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계의 언어 - 나를 잃지 않고 관계를 회복하는 마음 헤아리기 심리학
문요한 지음 / 더퀘스트 / 2023년 12월
평점 :
관계의 언어
어떻게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있을까? 과거 오래전에 인기 드라마였던 사극 [궁예]에서 관심법이 유명했다. 궁예의 인물로 나온 김영철은 최수종(고려 왕건)에게 너의 마음 즉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나는 다 알고 있느니라" 로 인기를 누렸다. 그러나 사람의 마음 속은 본인 외 누구도 알 수가 없다.
상대를 관심과 배려로 믿음이 생겨 속마음의 이야기를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마음 읽기가 아닐까. 대화에서 무시 경험이 있는 사람은 상대가 나를 무시한다고 생각을 하기 쉽기에 마음 읽기의 정확도는 상대의 눈치를 잘 살핀다고 해서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나의 입장과 상대의 입장이 서로 일치해야 오 갈 수 있으며 난 당신의 마음에 관심 따위는 관심이 없다고 표현을 하면 대화는 끝이 난 셈이다.
인간관계에서 상대를 생각해서 한 말이나 행동인데 좋은 소리를 듣기는커녕 상처를 주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또한 상대의 마음을 깊이 있게 헤아리지 못한 경우로 상대가 힘들어 할 때는 상대의 말을 경청해 주거나 호응 정도로 해줘야지 절대 조언을 하려고 달려 들어서는 안된다.
마음 읽기는 자기 짐작으로 상대의 마음을 판단하는 것이며, 마음 헤아리기는 판단을 멈추고 상대의 마음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으로 관계에서 중요한 건 자기 중심적 노력이 아니라 상대의 마음과 내 마음이 다르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질문을 통해 상대의 마음을 헤아려 보는 것이다.
상대를 바로 잡아 주려는 행동은 가급적이면 자제를 하고 상대의 이야기를 잘 들어 주는 것 만으로도 반 정도는 성공한 셈이고 호응까지 해 주면 100점까지 주고 싶다. 말은 그 사람의 속내를 알 수 있는 전달 매체이고 서로 관계의 내용을 바꾸려면 생각하는 마음까지 바꿔주면 좋다.
저의 MBTI 는 ISTP 로 호기심이 많고 눈과 손으로 직접 탐구 하는 것을 좋아한다. 타고난 손 기술을 지니고 있는 장인으로 기술자나 엔지니어로 일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처럼 전적으로 맞는 것은 아니지만, 자기의 성격을 한번 확인을 해 보고 그기에 맞게 행동을 해 보는 것도 괜찮아 보인다. 아무것도 모른 상태에서 행동 하는 것보다 효과가 있지 않을까.
회사 생활을 하다 보면 여러 부류의 사람을 만난다. 먼저 남의 이야기는 듣지 않고 자기 이야기만 주구장창 하는 사람, 또 이와 반대로 거의 이야기는 없고 듣기만 하는 사람 다양하게 존재한다. 무엇이든 적당한 것이 바람직하며 남이 이야기 할 때는 끼어들지 말고 들어주고 너무 말 없이 조용히 있는 것 보다는 자기의 의견을 표현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사람은 절대 고쳐서 사용을 할 수가 없다. 서로 좋지 않는 감정을 가지고 있으면 가급적 떨어져 있는 것이 현명하고 떨어질 수 없고 한 사무실에서 같이 근무를 한다면 사적인 대화는 자제 하고 꼭 업무에 필요한 대화만 하면 된다. 그래야 같은 공간에서 생활이 가능하다. 이렇게 대하기 어려운 사람 열 명 중 한 두 명은 꼭 존재하고 있어 현명하게 대처 하는 것이 최선이다.
이렇게 사람과의 관계 개선에서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책을 집필하여 주신 저자님께 아낌 없는 박수를 보내 본다. 감사합니다. (제네시스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