 결점 많고 불완전한 인공물의 특성을 고려하고 아무리 최상의 것이라도 완벽은 커녕 완벽에 가까운 신제품은 없기에, 새 것에 익숙해지는 동안 옛 것의 친숙함이 길러낸 타성에 젖어 있던 우리가 불평을 해도 용서받을 수 있다는 뜻이 아닐까?

인공물과 기술적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다는 사실이 오히려 변화에 저항하는 요인이 된다고 했다. 에디슨의 명언 ‘끊임없이 움직이면 불만이 보인다. 불만이야말로 발전을 위한 최초의 필요조건이다’를 통해, 인공물의 단점을 지각하고 기술적으로 비평하길 촉구하는 듯하다. 문명의 선진화는 그 자체의 실수와 결함을 끊임없이 고쳐 나가는 역사라고 하면서...

평소에 쉽게 만족하지 않는 나, 감사의 조건을 헤아리자 하면서 상황에 불평했던 나, 늘 뭔가를 완벽하게 하려고 노력했던 나, 항상 내 삶에 뭔가 하나가 빠져 있는 듯 허기를 느끼는 나 자신에 대해 나는 또 불만이었다. 감사하자고 매 번 다짐하고 일기를 쓰면서도 항상 갈증을 느끼는 내가 교만하다 생각했었다. 그런데, 이 책을 통해 불평도 변화의 촉매 역할을 한다는걸 알게 되어 약간의 위안을 얻었다.

그러나, 이 책에서 말하는 불평의 대상은 인공물과 기술이기에 나의 자의적 해석을 통해 헛된 위안을 얻은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ㅜ.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