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에 간 붓다 - 배트맨과 사천왕의 공통점에서 〈생각하는 사람〉과 〈반가사유상〉의 차이까지 명법 스님의 불교미학산책
명법 지음 / 나무를심는사람들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절에 가면 보이는 벽화 내지 탱화는 그 내용을 가늠하기가 늘상 어렵더라.

어쩌면 내가 모르는 그런 그림에 대한 내용일까 싶어

제목을 보자마자 설레임이 일었는데......


막상 책을 펼쳐보니 나에게는 다소 어렵다.

그러나 이 다음에 절에 가게 되면 

벽화를 좀 더 찬찬히 살펴보기는 할 것 같다. 

동자승에 대한 이해는 충분해서 고개가 끄덕여졌네.







* 우리 시대의 불상은 어떤 얼굴을 하고 있을까? 어쩌면 불상의 얼굴보다 수행자들의 얼굴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대웅전에 있는 불상이 그 절 스님들의 얼굴을 닮는다는 이야기가 있듯이, 이 시대의 불상은 이 시대 수행자의 얼굴을 닮을 테니 말이다. 


* 누구든지 부르기만 해도 달려온다는 관세음보살은 세상 사람들에게 잘 알려진 친근한 존재이다. 


* 오백 명의 아란한 중 대표인 나반존자는 백발에 흰 수염을 드리우고 흰 눈썹이 길게 드리운 노인으로 묘사된다. 운문사 사리암의 나반존자가 점잖고 부드럽고 온화한 할아버지라면, 해인사 희랑대의 나반존자는 웃음 가득한 주름진 얼굴이 동자처럼 해맑다. 


* 젊은 대륙 미국에는 없고 늙은 대륙 아시아에는 있는 것, 바로 '노인을 위한 나라'이다. 특히 절집에는 노스님을 존경하고 봉양하는 아름다운 관행이 아직까지 남아 있다. 


* 발저의 소설은 낮은 지위를 받아들이고 다른 사람을 섬기는 야콥의 선택을 통해 진정한 평화와 행복이 근대인이 추구하는 자유와 성공이 아니라 신화의 세계 언저리에 있던 하인의 무위와 수동성에 있음을 암시한다. 

언제든지 공손하게 몸을 낮추는 명부전의 동자상들은 '주체적이고 진취적인' 근대적 인간이 아니라 신화 속의 '종속적이고 수동적인' 존재이지만 가장 충직한 인간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진실한 인간이 가진 아름다움은 결코 눈에 보이지 않는다."


* 불교에는 수많은 종류의 불상이 있다. 탄셍에서 열반까지 뭇다 일생의 중요한 순간을 형상화한 것은 물론이고, 석가모미불을 비롯하여 아미타불, 약사불, 비로자나불 등등 셀 수 없이 많은 불상이 있다. 


* 두 손바닥을 마주 대하여 합장하고 손끝에 시선을 모아 보라. 이미 마음이 하나가 되어 있다. 합장한 손은 저절로 신체의 중심축에 놓이고 그곳에 충만해지는 기를 느낄 수 있다. 이렇게 합장 하나만으로 몸과 마음을 고요하게 만들 수 있다. 


* 연꽃의 향기가 세상을 가득 채우듯이 고결한 인품은 세상을 정화 시킨다. 연꽃의 아름다움은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듯이 수행자의 덕행은 모든 사람에게 기쁨을 준다. 덕을 행하는 자는 부드럽고 연약한 연꽃 줄기가 바람에 꺾이지 않는 것처럼 겸손하게 몸을 낮추면서도 항상 올곧다. 꽃과 열매가 동시에 맺히듯이 착한 행동은 반드시 좋은 결과가 있기 마련이다. 온갖 꽃들의 싹은 서로 비슷하지만 연꽃의 싹은 처음부터 다르듯이, 될성부른 사람은 아무리 몸을 낮추어도 다른 사람들과 구별된다. 남루한 옷차림에도 그의 인격은 고귀하게 빛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