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에서 벌써 궁금했다, 왜 아내와의 결혼을 후회하는지. 이런 류의 제목을 다는 대부분의 책들은 한결같은 마무리에 이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들은 현재 자신의 삶에 흡족하고, 흡족하고자 노력하는 스스로가 대견하고, 그래서 삶은 유 쾌하고 즐겁다는, 나처럼 살아 보라는 은근한 권유. 이 책도 여태 내 보아 온 이 한결같은 결론에서 한 치도 벗어남이 없더라. 가끔은 너무 솔직해서 당황스런 부분도 있었지만 그의 글은 재미있었다. 미국식 자기계발서 의 오류? 결코 변하지 않는 자신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하는 부분에선 크 게 공감이 갔다. 삶은 재미있어야 한다고 강조하는 부분도 역시 공감 100%, 누구나 재미있는 삶을 원한다. 왜 아니겠는가. 삶이 재미있을려면 최소한의 경제적인 받침이 있어야 하고, 정신 이 건강해야 할 것이다. 그는 우리가 재미있는 삶을 마치 비켜 가는 듯 말하지만 사실은 우리 모두 재미있게 살고 싶은 것이다. 그러한 현실을 만들기 위해서 오늘도 누구는 그렇게 열심히 고되게 일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 고됨 속에서도 재미를 찾아야지 라고 말한다면 그는 고된 삶이 어떠한 것인지를 아예 모르는 사람임에 틀림없다. 그들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등 을 어루만져 주고 다만 미소로써 손 한번 잡아주는 것이 최선일 것이다. 이런 책들은 여전히 브 루조아적 냄새가 난다. *이 땅의 사내들이 불쌍해지는 것은 잘못된 존재 확인 방식 때문이다. 이제까지 아내나 가족들과 의 관계에서 존재를 확인해본 적이 없던 이들에게 사회적 지위의 상실은 사형선고와 마찬가지다. (...) 나는 절대 스스로 확인되지 않는다. 나는 항상 나와는 다른, 또 다른 어떤 것에 의해 확인되는 존재다. 그러나 나를 확인해야 하는 그 대상이 쉽게 사라지는 것이라면 존재불안은 끊임없이 계속 된다. 그래서 사회적 지위로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처럼 어리석은 일은 없는 것이다. *재미있는 자만 꿈꿀 수 있다. 현재의 한계를 떠난 가능성의 영역은 삶이 재미있어서 어쩔 줄 모르 는 이들에게만 보인다. *재미의 가장 중요한 전제조건은 자신이 행위의 주체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심리학에서는 '선택의 자유'가 재미를 결정 짓는다고 설명한다. 높은 산에 땀을 뻘뻘 흘리며 올라가는 일을 만약 누가 시켜 서 한다고 생각해보자. 절대 못 올라간다. 그러나 자기가 선택했기 때문에 사람들은 힘들어 하면서도 어떻게든 올라가려 기를 쓴다. 내가 선택한 일이기에 재미있는 것이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은 나 자신에 대한 확신에서 나온다. 내가 하는 이야기에 나 스스로가 먼저 설득당해야 한다. 스스로 설득당하지 않는 이야기에 상대방이 설득될 리 만무하다. *학교는 자신이 정말 좋아하는 것을 찾아내고 그것을 공부하는 곳이 되어야 한다. 그것이 진정한 의미의 학교다. *내 가족이 행복한가 아닌가의 기준도 마찬가지다. 내 아내, 남편, 우리 아이들이 나와 있을 때 도대체 몇 번 감탄하는다가 행복의 척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