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리 세컨즈 1 - 생과 사를 결정짓는 마지막 3초 그렌스 형사 시리즈
안데슈 루슬룬드.버리에 헬스트럼 지음, 이승재 옮김 / 검은숲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소설과 다르게 생동감을 느낄 수 있는 책이다. 교도소에서의 탈출을 소재로한 영화 <프리즌 브레이크> <쇼생크 탈출> 과는 색깔부터가 다르가 다가왔다. 살고자 한다면 죽음과 가까이 하라. 이 문장이 머리속에서 내내 떠나지 않았다. 정보원 단어는 드라마나 추리소설을 통해 들어봤기에 익숙한 말이다. 그렇다면 과연 어느정도 이 글에 대해 느끼고 있는가. 단순히, 경찰을 돕기 위해 끄나풀 이라고 표현할 만큼 인간이하의 취급을 받아야 하는 존재들인가. <쓰리 세컨즈> 접하는 순간 당신은  '정보원'에 대한 생각이 180도 바뀔 것이다.

 

여기 9년동안 경찰의 정보원으로 활동한 '호프만 피에크'라는 한 남자가 있다. 이어, 여러 정보원을 둔 경찰이 있다. 그중에서도 그는 오랫동안 일해왔던 남자 '피에트 호프만'에 대해서는 신뢰와 믿음 그리고 걱정 이 세 단어가 항상 따라다녔다. 범죄조직을 소탕하기 위해 범죄자를 사용 하는 시스템은 드라마 소재로도 종종 등장하였고, 그들의 심리 상태를 알 수 없었다. 그렇기에 무식하고 경찰에게 약점을 잡혀있는 모습으로 비추어졌는데 여기 등장하는 남자 '호프만'은 인간의 내면의 두려움과 살고자 하는 본능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아내와 아이들을 둔 가장으로서 정보원으로서 이중의 삶을 살아가야하고 언제 목숨위 위태로울지 미래를 볼 수 없는 현실이였기에 그의 불안한 마음은 다른 소설과 달리 더욱 강하게 느껴졌다.특히, 그에게 마지막 임무가 주어졌을때 그 공포는 극도로 달하였다.

 

보이테프라는 폴란드의 마피아 조직을 무너뜨리기 위해 정부청사에서도 '호프만'을 이용하기로 결정하게 되면서 사건은 시작된다. '오직 범죄자만이 범죄자 연기를 할 수 있다.' 보이테크의 내부에 깊숙이 침투한 유일한 정보원으로 이 기회가 아니면 스웨덴으로 점차 세력을 키우려는 이 조직을 제거할 수 가 없다. 모든것을 걸고 마지막으로 임무에 착수하기 시작한다. 특히, 이 과정에 뜻하지 않는 살인사건이 일어남으로써 더욱 긴장감을 주고 있다. 이 살인 사건을 맡은 '에베트 그렌스'경정은 사건이 마감이 되었으나 여전히 경찰의 직감으로 무엇인가를 느끼고 있었고 결국 진실에 마주했을때 그가 선택한 것은 무엇일까.

 

'호프만'의 뒤를 봐주고 있는 경찰 '빌손'의 활약은 두드러지지 않다. 단, 그의 마음이 '호프만'를 생각하는 부분이 절실히 다가왔다. 수많은 정보원중의 하나라는 사실과 믿지 않는 다는 말을 하면서도 그의 생각은 친구와 같고 그리고 믿고 있다 라는 말을 수없이 내뱉는다. 과연 정보원과 경찰 관계에서 이런 감정이 생길 수 있을까.

 

또한, 살인사건을 수사하는 '그렌스 경정'은 자신의 실수로 연인을 잃어버렸다. 그 죄책감으로 보이지 않는 감옥에 자신을 가두어 버렸는데 이 사건을 접하기 시작하면서 무너뜨리기 시작하고 있다. 적어도 이 책에서는 눈여겨 볼 인물은 바로 '피에트 호프만'과 함께 '에베트 그렌스 경정'이다. 각각 다른 위치에 있으나 결국 살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을 절실히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감옥에 대한 생생한 묘사와 범죄자들의 모습들. 영화를 통해서 봐왔기에 낯설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감옥의 생활이 더더욱 긴장감을 불어 넣었고, 마지막 목숨을 건 상황에서 어떻게 될지. 다음 장이 기다려져 손에서 원고를 놓을 수가 없었다.

 

특히, 고위 관리직을 상대로 도전했던 '그렌스 경정'의 대담함에 박수를 보내고 싶었고, 이 소설의 통쾌한 마무리! 정말 이 한 순간을 위해 그렇게 긴장감과 불안을 떠안고 원고를 넘기게 했던 것일까. 그렇다고 결정하고 싶다. 왜냐하면 , 마지막장을 덮고난 후 스스로가 '호프만'이 된 듯 마음의 평안을 찾았기 때문이다.

 

저자들의 전작인 <비스트>를 접하기 않고 읽었기에 얼마만큼 생동감이 넘쳐날지 알 수 없었다. 그러나, 책을 읽고도 그들이 이 책을 한층 더 실감 나기 하기 위해 직접 교도소에 수감되었던 사람들의 조언을 얻었다는 사실. 이어  마약이라는 무서운 존재의 이동 경로 또는 교도소의 작업실 화장실 구조와 여러달에 걸친 군 저격수를 섭외 '특별강의'까지 받았다는 것과 함께 마지막으로 이 소설이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재구성 되었다는 사실이다.  과연 실제와 허구를 독자들은 구분을 할 수 있을까. 아마 그렇지 못하기에 더더욱 이 소설에 끌리고 있는 것이다.

 

정말 마약중독과 같은 이들의 소재에 유혹이 되고 있는 가운데 또 다른 책이 출간을 기다리고 있다. 이번에는 사형제도의 정당성과 허점을 예리하게 파헤치는 소재. 또 어떠한 긴장감과 불안감 뒤에 평정을 줄지 너무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