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수업 - 삶을 창조하는 법상 스님의 마음학교 1
법상 글.그림 / 무한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사과 한 쪽에 온 자연이, 정성이 다 담겨있음을 알았다.

그런 사과가 내게로 왔다.

감사합니다, 스님!

 

 

 

 

 

 

*이것! 지금 이 자리에, 내가 이 자리에 깨어 있을 수 있는 것, 이 자리로 가져다 주는 것! 그것만이 실재입니다. 내가 온전히 지금 이 자리에 있을 때 모든 걸 포용하게 되고, 내가 완전히 觀하고 있을 때 모든 것을 허용하게 됩니다. (...) 내 인생에서 뭔가 껄끄러운 평상심에서 벗어나는 무언가의 경계가 나타난다면 '아, 이게 바로 나를 붙잡는 방어벽이구나. 이게 바로 나의 행복과 자유로움과 깨달음을 방해하는 방어벽이구나'하고 바로 알아차리고 그것을 포용하길 바랍니다. 나한테 오는 모든 것을 완전히 포용하기 바랍니다. 허용하고 받아들이세요. 그러면 진리는 나에게 엄청난 파동으로 파도쳐 들어올 것입니다. 그 파도쳐 들어오는 것을 내가 막지만 않으면 된다는 겁니다.

 

*이미 수도 없이 경험해 보았고, 전혀 새롭지 않으며 다 아는 것이라는 생각이 없이 매 공양 시간을 전혀 새로운 마음으로 맞이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전혀 새로운 일을 할 때나 전혀 새로운 곳으로 여행을 떠날때는 어때요? 온 감각이 다 깨어나고, 집중하게 됩니다. 그것처럼 밥 먹을 때도 밥 먹는데 온전히 집중하게 되면서 깨어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야말로 밥 먹을 때 오직 밥만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파장을 담고 있는 얼음판 조각 하나에서 조약돌 3개의 입체상을 볼 수 있었던 것처럼, 조각과 파장 하나에서 전체를 볼 수 있듯이, 나라는 존재 속에서 이 우주 전체를 볼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나뿐만아니라 이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그 어떤 물질이든, 사람이든, 생명이든, 공간이든 그 모든 것은 다양한 형식의 파동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결국 그 모든 것들 속에서 온 우주의 모든 전체 정보를 다 볼 수 있다는 말이 되는 것입이다.

 

*모든 것을 연결시키는 근본적인 차원의 에너지 장을 영점장(zero-point energy) 혹은 정보장(field of information)이라고 말합니다. 영점장이란 양자물리학의 주요개념으로 허공이 텅 비어 있어서 아무것도 없느 ㄴ것이 아니라 이러한 비국소성을 가능하게 하는 온갖 정보와 능력, 특성을 다 갖추고 있으며 우주의 모든 것을 연결시키는 장일뿐 아니라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일체 모든 정보를 고스란히 단고 있는 장이기도 합니다. 이 영덤장, 정보장을 불교식대로 표현하자면 연기법이라는 상의상관성, 업보, 인과응보가 펼쳐지는 장인 법계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켜보는 것이 바로 나의 본체이고 당체입니다 그래서 '관찰하라' '깨어 있으라' '어떤 놈이 관하고 있는가 그것을 돌이켜 보아라' '보는 놈을 돌이켜 보아라' 하는 얘기가 있는 거에요. 그러니까 우리가 본다는 것, 주시한다는 것, 분별하지 않고 해석하지 않고 그 상황을 지켜본다고 하는 것, 그것이 우리를 순간순간 부처로 만들어 준다 이 말입니다.

 

*현실을 창조하려면 마음이 맑게 비워져 있어야 합니다. 맑고 깨끗해야 된다는 것이지요. 깨끗하고 텅 비어 있을 때 어떤 한 가지 생각이 일어나면 그 생각이 강력한 에너지를, 힘을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 마음은 항상 혼란스럽고 망상이 들끌고 온갖 생각들이 죽 끓듯이 왔다갔다 오락가락합니다. 어떤 일을 할 때도 하루에 수십 번 수백 번 이렇게 할까 저렇게 할까 하니 한 가지 원하는 것에 힘이 집중되지 않는 것입니다. 요즘 잘하는 말로 몰입이 안되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마음이 흐트러져 우리 마음에너지를 강력하게 쓸 수 없는 상황이 돼버립니다. 그래서 명상과 수행을 통해서 마음을 고요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그 명상과 기도 끝에 하는 발원이 힘을 받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고 했습니다.

 

*행복이라는 것은 자신이 원하는 모든 것을 창조해 냈을 때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 내가 원하는 모든 것이 창조되었다는 사실을 깨닫는 데서 옵니다. 자신이 원하는 모든 것을 얻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이미 자신이 지니고 있는 것이 바로 그 원하던 모든 것이었음을 아는 것이 핵심입니다.

 

*우리가 깨달을음 얻고자 하는 모든 목적이 자비와 사랑에 있다면, 사실 내가 수행을 해 나가면서, 마음공부를 해 나아가면서 또 절에 다니면서, 내가 어느 정도 마음공부가 되었느냐, 내가 어느정도 영적으로 성숙되었느냐, 나의 삶에 어떤 진보가 있었느냐, 내가 조금 더 깨달음에 가까워졌느냐, 이것을 살펴보려고 한다면, 그것은 내가 얼마만큼 자비로워지고 있느냐를 살펴보면 되는 것입니다. 내가 절에 다니기 전보다 절에 다니면서 조금 더 자비로워졌느냐, 무자비하고 악의에 찬 화와 증오에 물든 행동을 얼마만큼 더 줄여 나아가고 있느냐, 내가 많은 사람들을 볼 때 얼마만큼 더 사랑이 깊어지고 있느냐, 내 마음이 사랑과 자비로 넘쳐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내가 얼마만큼 수행이 되어가고 있고, 얼마만큼 삶을 바른 방향으로 살아가고 있는지, 그것을 판가름해 볼 수 있는 매우 소중한 잣대가 된다는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