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번째 대멸종 시그널, 식량 전쟁 - 기후 변화와 식량 위기로 포착하는 파국의 신호들 ㅣ 서가명강 시리즈 34
남재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국가가 지속 가능하게 발전하기 위해서는 농업도 함께 발전해야 한다.
농업이 추락하면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생존에 필요한 식량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식량자급률이 굉장히 낮아서 외국에 식량 의존도가 높은 나라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OECD선진국 중에서 가장 먼저 식량 위기를 겪을 수도 있다.
세계 곳곳의 식량난 문제는 아무리 시간이 흘렀어도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곳이 너무나 많다. 뉴스를 통해 내전이나 밭을 만들 수 없는 날씨로 인해 늘 먹을 것이 부족한 그곳을 볼 때면 반대로 먹을 것이 넘쳐나 음식물 쓰레기가 넘쳐나는 곳이 떠오른다. 식량난 관련으로는 여러 책이 출간이 되었는 데 흔히, 가장 궁금한 것은 한 국가에서 음식이 남아돈다면 그것을 지원해주면 되지 않나 싶지만 여기서 또한 내가 알지 못한 여러가지 과정이 있음을 알았을 때 이것 역시 쉽지 않음을 느꼈다. 그렇다고 식량 부족 국가에 제한없이 지원하는 것도 아니라 어느 적정선에서 더 이상 지원에 대한 의미가 없으면 그것 역시 중단을 한다는 사실이다. 아, 정말 그러면 이것은 그냥 죽으라는 것 밖에 되지 않는다. 그런데, 이런 선택을 하는 기관 역시 고민 끝에 결정을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오늘 서가명강에서 만난 [6번째 대멸종 시그널, 식량 전쟁]을 읽음으로써 국내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식량 부족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고 또 그 원인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이 되었다.
지구는 안정적인 간빙기 즉, 홀로세가 되면서 정착하고 농업이 시작 되었고 이후 문명(전체적으로)이 발달 되었다. 그리고 여기에 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과학이 발달하면서 모든 것을 인간의 노동으로 했던 것을 산업 혁명으로 기계가 등장하게 되었다. 빠른 발전으로 많은 것이 발달한 대신에 인간에게 아니 모든 생명이 있는 것에게 중요한 기후가 차츰 달라지게 되었다. 그 중 온난화는 점점 올라가는 기온으로 인해 바다 생물까지 위협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저자는 책을 통해서 독자에게 말하고자 하는 것은 기후 변화로 인해 기존에 농업은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어 그 기후에 따라 새로운 식물(벼 또는 곡물 등)을 개량연구해야한다고 한다. 국내에서도 오래 전에 '통일벼'를 만들어 부족한 식량난을 해결했듯이 미래에도 꼭 필요한 것임을 피력한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정부에서 조차 농업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데 한국과 일본은 그렇지 못하고 있다고 하는데 , 정말 미래에 먹을 것이 없다면 단순히 굶어 죽는 게 아니라 전쟁이 불가피하게 일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만들어진다는 점이다.
2010년 북아아프리카와 중동에서 발생한 '아랍의 봄'은 익히 들었을 것이다. 독재정권에 대한 시위라고 하지만 그 이면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 발생한 가뭄으로 곡물 생산이 줄어들면서 수출 제한이 생겼다. 곡물을 주로 수입하는 나라에서는 당연히 식량은 줄어들고 반대로 식료품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서 여러가지 사건이 일어나면서 결국 시위로 이어진 것이다. 이는 한 나라에서 멈추는 게 아니라 일부 지역으로 퍼져나가면서 정권이 무너지게 된 것이다. 이처럼 식량은 인간이 생존에 있어 중요한 것이기에 한 국가가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미래를 바라보고 풀어야하는 과제다. 그러나, 이제는 기후가 과거 달리 기온 상승이 높아져 농사를 지어야 하는 땅들이 메말라가고 있다. 여기서 앞서 적었듯이 저자는 그 기후에 맞게 곡물을 개량한다고 말한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온난화에 원인이 되는 것을 설명하면서 가축 중 소가 특히, 배출하는 가스가 기후에 영향을 끼치고 있어 소 사료에 해초를 첨가해 온실가스를 줄이는 방법 등이 있음을 알려준다.
책을 읽으면서 국내도 곡물 수입이 높다는 것을 알았다. 수입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농업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인데 수입에 의존하게 되면 '아랍의 봄'은 아니어도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도 있다. 필리핀과 아이티 두 나라는 선진국은 아니나 30년 전만 해도 식량 자급이 가능한 국가였지만 수입 농산물이 들어서면서 농업이 흔들렸고 결국 시위나 일어나게 되었다. 그러나 기후는 점점 변하고 있어 식량이 부족하면 부족하지 앞으로 풍족하지는 않다. 앞서 적었듯이 한국은 아직 식량난 문제가 크지 않다(저소득층을 제외하곤) 하지만 기후 변화와 점점 변해가는 기상으로 지금부터 식량 자급을 준비해야한다. 저자가 원하는 것은 바로 이것이다. 또한, 곡물 수입이 100% 사람이 먹는 것이 아니고 소 사료용으로 사용을 하고 있어 육식을 줄이는 것을 권장한다. 이외에도 몇 년 전 꿀벌 개체수가 줄어들어 문제가 된 것과 음식물 폐기물로 인한 온실가스 등 200페이지 되는 책이지만 대중에게 식량난과 기후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 해 주고 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