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럴수록 우리에겐 친구가 필요하다 - 우정이라는 가장 가깝고 확실한 행복을 되찾는 법
이름트라우트 타르 지음, 장혜경 옮김 / 갤리온 / 2022년 3월
평점 :
최근 친구에 대한 생각에 골몰하던 차
유튜브의 어느 사람이 이 책을 소개하기에 바로 빌렸는데
내가 원하던 책은 아니었다.
"내면의 그림자를 알아차려라"
이런 추상적인 표현이 이제는 와 닿지가 않고
다만 친구예찬에 대한 책쯤 되겠다 싶으니 흥미가 뚝 떨어져서 설렁설렁 읽게 되더라.
서로 다툰 친구에게 화해하는 방법이
전화를 해서 상황 설명에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보고싶어'라는 한마디로 정리가 되는 것은 배울 만 했다.
(보고싶어 라는 말을 할 정도의 친구라면
글쎄... 나의 경우라면 다툴 일이 없을 것 같기도 하고...)
내가 생각하는 친구는
적어도 배울 점은 있어야 하지 싶다.
우에노 치즈코의 아래의 말에도 난 백번 공감한다.
"친구란 십 년 동안 만나지 않아도 마치 어제 헤어진 것처럼 재회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십 년이나 만나지 않았다는 것은 십 년 동안 만날 필요가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당신의 삶 속에 그 사람이 있을 자리가 없었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다. 당신이 그를 필요로 하지 않고 그 또한 당신을 필요로 하지 않는 그런 관계에 지나지 않는다. 소중히 하고 싶은 관계라면 마땅히 '관리'가 필요하다."
여기서 내가 생각하는 '관리'는 나에 대한 관리에 그친다.
내가 그에 걸맞는 사람이기 위한 스스로의 관리, 그것이면 족하지 않을까?, 아닐란가??
내가 바로 서면
친구가 많으면 많은 대로, 적거나 없으면 또 그대로 좋을 것 같고,
덧붙이자면 내 경험 상,
좋은 친구, 훌륭한 친구는 나를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은 진리인 듯 싶다.
* 너무 완벽하면 신이 화내셔.
* 아무 말 하지 말고 가만히 들어줬으면 좋겠어. 예기를 하다 보면 나 스스로 뭐가 문제인지 깨닫게 되거든, 그때까지 인내심을 갖고 내 말을 들어줄 사람이 필요해.
* 하느님, 저렇게 어이없는 칭찬을 지어내는 그녀를 용서하시고, 그럼에도 그 말이 듣기 싫지 않은 저를 용서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