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처받지 않는 관계의 비밀 - 웹툰으로 알려주는 인간관계 심리 처방전
최리나 지음, 연은미 그림, 천윤미 일러스트 / 미디어숲 / 2023년 7월
평점 :
상처 받지 않는 관계의 비밀
어제 밤 꿈은 군대 이야기로 소총과 준비물을 못 챙기는 꿈이었는데, 왜 이런 꿈을 꾸는지 모르겠다. 지금 하고 있는 일에 놓치는 부분이 없는지 너무 집착하고 고민을 많이 해서 그런가. 여기 책에 이런 현상의 내용이 있는지 궁금하여 확인 작업에 들어가 본다.
책에 초기에 인격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먼저 강박성 인격으로 집착과 사소한 것에도 집요하게 매달리는 성격의 소유자로 이런 사람에게 질책보다는 먼저 인정을 해줘야 하며 대화가 과연 먹혀 들어갈지 의심이 들고 체면을 상하지 않도록 예의를 보이면 더 기고만장 할 것 만 같은데 나만의 생각일까.
넷플릭스 드라마 더글로리에 나오는 주인공 동은(송혜교)은 엄마에게 완전 털리는 내용이다. 드라마의 내용처럼 복수 외에는 어떤 다른 방법도 없어 보이며 친구에게 당한 것은 어느 정도 복수를 하였지만, 엄마에게 당한 것은 가볍게 다뤄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드라마를 보듯이 사람은 절대 기계 부품처럼 고쳐서 사용을 할 수 없는 동물이다. 어떻게 관심과 대화로 풀어보려고 하지만, 오히려 더 꼬이는 수가 많이 있으니 너무 자기를 희생하면서 까지 관심을 보일 필요는 없다. 한번 뿐인 인생 남을 위한 희생은 말아야 한다.
사회 생활 즉 회사에서 팀장과 코드가 많지 않아 회사를 관두는 젊은이들이 많다. 지금의 MZ세대는 많이 개선이 되어 자기 능력에 초과되는 업무는 과감하게 못한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는 분위기다. 그러나 과거는 팀장이 거의 고을의 사또 수준으로 일도 부하 사원에게 줄 때 평일이 아닌 금요일 퇴근 무렵에 오더를 주면서 월요일 아침에 보고를 하라고 한다. 그럼 그 당사자는 토,일요일이 없는 것이다.
이 세상의 삶에서 내가 베풀지 않고 먼저 남이 해 주길 바라는 마음은 버려야 살 수 있다. 과거처럼 더 이상의 가부장제는 없으며 각 개인의 삶 방식이 있기에 서로 존중해 주고 선을 넘지 말아야 한다. 나이를 아무 생각 없이 거저 먹지 말아야 한다. 저자는 결혼 생활이 평탄치 않아 이혼과 결혼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심리학을 공부하여 상담사 역할을 하고 있다.
자신처럼 아픔을 겪는 사람들을 상담하고 지혜를 보태 밝은 사회로 만들고 또 경험 사례를 정리하여 책으로 내 놓아 필요한 사람들을 맞이한다. 책은 총 3부 나눠 한평생 살아가면서 일어나는 경험을 정리하고 한 단원마다 내용을 재미있게 웹툰까지 만들어 독자로 하여금 지루함이 없게 해 준다.
저자가 전해 주는 인간관계의 비밀 꿀 팁은 온갖 풍파를 이겨 낸 마흔 넘은 언니들의 노련미와 성숙미가 담겨 행복한 관계를 꾸려 나갈 수 있는 지혜를 전해 주고 책을 읽는 누구라도 인생 최대의 고민인 대인 관계 문제를 뛰어넘어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는 저자들의 간절함이 간결하게 담겨 있다.
만약 어떤 관계이든 내 삶을 통제하거나 자유 의사를 박탈한다고 느낀다면, '나는 당신의 뜻과 다름니다'라고 자기 의사를 당당히 밝히고 그 누구를 만나더라도 주변 관계를 단절하지 않아야 하고 진정으로 사랑한다면 상대방 가족이나 친구까지도 보듬어주고 안아주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타인에 의해 조정 당하지 않기 위해선 내 존재의 가치를 깨달아야 한다.
부부 관계를 위해 당신은 평소 어떤 노력을 하고 살았는가. 그 노력은 당신이 판단한 노력인가, 아니면 상대가 바랐던 노력인가? '노력했는데 왜 알아주지 않아?'라고 하소연하기 전에 상대가 바라는 게 무엇인지 고려하거나 먼저 상대에게 의사를 묻고 행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앞으로는 나를 위한 삶의 기준을 세워야 한다. 이것이 탄탄한 자존감과 자기 인정을 안겨줄 것이다. 만족이나 인정을 외부가 아닌 내 안에서 찾으면 회복 탄력성은 자연스레 높아진다. 자존감이 높아지면 자연히 타인의 SNS를 보더라도 상대적 박탈 감을 쉽게 느끼지 않는다. 자신에게 변화를 주지 않는다면 평생 주변에 의해 흔들리는 갈대 같은 삶은 지속될 것이다.
삶에 있어 진정으로 감사함을 느끼는 태도는 손상된 관계를 회복 시키고 자신의 인생이 기쁨으로 충만해지는 나로부터 시작해서 나를 둘러싼 타인과 사회까지 행복을 전이 시키는 해피 바이러스 이기도 하다. 내가 행복하면 내 가족도 행복해지고 나와 엮인 모든 사람에게 행복이 멀리 퍼질 것 같다. 감사합니다. (제네시스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