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의 맛 - 셰익스피어처럼 쓰고 오스카 와일드처럼 말하는 39개의 수사학
마크 포사이스 지음, 오수원 옮김 / 비아북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장은 말 대신 전달하는 것으로 청각이 아닌 시각으로 감각을 깨운다. 같은 표현이라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사람의 관심을 끌기도 하는 데 오늘 만난 <문장의 맛>은 수사법과 수사학 공식을 소개하고 있다. 물론, 여기엔 셰익스피어의 문장를 단락마다 거의 예시로 들면서 그가 완벽한 문장을 쓴 것이 아닌 다른 이의 문장을 가져왔지만 여기서 수사학으로 표현했기에 더 빛을 발하게 된 것임을 말한다. 즉, sns에 요리 과정이 나왔고 이를 보고 더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내는 원리다. 글을 쓴다는 게 어떤 것인가? 최근 관련 주제로 책을 읽으면서 글쓰기에 대한 생각이 달라졌다. 작년 부터 거의 매일 에세이처럼 글을 쓰고 있는 데 거의 일기 형식이다.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니 편안하게 쓰는 데 쓰다보니 생각이 많아지고 솔직한 감정보단 조금 꾸며서 쓰려고 노력한다. 즉, 수사학을 적용해 보려고 하는 데 이게 쉽지가 않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수사학을 배웠냐? 아니다 본능적으로 한 문장이라도 집중이 되는(?), 그런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저자 마크 포사이스는 <문장의 맛>으로 처음 알게 되었다. 언어에 대한 방대한 지식을 가진 인물로 그가 쓴 책은 제목만 봐도 이 분야의 전문가임을 알 수 있다. 책은 총 39개의 수사학을 알려주고 본문엔 예시로 소설과 영화의 장면들을 적어 해당 수사학에 대한 설명을 한다. '두운(인간은 똑같은 글자로 시작하는 단어를 선호)법'을 시작으로 셰익스피어의 문장을 가져와 알려준다. 그런데,문장을 읽고 있다보면 이런 문장이 수사학의 한 부분이었어 라고 의아할 때가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쓰는 모든 문장을 이 기법으로 바꿀 수가 있다는 의미다. 단조로운 문장을 강하게 남기기 위해서 끝을 마무리 짓지 않는 '돈철법' 본문 예시에 "방 청소해, 그렇지 않으면 ㆍㆍㆍ" 이런 방식이다. 그리스에서는 수사학이 기본으로 배우려는 사람들이 많았는 데 왜 그들이 노력을 했는지 이 문장을 보면서 알게 되었다.

 

또한, 책은 번역본으로 사용 언어는 '전치법'이다. 전치법이란 단어의 순서를 엉뚱하게 바꾸는 것인 데 영어는 단어들이 들어가야 할 자리가 마련 되어 있어 블록처럼 끼워 맞추는 것인데 명사를 수식하기 위해 등장하는 문법은 한정사->형용사 ->명사 다. 톨킨은 어릴 적 친모에게 녹색의 거대한 용이라고 말했다가 거대한 녹색의 용이라고 지적을 받았다. 우리 역시 어순이 어긋나도 이상한 느낌을 받는다. 전치법을 자주 쓰지는 않지만 간혹 영화 대사로 등장하면서 한 번 쯤 더 생각을 하게 만든다는 사실이다. 여기에, 마침표 역시 영문법에 중요한 구두점이다. 보통, 문장이 끝나는 것을 난타낼 때 쓰지만 미국인은 본인의 말을 강조할 때 사용한다. 이 구두점이 고대 수사학에서 가장 복잡하고 난해한 개념 중 하나라고 하는 데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지는도 모르지만 중요하게 믿었다는 점이다. 셰익스피어의 예문은 구두점 즉, 도미문이 없이 이어지는 데 이 뿐만 아니라 존 밀턴의 [실낙원] 의 일부 문장을 발췌한 것을 보면 마침표가 보이지 않으니 왠지 계속 연장되는 기분이 들었다.

 

'이사일의' 수사법이 있는 데 책을 읽으면서 가장 좋아하게 되었다. 이건, 형용사와 명사로 이뤄진 문장에서 앞 형용사를 다른 명사로 교체해 표현하는 것이다. 본문 예시로 "나는 시끄러운 도시에 간다" -> "나는 소음과 도시에 간다" 라고 바꾸니 앞 문장이 현실적인 도시 모습이라면 뒷 문장은 도시가 아닌 등장 인물의 감정을 먼저 느끼게 되었다. 소설을 읽다보면 이런 표현들이 종종 있었는 데 이것 역시 수사학이었다니 놀랍다. 그런데 이것을 셰익스피어를 제외하곤 사용하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고 하니 왜그랬을까? 저자의 말로는 셰익스피어 초기 작품에 이사일의이 거의 등장하지 않다가 갑자기 우수수 쏟아졌다고 하고 그 때 발표한 작품이 대부분 정점에 오른 것이다. 이를 보면 정말 셰익스피어가 어떤 인물이었는지, 의문점이 많기도 하지만 그가 남긴 흔적은 연구를 해도 끝이 없다. 또한, 영어에서는 동사가 중요하다. 한국어는 동사가 맨 뒤지만 영어는 주어 다음으로 나와 과거인지, 미래인지, 현재인지를 알려준다.

 

때론, 동사가 없는 문장이 등장하기도 하는 데 앞서 적었듯이 동사는 그 문장의 상태를 보여주는 데 동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독자에게 단순히 배경을 보여주는 것인지, 과거인지 현재인지 아무거나 생각을 할 수가 있다. 저자는 디킨스의 소설 [황폐한 집] 첫 문장인 '런던'를 예시로 들면서 훌륭한 문장이고 작가 자신만이 무슨 말을 할지 아는 것으로 런던의 모든 것을 말하고 서서히 좁혀가는 것임을 설명한다. 저자의 이야기를 읽고 있으니 그동안 소설을 읽으면서 홀로 던져진 단어들의 의미를 알게 되었다. 와~정말 놀랍다. 왜 그리스에서 수사학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간결한 표현이라도 이것이 어떤 수사학이면 심리적으로 어떤 반응을 일으키는지를 문장에서도 만났다. 초반 읽을 때는 번역본으로 어색했는 데 읽을 수록 수사학 기법이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했는지 알게 되니 흥미로웠고 앞으로 글을 쓸 때 의식해서라도 사용을 해봐야겠다.

 

셰익스피어는 자신을 신성한 존재로 여기지 않았다. 그는 대게 다른 사람들이 쓴 내용을 도용했다. 단, 이 극작가는 도용한 것을 더 훌륭한 것으로 만들었다. 그러기 위해 그는 수사법 공식과 수사적 표현이라는 꽃을 활용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