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짐승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15
에밀 졸라 지음, 이철의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 제목에서부터 느껴지던 어떤 중압감?이 책을 다 읽을 때까지 있었던 듯 싶고,

그래선가, 마지막 장의 지은이의 연보를 끝으로 책 표지를 덮을 때의 그 홀가분함이란!!


아, 이제 이 무거운 주제들은 끝났다...



살면서 몰라도 될 것들을 굳이 이 책을 통해 알아져야만 하나라는 생각도 있었지만

추리소설이라 여기고 읽다 보니 책장은 잘 넘어갔다.

중학교 때던가? 포우의 검은고양이를 비롯해 몇몇 추리소설들을 읽었을 때의 오싹했던 느낌이 되살아나면서 얄궂게도 그 어린 시절이 잠시 그리워지기도 했다.


작품해설과 에밀졸라의 연보를 보고 드레퓌스 사건도 검색해 본다.


<에밀졸라를 비롯한 소수의 정의로운 지식인들의 용기 있는 행동으로 인해 지식인의 이미지가 좀 더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기존의 전통적인 지식인이란 단순히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엘리트 지성인 계층이었으나 드레퓌스 사건 이후에는 사회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사회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앞장서며 참여하는 계층이라는 이미지가 더해지게 된 것이다.> -위키백과 중에서



chat GPT로 인한 섬뜩한 느낌 때문에 앞으로의 시대는 어떻게 변할것인가 라는 생각으로 마음이 어수선하기만 한데, 

주구장창 이 책을 관통하는 "기차"가 주는 느낌도 그 시대에는 지금의 인공지능이 주는 느낌과 비슷하였겠구나라는 것을 작품해설을 통해 알게 되니,

시대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태도는 예나 지금이나 비슷한가 보다 싶은 생각을 하게 된 것이 이 책이 내게 주는 가장 큰 독후감이 될 것 같다. 










* 기차를 뒤쫓는 그의 시선은 잠깐의 보람이면 고단한 인생쯤 보상 받을 수 있다고 여기는 사람의 맑은 눈빛이었다. 


* 그는 사람의 경우에도 다른 장점들이 넘칠 경우 한 가지 악행쯤은 눈감아주는 것처럼 그만 체념하고 라리종호의 이 왕성한  식욕을 봐주기로 했다.


* 그런데 집에서 편안한 마음으로 지낼 수 있게 되고부터, 그럴 수 있다는 확신이 들고부터 싹싹 쓸고 닦고 정리정돈하고 싶은 의욕에 사로잡혔다.


* 그녀는 부둥켜 안은 채로 그의 귀에 대고 모든 것을 고백하면 자신이 그와 한몸이 되었다는 느낌이 한층 더 강해지고, 나아가 한몸이 되었다는 기쁨을 한 방울도 허비하지 않고 완벽하게 만끽할 수 있을 것 같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