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가 편한 사람들의 관계 심리학
데보라 잭 지음, 이수연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펼치기전 제목을 보고 운둔형이나 타인과 어울리지 못하는 사람들의 유형을 소개하는 줄 알았는데 내성향과 외성향을 잘 구분해 놓아서 읽으면서 지루하지 않았다. 더불어,자신에게 테스트를 할 수 있는 부분도 있다보니 자신의 성향이 어떠한지를 파악한 후 이것이 나쁘다 좋다가 아니라 그러한 성격에 대한 설명을 해주고 있어 흥미를 잃지 않았다.

 

때론 사람들은 상대를 파악할때 내성적이다 외향적이다 하는데 이 애기를 듣다보면 내성적은 좋지 않고 외향적이 좋다는 이야기로 말을 한다. 분명 둘다 장단점이 있는데 무조건 외성적인 성격이 좋다는 것으로 애기를 해서 정말 내성적인 사람들은 부정적이고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모습으로 간주해버리니 어디서 내성적이다고 하니 우선 멀리서 바라보게 된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 책은 장점과 단점을 끄집어 내어 설명하고 있어 위축이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내성적인 성격은 우선 조용하다 그리고 집중하는 것을 좋아하며, 말하기 전에 생각을 하기에 상대에 대한 배려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외향적인 성향은 활발하지만 생각하기전에 말을 하는 경우가 있다보니 언어 실수를 할때도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물론, 이 두가지 성향을 다 가지고 잇는 중간형은 장점을 더 많이 가지고 있다. 

 

저자 역시 내향적 사람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런데 사람들은 오히려 외향적이지 않냐는 질문을 던지는데 그것은 직업의 영향 탓이다. 말을 해야하는 것이기에 앞서 애기를 하고 강의를 하거나 컨설팅을 하는데 말을 하지 않고 일을 할 수 있겠는가.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어쩔수 없이 타인 앞에서 말을 해야하는 경우가 종종 있을 터인데 그때마다 외향적이라 생각을 했는데 그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스스로도 외향적이지 못하는 것에 대해 스트레스를 간혹 받았는데 내향적의 장점과 외향적의 장점을 골고루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았기에 한편으로는 평안한 마음이 생기기도 했다. 

 

특히,국내는 과거 침략과 전쟁을 치뤘기에 혈액형에 대해 어느 나라보다 관심이 높다. 상대를 파악하기 앞서 먼저 물어보고 성격을 판다하는것 그리고 그 혈액형에 맞지 않다면 이상하다고 보는 사람들의 시선이 참으로 이해가 어렵다. 수학공식 처럼 정해진 것이 아닌데도 말이다. 물론, 100%로는 아니어도 어느정도는 성향이 나타나지만 이제는 이런 부분으로 상대를 알기도 전에 성격을 파악하지 않았으면 한다. 

 

"성격은 능력이 아니라 성향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 본문 중- 

 

자기계발서나 사람들의 심리에 대해 써 놓은 책들은 한동안 읽을 때가 있었는데 이번에 새로이 만난 이 책은 그동안 답답했던 부분을 해결해준듯 읽는 내내 속이 후련하기만 했다. 아무래도 , 스스로의 성향에 대해 타인들의 추측이 많다보니 그동안 스트레스가 되었던거 같다. 내성적인분들이 이 책을 선호 할 것이 많은데 외향적인 분들이 읽어도 무난하고, 장단점을 다 볼 수 있기에 이해가 되면서 타인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