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개인적인 군주론 - 나를 지키는 마키아벨리 500년의 지혜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15
이시한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 군주론을 읽은 적이 있는 데 그때 읽으면서 내용에 전혀 흡수가 되지 못했다. 물론, 지금도 마차간지였다는 사실이며 그저 고전이라는 것과 대중이 꼭 읽어야 하는 도서 목록의 하나라는 점만 알고 있다. 하지만, 도대체 어떤 내용이기에 시간이 그렇게 흘렀음에도 꼭 이 책을 읽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일까? 결국 이런 호기심 때문에 인생명강 시리즈에서 출간된 <아주 개인적인 군주론>을 읽게 되었다. 먼저 책은 <군주론>에 대한 설명과 저자인 마키아벨리가 어떤 삶을 살았는지 소개를 한다. 마키아벨리가 <군주론>를 쓰고 메디치 가문에 헌사를 했다고 해서 그가 고위 간부 직급이었다는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겨우 목숨만 건저 시골로 가서 하루하루를 겨우 살아가던 그 시기에 이 글을 쓰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또한 군주론이 쓰여진 배경엔 피렌체가 있었고 하루가 멀다 하고 침략과 승리가 교차하는 날들이 많았다. 이런 와중에 메디치 가문의 독극물 사건으로 목숨만은 건져 시골로 가게 되었다. 저자는 마키아벨리가 비록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명성을 얻지 못했지만 사는 동안 그는 절망적인 시간보다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지키며 글을 쓰고 독서를 했다. 물론, 다시 메디치 가문에서 그를 불러주기만을 기다렸지만 말이다.

 

<군주론>의 탄생은 혼란스러운 정치 환경에서 태어났고 오히려 마키아벨리는 피렌체를 점령하려는 교황의 아들인 '체사레 보르자'가 모델이었다. 오히려 점령을 하려했던 인물인데 왜? 사실 그는 체사레 보르자의 단호함에 '무릇 군주라면 저 정도는 되어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마키아벨리가 쓴 <군주론>을 읽다보면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면 참으로 폭군이고 이기적인 생각이란 것을 느끼게 되는 데 여기서 독자는 마키아벨리가 말하고자 하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한 나라든 기업이든 강력한 리더십으로 이끌어갈 사람이 필요하다. 그가 제시한 군주는 절대적인 모습이 아닌 상대적으로 시대와 신민들에 따라 달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때론 악행도 불사한다고 하는 데 이는 오로지 공익을 위한 행동이었을 때 해당이 되는 것이지 군주의 개인적 이익을 위해 해서는 안된다고 한다.

 

마키아벨리는 사악함이 나쁜 것이 아니라 그 사악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나쁘다고 말한다. 대의를 위해 대로눈 사악할 필요도 있지만 그것은 한 번이면 족하다는 뜻이다.

-본문 중-

 

너그러움과 두려운 군주 중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이냐 할 때 대부분 전자를 선호하겠지만 현실적으론 후자 선택해야 이끌어 갈 수 있다. 왜? 마키아벨리는 너그러움은 언젠가 신민들이 군주에 대한 충성을 잊어버리고 넘어서려는 반면 두려움의 군주는 그렇지 못한다고 설명한다. 이건 기업도 마찬가지인데 사람의 마음은 참 간사해서 늘 좋다가도 한가지가 서운하면 그렇게 서운할 수가 없음을 느낀다. 그랬기에 미리 그는 이런 기대감을 키우지 말것을 경고했었다. 또한, 더 나아가 종교와 정치의 분리가 그를 더 유명하게 했었는 데 유럽은 기독교 중심이라고 할 정도로 종교에 대한 신념이 남다르다. 당시엔 교황청의 허락을 받고 모든 것을 행했기에 이를 분리한다는 것은 쉽지도 않는 것이면 마키아벨리에게도 역시 위험한 것을 알았기에 직접적으로 교황에게 도전은 하지 않았다. 그러나, 훗날 이 책이 퍼지면서 군주와 교황의 절연이 되는 충분한 사유가 되었다는 점을 보면 그는 시대를 앞서간 인물임을 알 수 있다.

 

<군주론>이 고전임에도 현대까지 영향을 끼치는 것은 정치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리더로 직원을 대하는 것과 한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선 어떤 선택을 해야하는지를 비슷한 모습이 많기 때문이다. 물론, 당시 피렌체는 전쟁이 난무했기에 군주에겐 전쟁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것을 제외하면 현대사회에 필요한 조언이 들어있는 도서다. 군주로서 잔인함과 자비로움 중 잔인함을, 이상이 아닌 현실을 직시해야하는 것, 필요에 따라 신의를 버리는 것(이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는 데 신의를 약속한 이유가 사라졌을 대 지키지 말라는 뜻이다),증오심을 유발하지 말것, 양쪽이 아닌 어느 한 쪽을 선택해야 하는 것 등 실용적인 이유가 늘 우선이었다. 왜냐? 정치는 이상으로 만들 수 없는 것을 마키아벨리는 뼈저리 알았기 때문이다.

 

마키아벨리는 시민들로부터 사랑받는 것의 선택은 시민들이 몫이라서 내가 어찌할 수 없는 부분이지만,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것은 내 역량으로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므로 내 역량 밖의 일을 좇기보다 내가 제어하고 통제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라고 말한다.

-본문 중-

 

오늘 <아주 개인적인 군주론>을 읽으면서 왜 읽어야 하는지를 제대로 알았다. 사실, 어떤 사전 이해도 없이 <군주론>을 읽게 되면 납득이 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읽다가 말았는 데 이 책을 보면서 이해가 되니 마키아벨리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 그의 깊은 통찰력에 놀랄 수밖에 없는 도서였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