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름이 돋는다 - 사랑스러운 겁쟁이들을 위한 호러 예찬
배예람 지음 / 참새책방 / 2023년 6월
평점 :
최근 송승언 작가의 [덕후 일기]를 읽은 후 어느 것에 집중하는 사람들이 다르게 보여지기 시작했다. 즉, 사는 동안 관심을 가진다는 게 놀랍다는 생각만 들 뿐이었다. 그런데, 또 다른 덕후를 가진 도서를 만나게 되었다는 것!!! 그것도 바로 공포(호러를 포함)라는 사실이다. 그렇다고 저자가 겁이 없는 게 아니라 오히려 무서워서 이불을 뒤집어 쓴다는 데 그 와중에 스릴를 느낀다는 거다. 난? 무섭다 보고나면 꼭 잠자리가 심난해서 안보는 데 보고나면 뭔가 모를 통쾌함(?)을 알기에 아주 가끔식 보게 되었다. <소름이 돋는다>는 저자가 그동안 접한 공포와 관련된 게임,영화를 소개하는 데 어떤 것이 있는 지에서 마무리 되는 게 아니라 그 안에서 사회의 다른 문제점을 콕 집어 말하기도 한다. 국내 공포하면 역시 '전설의 고향'을 떠올리게 된다. 어릴 적 이불을 뒤집어 쓰면서까지 자매끼리 보기도 했었는 데 저자가 지적하듯이 생각해보니 왜 '처녀귀신'이 많고 원한이 많은 귀신은 거의 여성이다.
그 중 경남 밀양 부사의 딸 아랑의 이야기는 억울하게 죽었음에도 외간 남자와 도망쳤다는 소문에 아버지마저 딸에게 실망하고 밀양을 떠난다. 그로부터 새로운 부사들은 이상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데 그건 아랑이 귀신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 뒤에 내용은 어떻게 진행이 되는지 알 것이다. 그때는 그저 아랑이 억울하다, 여성이 약자였기에 당할 수밖에 없는 사연만 생각했는데, 저자는 여성의 위치를 약자와 억압을 처녀귀신을 통해 알려주었고 오락거리에 머물지 않고 여성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생각하게 만든다. <아랑사또전> 드라마와 <아랑>를 통해 여성의 억울함 죽음을 풀어가는 데 마음이 무거웠다. 귀신이라는 존재가..어쩌면 인간의 의해 만들어질 수밖에 없는 존재라 생각이 드니깐 말이다. 그런데 한편으론 귀신이 아닌 악령(?)은 어떻게 존재하는 것일까? 앞서 공포 그 자체를 안좋아하는 데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컨저링>은 다른 공포물과 다르게 무섭지만 흥미를 끌었다. 이 영화 역시 저자가 소개하기도 하는 데 항상 왜 이런 종류의 영화는 집안에 지하실이 있는 것인가? 책을 읽다보면 국내 집은 대부분 지하실과 다락이란 것이 없다. 그런데, 꼭 공포물을 보면 장소가 지하실 또는 다락에서 알 수 없는 존재(?)가 등장한다는 것인데 두 공간은 왜 공포물의 대상이 되었을까?
그러나 그 무엇보다 무서운 건 사람이다. 저자 역시 이를 강조한다. 소개 된 몇가지 괴담은 아무리 실제 이야기가 아니라 하더라도 두려움을 겪기엔 충분했다. 차라리 귀신이라면 그래 원한을 들어주거나 풀어주면 되지만 인간이 인간을 해하는 것은 원인과 이유를 전혀 알지 못하니 극도의 공포를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다. 인간은 익숙지 않는 것을 바라볼 때 가장 드는 감정은 바로 '공포'로 심리학에서도 미래에 대한 막연한 불안을 설명 할 때도 알지 못하기에 더 증폭되는 두려움이 있음을 말한다. 미화해서 공포라는 것을 이렇게 설명도 하지만 아마도 가장 인류가 겪고 싶지 않는 감정 중 하나가 공포가 아닐까 싶다. 그런데 이를 무서움이 아닌 하나의 오락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게임이나 영화로 등장하면서 시선이 달라졌다. 그렇지만 여전히 난 호러물이나 공포가 무섭다. 언제가 좋아할 날이? 전혀 생기지 않을테지만 가끔 아주 가끔은 공포가 주는 스릴을 느끼고 싶을 때 찾아볼 의향은 있다.
무(無)의 상태에서 갑자기 태어나는 괴담은 없다.
모든 괴담은 현실을 기반으로 창조되거나 재조립되며,
그 당시에 무엇이 화두에 올랐고 사람들이 어떤 생각과 감정을
품었는지를 명백하게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