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더듬이 원식이 ㅣ 쑥쑥문고 8
김일광 / 우리교육 / 199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권정생, 이오덕 선생님과 겹쳐진다.
이런 선생님들께서 나의 선생님이셨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16년을 학교를 다녔고, 최소한 16분 이상의 선생님을 만났겠지만
존경하는 선생님 한 분 계시지 않는 것은 여간 쓸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내 자식에게도 온전히 믿음을 내지 못하는데 하물며 학생에게랴!
원식이를 믿지 못해 화를 내다가 끝내 아이의 손을 잡고
널 믿지 못해 미안하다는 속말을 하시는 담임 선생님의 그 마음이
얼마나 내 가슴 가득히 젖어드는지...
시골이 도시화 될 때의 그 안타까움을 읽을 때는 뉴타운 개발계획으로 인해
삶의 터전이 위기에 놓이게 되는 너구리들에 대한 애니메이션
<폼포코너구리대작전>이 생각났다.
산이 어떻게 무너지고, 신도시가 어떻게 생겨나는가를
정말 실감나게 볼 수 있는 애니메이션이다.
일본도 한 때는 이 개발계획으로 인해 수 많은 산천이 처참하게 무너지더라.
우리나라는 지금도 진행중이라는 것에 더욱 분노가 인다.
개발과 발전만이 능사라고 말하는 민주주의는 혐오스럽다.
묵고 묵어서 오래 된 것이 주는 경외감을 양산 통도사에서 경험했다.
개발과 발전은 새 것만이 능사라고 말하는 듯 하지만,
양산 통도사에서는,
오래된 것이 품고 있는 역사와 세월의 흔적, 그것이야말로 사람을 굴복시키는,
숙연하게 만드는 강한 힘이 있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곳이었다.
비록 많은 구설이 있는 시인 고은이지만
더 이상 개발금지, 발전금지, 발견금지 라던 그의 시는 정말 일품이라고 생각한다.
참 따뜻하고 포근한 동화책이다.
<권정생, 이오덕, 황선미> 가 나의 동화작가였는데
<권정생, 이오덕, 황선미, 김일광>으로 이제는 4분이 되어서 더 좋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