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세의 작품은 소설 말고도 시와 산문을 읽었다. 사실, 그림까지 그렸다고하니 그는 글 뿐만 아니라 그림으로도 자신의 생각을 전달했나 싶었다. 난 오히려 소설 보다 이렇게 산문으로 헤세를 더 알아가는 거 같다. 오늘 만난 <미치 세상과 사랑에 빠지기>는 저자의 작품 중 일부를 모아놓은 책으로 다양한 글이 담아져 있다. 소설의 일부분 또는 산문 그리고 시로 어우러진 이 책은 읽을 때마다 생각에 빠진다. 헤세의 세상은 어땠을까? 혼란스러운 시기에 작가로서 자신의 신념을 향해 살아간다는 게 힘들었을텐데 나아간 인물이다. 저자의 글은 고요하면서 힘이 있다.
다양한 주제로 써내려간 글을 읽을 때 삶을 더 생각하게 하는데 나이를 한 살 한 살 먹는 요즘 [노년에 관하여] 글은 그 제목만으로 끌렸다. 노년의 모습은 그동안 살아온 세월을 보여주는 지표가 되는데 헤세는 더 나아가 죽음과 신성함에 대한 경외심를 갖고 있다면 가치 있는 일임을 말한다. 인생의 허무함을 느낄 수도 있는데 이것을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문장은 앞으로 내가 나가야 하는 길을 어떻게 생각하고 바라봐야하는지 생각하게 한다.
그의 시에서 느낀 삶의 한 자락을 읽으면서 헤세라는 인물에 대해 더 궁금해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다. 도서의 제목은 뭔가 거친 느낌을 주었지만 사실 그만큼 삶에 대한 열정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결론을 지었다. 다른 고전 작품도 사는 동안 읽을 이유가 충분하지만 헤르만 헤세의 작품은 자기만의 개인적인 고유한 영역을 지키라고 끊임없이 말하고 있음을 강조하니 더 깊이 자각을 할 수밖에 없었다. <미친 세상과 사랑에 빠지기>은 결코 쉽게 읽혀지는 책은 아니지만 필사를 하기에 적합한 도서라 천천히 필사에 도전을 해 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