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d Me (Paperback, International Edition) - 안드레 애치먼 '파인드 미' 원서
Andre Aciman / MACMILLAN USA INTERNATIONAL ED / 201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작년에 ‘Call Me by Your Name’을 감동적으로 읽고, 후속편이라서 다시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읽기 시작했다. 통속적으로 영화나 책의 후속작이 전편을 능가하거나 비슷한 감동을 주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그건 아마도 높은 기대감 때문일거라 생각한다. 알고 읽었는데 크게 실망하지 않았고, 약간의 다른 구성때문에 신선하기도 했고, 다음 내용이 무엇일지 기대하며 읽었다.

전편에서 마음을 움직였던 Oliver를 향한 Elio의 애절하고 간절한 표현들이 다소 약해진듯 하나, 이것 또한 전편에서 읽었던 나의 기대 때문이리라. 어쩌면 똑같이 애절하게 표현되었다면 신선도가 떨어진다 느꼈을지도. 그럼에도 작가는 결국 20년의 간극을 메우고 해피엔딩으로 책을 마친다. 그리고 그 기간에 서로 다른 삶을 살면서도 마음 속에서 서로를 향한 마음이 항상 있었고 그 빈자리는 절대 빈자리가 아니라고 했다. absent, but never absent for me(p. 230)

소설은 허구로 이해되어야 하지만 현실 기반이기도 하다. 완전히 비현실적인 이야기가 아니어서 혹은 비현실적이어서 더 매력적일 수도 있지만, 어떤 경우이든 나같은 독자는 감정이입을 하며 소설과 현실을 비교하게 된다. 과연 20년의 간극을 넘어 영원히 그리워할 수 있고, 서로 각자의 다른 삶 속에서 서로를 찾는(Find Me)영혼의 소리를 통해 궁극적으로 거짓된 삶을 버리고 진짜 마음이 원하는 사람을 찾아 나서는 용기를 낼 수 있는 사람이 현실 속에 존재하기는 할까?

존재하지 않기에, 그런 삶을 살 수 없기에 소설 속에서 만나 대리경험을 하게 하는 것일까? 처음 등장하는 Elio의 아버지 Samuel이 기차에서 만난 Miranda에 끌린 감정, Oliver 만큼은 아니었으나 Elio가 Michel을 만나 자석처럼 끌렸던 폭풍적 소용돌이 이런 것들도 현실의 그림이란 말인가? 두 경우 모두 나이차가 두배가 된다는 설정이다.

피아니스트로 성장한 Elio와 음악이 주는 둘 사이의 매개체도 매우 인상적이었다. Michel의 아버지가 남긴 악보가 주는 실마리를 통해 보여지는 그의 아버지의 삶, Oliver가 마지막 작별 파티에서 연주된 Bach’s Arioso를 통해 Elio가 그를 찾고 있는 목소리를 듣게 되고 그 음악은 그가 기쁨과 희망의 허상을 부여잡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했다.

살아가면서 이렇게 내 삶이 이대로 좋은지, 나는 잘 살고 있는지에 대하여 일깨움을 주거나 반추를 해보게 하는 것들이 있다. 이 책에서 처럼 음악일 수도 있고, 책이 될 수도 있고...

소설인줄 알고 시작했으면서 순간 순간 현실에서 단초를 찾으려하는 나는 영원히 현실에 뿌리내리기 어려운 사람인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허구일지라도 이런 순애보가 살아 있다는 것에, 많은 것들이 조변석개하는 세상에서 그 사랑이 동성간이든 이성간이든 변치 않는 설레임과 그리움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 귀하게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