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의 차이를 만드는 금고엄마의 돈 공부
심명희 지음 / 원앤원북스 / 2024년 3월
평점 :

부의 차이를 만드는 금고엄마의 돈 공부
16년 새마을금고 근무 이력으로 유튜브에서 "금고엄마" 를 운영하며 금융 지능에 좀 약한 젊은이들에게 금융에 대한 교육 지원에 나선다. 금융이해력지수란 금융과 지수의 합성어라고 하며 은행을 단지 이자 수입 목적으로 만 사용을 해서는 안된다. 은행을 자기 금고로 생각을 하며 투자를 할 때도 사용을 하고 여유 돈이 있을 때는 일정한 기간 예치를 해 두고 다음 투자에 준비를 해야 한다.
본인 신용도가 좀 좋아졌다고 생각이 되면 은행 사이트에 접속을 하여 금리 인하도 요구 할 수 있다. 가만히 있으면 은행에서 알아서 고객님. 신용도가 좋아져서 금리를 인하하겠습니다. 라고 절대 이야기를 해 주지 않는다. 잡아 놓은 고기는 절대 다시 바다로 내 보내지 않는 것이 어부이며 은행이다.
그리고 개인 신용도를 조회 한다고 해서 신용 등급이 내려가지 않으니 언제든지 확인을 해도 되며 신용 점수 관리는 평상시에 잘 관리를 해 두는 것이 여러 면에서 좋다. 많은 돈을 은행에 빌릴 때 금리 1%의 이자는 어마 어마 하다. 10억 원을 빌리면 년 이자가 1 천 만원이 되는 것이다. 현금 서비스와 뱅크론은 사용은 신용 등급을 낮추기에 가급적이면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 신용카드는 사용 한도를 풀로 사용을 하면 은행에서 이 사람 돈이 많이 부족한 모양이구나 라고 생각을 하기에 2/3 정도 상용을 하면 좋아 한다. 월 소득이 300만 원 받는데, 카드 사용 금액이 600만 원이며 이 또한 과 소비로 신용 점수를 낮춘다. 담보든 신용이든 대출을 일으키고 제때 월 이자를 성실히 납부를 하면 은행에서 수입으로 연결이 되기에 굉장히 좋아한다.

은행은 예대마진으로 매출을 올리며 직원들에게 억대의 연봉을 준다. 좀 위험한 PF 대출만 아니면 경영이 어렵지 않아 보인다. 세상 사람들이 돈을 얼마나 좋아 하는데 은행은 망할 일이 있겠는가. 한 번은 회사 생산부 직원과 이야기를 하는데, 자기는 퇴직 하기 전에 100억 원 벌고 나간다고 하기에 놀라서 어떻게 그렇게 벌 수 있는지 물으니,
벌써 주식을 오랫동안 해서 30억 원을 벌어 놓은 상태이며 이제 코인으로 4~5배 정도 벌 수 있다고 자신감이 차 있다. 사업을 하는 사람도 아닌 회사원도 가능할까 의심이 들었지만, 주식으로 이미 검정을 하였기에 좀 신뢰는 가는 편이었다.
우리나라에서 넉넉한 수준이 어느 정도일까? 살고 있는 집 빼고 현금 자산이 30억 원 정도로 생각이 된다. 책에 보면 풍차 돌리기 내용이 있는데, 이것은 올바른 투자가 아닌 듯 하다. 월 마다 관리 포인트도 많고 그 시간에 책을 한 권 읽는 것이 더 나아 보인다.
지금 물가가 많이 올라 투자 하기를 꺼리지만 고수들은 벌써 준비에 들어갔다. 일반인들은 아직 투자의 기회로 보지 않지만 전문가들은 발 빠르게 움직이며 이런 고수를 알고 지내는 사람도 행운인 것이다. 그러니 고수를 사귀어 놓는 것도 좋은 투자 방법이다.

돈이 있는 사람들은 어렵게 번 돈을 이자 3% 이하로 주는 은행에 맡기지 않는다. 이는 물가 상승 분 즉 인플레이션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달러나 채권 쪽으로 이동을 하며 금융 위기 즉 서브프라임 모기지나 IMF 가 올 때 한 몫을 한다. 또 한 사이클이 바뀌면 거꾸로 우량 주식 매입이나 환차익을 노린다.
경제에 관한 교육도 재산처럼 자식에게 잘 물려줘야 한다. 재산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경제에 관한 상식으로 환율이 오르면 왜 외국인이 주식을 팔고 나갔다가 다시 내리면 들어오는지 이치와 기관과 외국인은 돈을 버는데 왜 개인은 늘 돈을 갖다 바치는지 알지 못하고 주식 시장에 들어와서는 안된다.
금융에 대한 교육이 중, 고 수업에도 어느 정도의 분량을 넣어 사회에 진출을 하였을 때 쉽게 적응을 하고 혼란이 없도록 했으면 하는 생각도 해 본다. 언제까지 기관이나 외국인의 총알받이가 되어서는 안되지 않는가. 감사합니다. (제네시스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