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을 견디는 기쁨 - 힘든 시절에 벗에게 보내는 편지
헤르만 헤세 지음, 유혜자 옮김 / 문예춘추사 / 202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도 서: 삶을 견디는 기쁨

저 자 : 헤르만 헤세

출판사: 문예춘추사

 

헤르만 헤세의 작품을 읽을 때면 뭔가 묘한 느낌을 받는다. 정확히 무엇이다 라고 전달을 못하겠는데(아마도 작가의 작품을 100% 이해가 안되서 그런듯하다) 나에겐 이성보다는 감성을 먼저 알게 하는 작가라는 점이다. 소설을 비롯해 미술을 포함한 예술가를 알기 전 그들의 작품을 보면 '그들의 작품'만 이해하게 되는 데 읽기 전 작가에 대해 알게 되면 결과물에 대해 누구나 더 넓은 시야로 바라보고 이해를 하게 된다. 헤르만 헤세는 워낙 유명하고 알려진 작가이고 [데미안] [싯다르타][클링조어의 마지막 여름]등 소설 뿐만 아니라 산문으로도 많은 책이 출간이 되었다. 그동안 작품을 먼저 읽다보니 난해하고 어렵기도 했었는 데 대중매체를 통해 삶과 철학을 알게 되니 작가의 작품도 같이 이해가 되었다. 그렇기에 오늘 만난 <삶을 견디는 기쁨>을 읽을 때면 그가 겪었을 심적인 고통과 비난, 괴로움을 간접적으로 느끼며, 그럼에도 살아야 한다는 것, 고통이 고통만 괴로움만 주는 게 아니라 행복과 같이 삶을 지탱해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책은 총 세 가지 큰 주제로 분류되고 다시 한번 세세한 내용으로 나뉘어지는 데 시와 산문이 섞어있으며 때론 단편 소설 같은 글들로 인해 이 세상이 어떤 모습인지를 보여준다. 작가로서 젊은이들에게 비난과 비판을 받는 편지를 받기도 했었는 데 이런 상황은 누구나 쉽게 떨쳐낼 수 없는 순간이다. 하지만, 글을 읽다보면 헤르만 헤세가 느끼는 모든 감정들은 그럼에도 그 시간을 이겨내야 한다는 걸 말한다. 여기서, 자신의(헤르만 헤세) 인생이 그리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고 하지만 또한 불행했던 것 같지도 않다는 문장은 인간이 불행한 날만 오래 기억하기 때문이라 말한다. 억지스러운 표현일 수도 있지만 타인에게 가장 불행한 순간이 언제냐고 질문하면 아마 바로 언제라고 하겠지만 행복한 기억을 물어보면 생각을 하게 된다는 것.

 


오늘 내가 조금이라도 나가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내일이마 모레쯤은 지금 내가 있는 오늘의 이 순간에도 기억하지 못하고 지나갔던 숱한 날들처럼 심연을 알 수 없는 나락 속으로 사라져 버릴 것이다.

 

 

사람들은 인생이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질 때에는 자신이 총을 가지고 있지 않음을 후회한다. 분노,고통,그리고 불만이 최고조에 다다라 모든 것에 대적하려고만 한다. 인간, 동물,험악한 날씨, 신 그리고 누군가 읽고 있는 책 그리고 입고 있는 옷에게까지 거부감을 나타내며 맞서려고 한다. 그러나 그런 분노,불안, 불만과 증오는 대상에 해소되지 않으며, 그런 모든 사물에 가서 꽂히지 않은 채 내게로 다시 돌아온다





조건없는 행복이란 있을 수 있을까? 절망이 은총으로 바뀌는 삶을 체험했다는 헤세의 문장을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건 심리학을 바탕으로 둔 것인데 헤세는 대문호 작가들이 심리분석이 주는 교육적이며 자극적인 힘은 예술가들에게 강하게 작용하는 것을 말했을 때, 난 그들의 글을 읽고 타인들은 생각을 하고 무의식에 존재하는 다른 존재를 끄집어내어 삶을 살아가게 하는 거였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참 조곤조곤하게 헤세는 삶에 대한 고통을 표현하고 살아가라고 전달한다. 인내는 사람에게 가장 어려운 고행이라고 하면서도 유일하게 배울 가치가 있는 일이라고 할 때, 그저 이론적으로 전달하는 게 아니라 마음속에서 우려나는 문장이란 걸 느낀다. 전쟁, 부모님의 죽음 등 사는 동안 평탄하지 않았지만 그 안에서 저자는 빛을 보고 살았던 것을 그저 느껴지는 부분이다.

 

때론 더 직설적으로 고통을 표현하기를 바랐지만 <삶을 견디는 기쁨>은 그렇지 않는다. 차분하게 마음을 가라앉혀야만 비로소 글들이 눈에 들어오는 도서라 책장이 쉽게 넘어가지 않았다. 부드럽게 다독이면서도 현실을 제대로 의식하게 하는 문장들로 읽고, 생각하기를 반복하게 한다. 고통을 겪은 자만이 고통이 있는 자에게 전할 수 있는 말들..위로라 할 수도 있고, 용기라고 할 수 있는 조언에 생각을 깊이 해 보게 되는 도서다.

 


우리 인간의 삶이 새나 개미의 삶보다 더 힘든 것은 아니다. 오히려 우리가 더 편하고 수월하게 살아간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삶의 잔혹함과 죽음을 회피할 수 없음을 불평불만하지 말고 그런 절망감을 몸으로 느끼면서 받아들여야 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