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둠의 미술 - 무섭고 기괴하며 섬뜩한 시각 자료집
S. 엘리자베스 지음, 박찬원 옮김 / 미술문화 / 2023년 1월
평점 :

도 서: 어둠의 미술
저 자: S. 엘리자베스
출판사: 미술문화
미술 관련 책을 보면서 느끼는 건 예술가들이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 것인지..라는 의문이다. 한 작품을 알고 보는 것과 그냥 볼 때는 '이해'에서 큰 차이가 드러난다. 미술 도서에 관심이 많다보니 이런저런 책을 읽다보니 미술가들이 살면서 눈에 담은 자신의 인생을 화폭에 그려넣었고 때로는 정치와 전쟁을 비롯한 위험한 상황을 묘사하기도 한다. 그래서 대중은 어렵지 않게 당시의 시대 상황을 생각할 수가 있는 데, 난 그렇기 때문에 미술은 글 대신 붓으로 역사를 기록해 놓았다라고 생각을 한다. 그런데 오늘 더 광범위한 세계로 미술을 알게 되는 시간을 가졌다. 그동안 아름답고 관능적이고 탐미스러운 등 인간의 본능과 경외로움을 그려낸 것과 다른 어쩌면 피하고 싶은 어둠을 그려낸 작품들을 만나게 되었다. 여러 작품들을 보면서 성경을 비롯해 독특한 그림을 보기도 했는 데 다른 시각으론 눈에 보이지 않는 허구를 이렇게 세세하게 묘사를 했을까? 라는 의문이 들 수밖에 없는 도서였다.
태초에 어둠이 있었다. 우리는 그 어둠을 두려워했다. 하지만 어둠 속에 홀로 있다는 이유만으로 두려운 것은 아니다. 그래, 꼭 그렇지는 않다. 진정 두려운 것은 우리가 어둠 속에 '홀로' 있지 않아서이다.
-머리말 중-
이번에 만난 <어둠의 미술>은 첫 장 부터 서늘한 작품으로 시작하는 데 단순히, 아름다움의 반대 의미가 아니라 오히려 어둠을 통해 고통과 경이로움, 창작, 인간의 무한한 창작 등 생각지 못한 부분들이 등장한다. 미술가와 소설가를 포함한 예술가들의 작품은 바로 '고통'을 통해 창조된다는 공통점을 보여준다. 인간에게 불필요하다고 생각한 '어둠'이 오히려 한 영혼을 구원(창작에 대해서)하기도 한다는 점을 자각하기도 한다. 예술을 통해서 긍정적 에너지를 발산하기도 하지만 반대로 작용해 세상에 남겨진다는 사실이다. 정신적 고통이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는 건 여러 책을 읽으면서 느꼈지만 이번 책에서 다시 한번 자각한 부분이었다. 뭉크를 비롯해 정신적 고통에서 벗어나려 했던 화가 '레옹 스필리에르트' '뭉크' '프리다 칼로'등 익숙한 이름 뿐만 아니라 낯선 이들도 등장하는 데 사실, 미술가들 보다 작품에 더 놀라기도 했다.
인간의 잔인함과 사악함을 다룬 예술이 의미 있는 건, 전투나 대량 학살, 성폭해 혹은 좀 더 조용한 위법 행위를 투영한 작품이든 아니든, 이 예술작품들이 결국 논리나 이성, 이념과 분석이 해낼 수 없는 방식으로 우리에게 범죄의 동기를 이해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불가해하고 말로 표현하기 힘든 심적 부담감이 너무 커졌을 때 예술에서 의미와 명확함을 구하는 일은 요긴하고 또 위안이 된다.
-본문 중-
책을 읽다보니..이건 미술 도서가 아니라 오히려 철학이 아닌가 했다. 인간이 가장 꺼려하는 어둠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려주고 있으니 말이다. 아래 작품은 <오스카 츠빈처의 비탄> 그림으로 남겨진자의 감정을 너무나도 선명하게 보여준다. 바위 자체만으로 무거운데 이걸 또 누르다니....도저히 일어날 수 없을 거 같은 '감정'을 잘 표현해서 페이지를 본 순간 '헉'하고 숨이 멈춰졌다. 어떤 설명도 필요 없이 ... 말이다. 또한, '비탄의 바위' 보면서 느껴지는 건 인간의 고통을 절실히 드러났다는 사실이다. 책을 읽기 전까지 그동안 봐왔던 것과 다른 것이라는 생각만 했었는 데 이건 짧은 생각이었다. 또한 동물을 통해 인간사를 비판하기도 하듯이 여러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미술가들은 동물을 탐구하여 작품을 소개하기도 하는 반면 , 더 나아가 각 나라마다 동물이 상징하는 의미도 만들어졌다. 신화와 민화에서 죽음을 비롯해 두려움과 공경을 받기도 하고 이어 어둠과 이어지면서 예술가들의 상상력은 점점 커지게 되었다.

한 편의 소설 같은 작품들...보고만 있으면 머리속에서 있지도 않는 소설의 내용이 만들어질 정도로 생생한 색채와 묘사에 빠지게 되는 <어둠의 미술>.조금 더 꼼꼼하게 읽어봐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