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의 신 - 충주시 홍보맨의 시켜서 한 마케팅
김선태 지음 / 21세기북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홍보의 신


유튜브로 유명하다고 하니 어떤 사람인가 조사를 한번 해 본다. 김선태 저자는 대학 중퇴, 고시 공부 6년의 이력이 있고, 공무원 시험도 두 번째에 성공하여 농촌 시골에서 농업직불금 그러니까 실제 농사를 짓는 사람을 조사하여 정부에서 나오는 돈을 송금해 주는 업무를 하였다. 이 사람의 MBTI는 나와 같은 ISTJ 로 빈틈이 없고 야무진 사람인데, 어떻게 직불금 대상자를 놓쳐서 자기 돈으로 메꾸어 넣는지 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저자는 충청북도 충주가 고향으로 인구 20만 정도의 소도시다. 이 곳이 연고가 아닌 사람을 잘 모르는 동네임에는 틀림이 없다. 자기 동네를 모른다고 너무 기분 나쁘거나 슬퍼 할 일은 아닌 듯 하다. 어떻게 전국 많은 지명을 다 알 수는 없잖아. 청주는 인구도 80만 넘고 박물관, 동물원 등 충청북도의 도청 소재지로 충주와는 차원이 다른 도시로 충주와 비교하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


유튜브도 하나의 영상이기에 많은 손이 가는 작업이다. 방송 같은 경우는 여러 사람 즉 작가도 필요하고 기자, PD 등이 필요하지만, 유튜브는 혼자서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책은 장수가 그렇게 많지 않아 금방 다 읽었다. 이 사람이 왜 유명해졌는지 전혀 알 수가 없다. 인터넷으로 유튜브를 한번 조회를 해 봐야겠다.



유튜브는 찾는 고객의 조회수가 생명인데, 조회수를 늘리는 일이 힘들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열심히 동영상을 올린다고 해서 알고리즘이 너 참 잘하네 하면서 인기가 있는 것으로 만들어 주지는 않는다. 일정한 시간이 지나고 데이터의 자료가 많이 쌓여야 알고리즘이 좋아하고 반응을 해 준다.


업무에 대한 스트레스를 겪어 보지 않는 사람은 잘 모른다. 본인이 하는 업무 외 다른 것 즉 생소한 일을 시키면 걱정으로 실제 잠이 잘 오지 않는 스트레스를 받는다. 이런 상황이 오면 살도 빠지고 회사에 가고 싶은 생각이 사라진다. 그러나 조직 사회에서 어떻게 본인이 하고 싶은 일만 할 수는 없는 것이 아닌가. 여기 저자도 농촌 직불금을 송금해 주는 일을 하다 충주를 소개하는 홍보팀으로 이용을 하여 유튜브를 하라고 하니 난감하였을 것이다.


삼성의 고 이건희 회장의 뒷다리론 이야기도 나오는데, 어떻게 홍보 유튜브를 잘 했다고 해서 9급에서 8급도 아니고 6급 공무원으로 진급을 시켜주는지 좀 이해가 가질 않는다. 사실 충주사과나 청송사과나 거기서 거기 입니다. 얼마나 농장주가 거름을 많이 주고 가지치기를 열심히 하고 사과나무에 애정을 쏟았나 차이 아닐까요. 


영국의 경찰이 속도를 위반하는 차량을 단속차 운전기사에게 딱지를 끊으려고 하는데, 뒤에 타고 있던 영국의 처칠, "이봐 좀 바빠서 그러니 좀 가게 해주게" 라고 말을 하였다. 영국의 수상이면 바쁘다고 해서 신호를 위반 하지 않습니다. 거짓말 하지 마세요. 하면서 단속 스티커를 정상적으로 발급을 하였다.


나중에 처칠이 담당 경찰의 상사에게 그 사람 법을 잘 지키니 일 계급 승진을 해 주라고 이야기를 했지만, 담당 상사의 경찰은 자기의 업무를 정상적으로 한 사람을 일 계급 특진을 시킨 사례는 없습니다. 하고 마무리를 하였다고 한다.


그럼, 우리나라는 영국에 비해 법을 잘 지키지 않는 나라인가? 자기의 업무를 잘 했다고 해서 3 계급이나 올려주는 것을 영국의 경찰이 봤으면 뭐라고 하였을까 ? 역시 개발도상국 답구나 하지 않았을까. 이래서 우리나라는 아직 선진국이라는 소리를 못 듣는데 한 몫을 하고 있다.



대기업에서 스카웃 제의로 연봉 1억 원이 들어 왔는데, 왜 가지 않았을까? 이 또한 궁금하다. 공무원으로 1억 원 이상을 받으려면 차관 정도는 되어야 하는데 말이다. 충주시의 시장님이 대단해 보인다. 일찍 유튜브의 위력을 아시고 홍보팀의 말단 직원에게 한번 시도를 해 보라고 이야기를 한 것이 신의 한 수 인 듯 하다.


바야흐로 쇼츠의 시대입니다. 이 바람을 일으킨 플랫폼은 단연 "틱톡" 일 것입니다. 실제로 틱톡의 상승세는 무섭습니다. 2018년 글로벌 서비스를 시작한 틱톡은 숏폼의 선구자 역할을 했습니다. 2022년 1분기에 이르러서는 1인당 월 평균 사용 시간에서 틱톡(23.6시간)이 유튜브(23.2시간)를 앞서기도 했습니다. Page79


우리도 이런 틱톡과 유사한 콘텐츠를 만들어 인터넷 강국인 면모를 보여 줘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개콘에 나오는 별 시답잖은 개그 동영상 같은 유튜브로 아직 멀었다. 세계의 고객들은 이 시대를 뛰어 넘는 획기적이 영상을 기다리고 있다.

감사합니다. (제네시스 드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