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소녀는 사양합니다 - 10대 여자로 나답게 살아가는 법
우에노 지즈코 지음, 이주희 옮김 / 티티 / 2022년 6월
평점 :
절판


어떤 행동이나 태도들이면 "착한 소녀"가 되는 것일까가 무척 궁금해서

이 책을 빌렸는데 그에 대한 답은 없어서 아쉽다.


법륜스님도 "착한 사람"에 대해 좋게 이야기 하지 않으시더라.

들을 때는 일리가 있다 싶었고 그에 대해 더 듣고 싶었는데

그 이상은 없어서 그렇다면 "착한 사람"은 어떤 사람을 두고 하는 말일까 라는

의문을 내내 가지고 있다. 



우에노 지즈코,

동양에서의 여성학 선구자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지 싶다.

그녀의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엄청난 매력을 느끼게 된다. 

때로는 너무 나가서 식겁하겠는 경우도 있지만.


어쩌면 이렇게 자기의 중심이 확고할 수가 있을까?

어쩌면 이렇게 열린 사고를 가질 수가 있었을까?


내가 10대였을 때 이 책을 읽었더라면 나의 사고에는 변화가 있었을까?

그랬을 것 같다.

10대 때부터 나는 많은 독서를 했어야 했다. 







* 연애 이외에도 즐거운 일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사람은 연애로만 살아가는 게 아닙니다. 연애는 그저 즐거운 일 중의 하나입니다. 즐겁지 않은 연애는 인생의 낭비니까 그만두는 게 좋습니다. 타인의 얼굴색을 살피며 사는 것은 멈추고 나 자신을 위해 삽시다. 


* 세상은 복잡하기 때문에 페미니즘도 단순한 흑백논리로 답을 낼 수는 없습니다. 인간도 마찬가지입니다. '좋은 사람이냐 나쁜 사람이냐'는 간단히 말할 수 없어요. 저는 내 편에게는 '친절한 사람으로', 적에게는 '무서운 사람'으로 살고 싶습니다.


* 여러분의 노력을 부디 자신의 성공만을 위해 쓰지 말아 주세요. 혜택 받은 환경과 혜택 받은 능력을 혜택 받지 못한 사람을 무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돕기 위해 써주세요. 그리고 강한 척 하지 말고 자신의 약점을 인정하고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세요. 여성학을 낳은 것은 페미니즘이라는 여성 운동입니다. 페미니즘은 결코 여자도 남자처럼 행동하고 싶다거나 약자가 강자가 되길 바라는 사상이 아닙니다. 페미니즘은 약자가 약자인 채로 존중받기를 원하고 바라는 사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