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나 또 올게 - 아흔여섯 어머니와 일흔둘의 딸이 함께 쓴 콧등 찡한 우리들 어머니 이야기
홍영녀.황안나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오년 전 쯤이던가 우연히 인간극장 '그 가을의 뜨락' 재방송을 보고는 '홍영녀'라는 이름을

새겨 두었었다. 경로당보다는 노인대학을 선호하는 노년보다 홍영녀 할머니의 노년이 훨씬

바람직하게 보였다. 아, 나도 저런 노년을 준비해야하는 거겠구나 다짐했다. 책을 내셨다기

에 주문할려고 보니 절판이더라. 얼마나 안타깝던지! 

아, 그런데 그렇게 내게 다짐을 주었던 분의 딸이 '황안나'라니! 책을 빌릴 때도 몰랐다. '홍영녀'

라는 이름이 표지에 아주 작은 글씨로 되어 있어 못 보았고, '황안나'의 책으로 빌린 것이었는데

이렇게 홍영녀 할머니를 만나게 되는구나. 시절인연이 이제사 닿았구나. ㅎㅎ

고생고생만 하며 사신 우리 할머니 세대의 이야기가 가슴 아프다. 일꾼에 불과했던 모든 그녀들

의 삶이 애닯기만 하다. 아내, 며느리에 대한 인식이 지금은 많이 달라져 천만다행이다. ㅎㅎ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끔은 홍영녀 할머니도 과거를 그리워 하신다. 추억이란 그런 것인 듯하다.

표지의 그림이 참 따뜻하고 포근하다. 수북히 쌓여있는 분홍색 꽃밥이 정스럽고도 다정하다.

어머니의 마음을 엄마인 나도 헤아리기 어렵다. 주고싶기만 한 마음이 어머니 마음이고, 더 줄

수 없음을 안타까워 하시는 게 우리 엄마다. 그 진하고 깊은 애정을 뭘로 표현할 수 있을까.

나의 최소의 효도는 걱정끼치며 살진 않으리란 것이었다. 마음 편히 해드리는 것 만큼 훌륭한

효가 어디 있겠느냐는 것이 나의 지론이다. 난 내가 엄마를 봉양하고 싶다. 아래로 남동생이 둘 

있지만 엄마만큼은 내가 봉양하고자 하는 마음을 오래 전 부터 가졌다. 이 책을 읽고 부모를

봉양하는 자식의 자세가 어떠해야한다는 걸 헤아려 본다. 또한 기력이 쇠잔해진 노인들의 마음

이 어떠할 것이란 것도 헤아려 본다. 홍영녀 할머니 임종하시는 순간은 마치 내 엄마인 듯 눈물

이 그렁해진다. 지금도 건강히 계시는 부모님이 고마운데, 그래 임종이란 건 떠올리기도 싫은데 

나도 언젠가는 내 부모님의 임종을 봐야할 것을 생각하면 서럽도록 슬프다. 견딜 수 없을 것만 

같다. 미쳐버릴 것만 같다. 그저 부모님의 건강만 바랄 뿐이게 된다. 오래오래 건강하게 계셔서

언제까지고 나의 힘의 원천, 위안의 원천이 되어 주시길 소망한다. 

무척 훌륭한 책이었다. 또한 무척 따뜻한 책이었다. 






*생각해보면 어머니께 가장 값진 선물은 자식들이 곁에 둘러 앉아서 어머니 말씀을 들으며 함께
있어 드리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 몸이 부서져도 내 일은 내가 해야 했다. 죽으면 썩을 몸인데 아껴서 무엇하나 하는 것이 내
생각이다.

*자유를 누릴려면 외로움도 견뎌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