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만의 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0
버지니아 울프 지음, 이미애 옮김 / 민음사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자기만의 방


<인형의 집>에서도 독립적인 삶을 살아라,

<남편을 버려야 내가 산다> 에서도 독립적인 삶을 살아라,

<타샤 튜더>도 독립적인 삶을 살아라,

그리고 이 책, <자기만의 방>에서도 독립적인 삶을 살아라 라고 부르짖는 듯 싶다.


존경하는 내 친구 ㅁ, 

그녀도 독립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고 외친다.


그래, 그래야지! 암, 그렇고말고!



"여성"이라는 위치가 그렇게도 설 자리가 없었구나.

그래서 노라가 위대하고,

그래서 타사튜더가 대단한가 보다(이 책을 읽고 보니 그녀의 정원도 대단하지만 

그녀의 독립적인 정신을 더 우르러고 싶다).


평생을 정신질환에 시달리면서도 

어쩜 자기만의 방을 이렇도록 강력하고 확고하고 주장할 수 있는건지!

이런 위대한 인물이 있어서 

지금의 내가 여성이라는 이유로 위축되지 않고 

당당하게 사회의 일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을 것이다. 



이 책은 

(...) 없을 것입니다.

(...) 안됩니다.

(...) 없었습니다 등의 문체여서 처음에 읽어나가는데는 다소 식겁했다.


이런 문체는 내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이고, 

그녀의 이야기를 내가 다 들어야 한다고 생각하니 숨이 턱 막히더라.


차라리 

없을 것이다. 안된다, 없었다 라는 문체였다면 

더 편하게 읽을 수 있을텐데... 싶던 생각이 책의 마지막으로 가니 

아, 그건 강하게 주장하기 위함이었구나 라고 이해하게 된다. 


사람들이 하도 말을 많이 해서

그걸 다 들어주기에 요즘의 나는 조금 버겁다 싶은 생각이 있었더니

책에서도 이렇듯 민감하게 반응하는 내가 보인다.




*지적 자유는 물질적인 것들에 달려 있습니다. 시는 시적 자유에 달려 있지요. 그리고 여성은 그저 이백 년 동안이 아니라 역사가 시작된 이래로 언제나 가난했습니다. 여성은 아테네 노예의 아들보다도 지적 자유가 없었습니다. 그러니 여성에게는 시를 쓸 수 있는 일말의 기회도 없었던 거지요. 이러한 이유로 나는 돈과 자기만의 방을 그토록 강조한 것입니다. (...) 무슨 수를 써서라도 여행하고 빈둥거리며 세계의 미래와 과거를 성찰하고 책을 읽고 공상에 잠기며 길거리를 배회하고 사고의 낚싯줄을 강 속에 깊이 담글 수 있기에 충분한 돈을 여러분 스스로 소유하게 되기 바랍니다. 


*즉 좋은 책이란 바람직한 것이며, 좋은 작가들은 비록 그들이 인간적으로는 갖가지 타락상을 드러낸다 하더라도 좋은 인간들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내가 여러분에게 더 많은 책을 쓰라고 권하는 것은 여러분 자신에게 그리고 세계 전반에 도움이 될 일을 하라고 촉구하는 것입니다. 


*나는 그저 다른 무엇이 아닌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 훨씬 중요한 일이라고 간단하게 그리고 평범하게 중얼거릴 뿐입니다.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겠다는 생각은 꿈도 꾸지 마시오 하고 나는 말할 겁니다. 그 말을 고귀하게 들리게끔 표현할 수 있다면 말이지요. 오로지 사물을 그 자체로 생각하십시오. 






2. 3기니


<오만과 편견>을 읽기 전에 이 책을 먼저 읽었더라면 

그 책에 대한 이해가 훨씬 잘 되었을텐데 라는 생각을 하면서

고전을 읽을 때는 그 시대의 문화적인 특징 정도는 알고 읽어야겠구나 싶다.

오래 오~래 전,

18, 9세기에는 여성의 자리가 그렇게도 없었다는 것을 몰랐다. 

"교육 받은 남성의 딸", 

정말 멋드러진 표현이라는 느낌을 다 읽을 때까지 하게 된다. 

이런 센스있는 함축에 비해서 전체적인 글은

너무 주저리주저리여서 다 읽어내는데 상당한 인내심과 시간이 걸렸다. 

그 시대에 자기주도적인 삶을 살고자 한 버지니아 울프는 

영웅적이면서도 용기있는, 진취적인 여성이었을 것 같은데,

그래서 오히려 시대와 맞지 않아 괴로움때문에 병이 깊어져버린 것은

아니었을까 싶기도 하다. 

가사노동의 값어치를 벌써 1938년에 이야기 했다는 것이 경이롭다. 


이 책의 요지는 다음의 문장일 것 같다.


<그것은 "모든 인간 - 모든 남성과 여성-이 정의와 평등과 자유라는 

위대한 원칙을 몸소 누릴 수 있는 권리"를 주장하는 것입니다. (p. 404)>






* 한 세계에서 교육 받은 남성의 아들들은 공무원, 판사, 군인으로 일하고 그 일에 대한 보수를 받습니다. 다른 세계에서 교육 받은 남성의 딸들은 아내 어머니, 딸로 일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 일에 대한 보수를 받지 못하고 있지 않습니까? 어머니, 아내, 딸의 노동은 화폐로 환산해 볼때 국가에 아무런 가치도 없는 걸까요? 


*남성은 즐길 수 있습니다. 여성은 수동적으로 견딜 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