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위로 - 모국어는 나를 키웠고 외국어는 나를 해방시켰다
곽미성 지음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다른 두 개의 세계 속에 각각의 내가 있다.

그 언어들이 나를 만든 건지, 내가 그 언어에 맞는

자아를 매번 꺼내는 건지 모르겠다.

-본문 중-

언어는 한 사람에게 무엇을 의미할까? 인류 역사를 보면 언어로 국가가 분류되고 번역을 통해 해석을 해 놓지만 겉면으로 보여주는 단어의 뜻과 다르게 그 나라의 문화를 담고 있어 아무리 외국어를 할 줄 안다고 하더라도 그 깊이까지 가기는 어렵다. 한국어만 보더라도 '정'이라는 단어를 외국인에게 설명할 때 어떻게 전달해야 그들에게 단어 뜻과 같이 한국인이 가지는 그 감정을 느끼게 할 수 있을까? 사실 그냥 해석하면 되겠지 했는데 오늘 <언어의 위로>를 읽으면서 이 부분이 쉽지 않음을 깨닫게 되었다.

영화 공부를 하기 위해 무작정 프랑스로 떠난 저자. 프랑스어를 할 줄 알았냐고? 전혀 아니었다. 한국에서는 프랑스어는 영어만큼 큰 차지를 하지 않는다. 영어권이 많으니 확실히 이 언어를 배우면 도움이 된다. 하지만, 프랑스어라니.. 공부조차 해보지 않는 나에게도 이 언어는 어렵다는 것을 익히 들었던지라 전공자가 아닌 상황에서 떠났다는 게 대담하고 놀라웠다. 그리고 그곳에서 어학원을 다니고 언어를 배우면서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다른 점을 느끼고 더 나아가 언어를 통해 정체성을 느끼게 되었다.

사실, 도서 제목을 보고 자기 계발과 같은즉, 철학적 요소가 있을 거라 생각을 했었지만 아니었다. 오히려 언어가 주는 생각과 문화를 만나게 되었는데 편지를 쓰더라도 간단한 인사말이 아니라 상대를 존중하는 단어를 쓰는 프랑스어가 낯설었고, 토론을 즐겨 하는 이들은 결코 감정적으로 상대를 이기려는 게 아니고 오직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고 다름을 받아들인다. 그렇기에, 서로 생각이 달라도 그저 다를 뿐 인간적으로 서로 적이 될 필요가 없다. 이에 대해 저자는 문화의 차이라 말한다. 그리고 그 문화로 인해 한국어와 프랑스어 사이에게 방황하기도 했었다고 고백한다.

'내 언어의 한계는 내 세계의 한계이다' 명언이 있다. <언어의 위로>를 읽으면서 문득 이 문장이 떠올랐다. 모국어가 아닌 곳에서 20년간 외국어를 사용하며 산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언어는 사용하지 않으면 결국 잊히게 마련인데 그 사이에서 얼마나 방황을 했을까? 이를 보면 언어가 인간에게 주는 것은 단지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신념과 삶의 의지를 가져다주는 것을 깨달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