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생각한 인생이 아니야
류시화 지음 / 수오서재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 전, 

내가 잡는 책들마다 류시화 라는 이름이 있었다.

해서 그를 네이버에서 검색해 본 적이 있다.

네이버에서 그는 혼자였다. 

그래서 미혼이라고 생각했는데 이 책에서 그는 기혼자였네.


그는 여성이 편한가 보다.

이야기 속에 나오는 사람들이 거의 여성이다.ㅎㅎ


책장이 어쩌면 이렇게도 옆으로 넘기기가 힘든지,

도무지 젖혀져있지않아 별을 하나 제했다. 









* 당신과 마찬가지로 이 인생은 내가 생각한 인생이 아니다. 내가 생각한 세상이 절대 아니며, 내가 상상한 사랑이 아니다. 신도 내가 생각한 신이 아니다(때때로 인간에게 가혹하다). 지구별은 단순히 나의 기대와 거리가 먼 정도가 아니라, 좌표 계산이 어긋나 엉뚱한 행성에 불시착한 기분이 들 정도이다.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모든 일들이 나의 제한된 상상을 벗어나 휠씬 큰 그림 속에서 펼쳐지고 있으니.


* 왜 우리는 자신의 삶을 살면서도 자기 삶의 심리학자가 되지 못할까? 우리는 한때 얼마나 옳았는가? 또 나중에 돌아보면 얼마나 틀린가?


* 내가 잠들었을 때 누군가는 나 대신 깨어 있다. 내가 길을 잃었을 때 누군가는 묵묵히 그 길을 걷는다. 내가 헛되이 시간을 보낼 때 누군가는 자세를 바로 하고 앉아 수행에 전념한다. 그들은 시공간을 초월해 우리와 연결된다. 당신은 어느 소울 그룹과 연결되어 있는가?


* 꽃을 보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어디에서나 꽃이 보인다. (...) 당신이 세상을 보는 방식은 세상이 당신을 보는 방식이다. 


* 돈이 전부가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면 행복한 삶이리라. 그러나 돈이든 그 무엇이든, 지금 '절벽 끝'에 몰려 있다고 불행한 것만은 아니다. 그것은 우리를 갑자기 절실하게 만든다. 그 중요한 순간에 생명력이 솟고 우리는 신이 토해 내는 숨결이 된다. 세상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도망칠 곳은 없다. 그때 우리는 스스로 하늘을 만들고 자신도 몰랐던 날개가 돋는다. 무엇인가 절실하게 갈구한 모든 순간이 날개였다. 그 절박함과 간절함이 내게는 날개였다. 날개를 잃었다면 떠올려 보라. 날개가 돋았던 어느 순간을.


* 고통받는 사람에게 그 고통이 생각이 지어낸 허상임을 알아차리기만 하면 기쁨으로 가득하게 될 것이라고 함부로 충고해서는 안 된다. 밧줄이 어떻게 무서운 혀를 날름거리냐는 말이 옳다. 


* 어리석은 자와 논쟁하면 더 어리석어진다. 누군가가 자신이 옳다고 주장하면 생명에 관련된 일이 아닌 한 열렬히 동의해 줄 일이다. 정말로 그가 옳을 수도 있지 않은가. 또 그가 틀리고 당신이 옳다면 굳이 논쟁할 이유가 무엇인가. 그러는 대신 크게 웃고 난 후 심호흡을 한다. (...) 상대방이 마음을 열 준비가 되지 않은 메시지를 이해하라고 강요할 수는 없다. 앞에서는 적극적으로 동의하고, 돌아서면 나의 가슴과 의지에 따른다. (...)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논쟁에서 이기는 내공이 아니라 논쟁에 휘말리지 않는 내공이다.


* 해버린 일에 대한 후회는 날마다 작아지지만, 하지 않은 일의 후회는 날마다 커진다. 우리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것, 생의 저녁까지 우리를 따라다니는 것은 하지 않은 일이다. 


* 생을 불태우려면 자신이 불타는 것을 견뎌야 한다.


* < 울음 >      -골웨이 키넬

단지 조금 우는 것은 소용없다

배게가 온통 젖을 때까지 울어야 한다

그런 다음에야 너는 일어나서 웃을 수 있다

그런 다음에야 샤워를 하며

얼굴 가득 물을 끼얹을 수 있다

그건 다음에야 창문을 활짝 열고

'하하하!' 하고 웃을 수 있다

만약 사람들이 '왜 그래?

무슨 일이야?'하고 물으면

'하하하!' 하고 노래하듯이 답하라

'기쁨은 마지막 눈물 속에 숨어 있었어!

그래서 그 눈물까지 다 울었어, 하하하!'


* 여행이 불완전한 자유라 불리는 이유는 여행은 실패의 연속이지만 그 길들이 우리를 만들어 나가기 때문이다. 실패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여행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