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별일 없어도 읽습니다 - 여전히 익숙해지지 않는 인생에 대한 탐구
노충덕 지음 / 모아북스 / 2024년 6월
평점 :

별일 없어도 읽습니다
삼국지, 손자병법의 책은 오랜 세월이 흘러도 사람들이 꾸준히 읽고 있다. 이유가 뭘까?
책 속에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지식과 지혜가 있기 때문이다. 삶을 살면서 고민에 빠지거나 해결을 해야 하는 문제를 접할 때 책을 펴 보면 된다. 이런 상황이 오면 사람들은 먼저 고민을 해결한 사람들이 적은 놓은 사례를 찾아봄으로써 처한 상황을 쉽게 풀어 갈 수 있다.
책이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누가 그렇게 열심히 책을 읽겠는가. 손자병법 책은 지구 곳곳 여러 나라 사람들이 읽고 있다. 헬스 운동을 하면 근육이 단단하고 튼튼해지듯이 독서를 하면 정신과 마음의 근육이 튼튼해 짐을 느낀다. 이렇게 규칙적으로 독서를 하게 되면 치매 질병도 예방을 할 수 있다.
독서는 겸손과 배려를 몸에 배게 해준다. 그만큼 일상에서 화를 다스리고 남을 배려하는 마음가짐이 생겨 몸이 알아서 행동하고 남과 싸우는 일이 줄어든다. 책 속의 내용에는 여러 작가가 쓴 책 소개가 많이 나온다. 모두 인기가 있었던 책으로 읽어보지 않은 책이 많다. 책 제목을 정리하여 목록을 만들고 자투리 시간에 읽도록 해야겠다.

책에 좋은 글귀가 있어 옮겨 본다.
"수백 권의 책을 읽어가며 인생이란 어떤가 살펴보니 동양과 서양, 과거와 현재에 공통된 지점이 있다. 현재의 삶이 중요하니 죽음을 두려워하지 마라. 인생의 주체는 자신이며 행복과 불행을 함께 존재한다. 행복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고통과 시련이라는 불행을 이겨 내는 것이 행복이다. 불행도 시간이 흐르면 크기가 작아지고 잊힌다. 항상 맑으면 사막이 된다. 비가 내리고 바람이 불어야만 비옥한 땅이 된다. 인생은 오디세이 서사시다." Page 6
서적에 깊이 있게 몰입하여 책과 한마음이 되면 경제에 입문을 하는 것처럼 되고 자기 내면의 생각과 책의 내용이 일치가 되어 도가 트는 것이다. 이런 상황이 오면 흔히 종교에서는 깨우침이라고 한다. 독서를 많이 하면 시야가 넓어져 앞을 내다보는 깊이가 다르다. 프로 기사가 바둑을 둘 때 여러 수를 내다보듯이 책 또한 앞을 내다보는 혜안을 준다.
또 독서의 장점으로 보면 긴장과 스트레스를 풀어주고 마음이 안정되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시기나 나이를 떠나 환경 변화에 맞게 꾸준히 우리에게 도움을 준다. 이러니 사회적으로 성공을 이룬 사람들도 자기에 침대 모서리에는 늘 책이 놓여 있다. 좋아지는 내용으로 정신 자극으로 생각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관심 항목에 대한 지식이 쌓여 대화의 질이 좋아진다.

머리에 남는 글을 중요한 대화에 사례로 인용이 가능하다. 어떤 일을 수행함에 있어 집중력 향상으로 일이 잘 풀리고 무엇보다 책을 읽을 때 편안함이 가장 좋다.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은 힘들고 어려운 일이 와도 노력하여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그 노력 속에 독서도 포함이 되어 있고 책 속에 답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 모두 하는 일에 바빠 책을 가까이하지 않는 것 같다.
다산 정약용은 귀향을 살면서 책과 한 평생을 같이 살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8년이면 작은 세월이 아니다. 그 기간 동안 책을 500 여권 펴냈으니 한 달에 2권을 작성한 셈이다. 책을 많이 쓸 수 있는 있는 힘은 바로 독서에서 나온다.
경험하고 쓴 글을 우리가 읽음으로써 시간을 절약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경험했던 것들을 배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많은 경험을 체험하기가 어렵기에 간접 경험을 하면서 자신의 인생을 건강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런 일에 감사함을 느끼고 일을 시작함에 있어 활력과 의욕이 넘치면 성공한 셈이다.

하루 루틴의 일과에서 독서를 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드는 일이 매우 어렵다. 현대인은 먹고살기 위해 모두 바쁘게 움직인다. 일찍 출근하여 전날 일을 정리하여 보고하는 일, 오전, 오후 나눠 해야 할 일을 매진하다 보면 퇴근 시간이 다가온다. 이때는 거의 에너지가 바닥이 난다.
시원한 맥주로 스트레스를 날려 버리려고 하지 책을 잡으려 하지 않는다. 그러나 지금의 현실에서 앞으로 전진을 하려면 꼭 책을 가까이해야 한다. 책을 읽는다고 바로 일취월장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을 함에 있어 생각을 하게 되고 사고의 능력이 향상 일의 효율이 오르는 것은 사실이다. 유명한 CEO들 모두 독서 광으로 확인이 되지 않았는가.
감사합니다. (제네시스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