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미감
박선영 지음 / 모요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 독일 미감

저 자: 박선영

출판사:모요사

 

독일 하면 관광보단 역사를 떠오르게 한다. 유럽 국가는 대부분 프랑스나 영국 등 여행지가 알려진 나라가 떠오른다. 그런데 독일만을 유난히 애정을 갖고 여행을 한 <독일 미감>을 만나게 되었다. 어떤 내용일까? 어떤 독일을 보여줄까? 궁금하기도 한 도서였다. 책을 펼치고 읽으면서 잔잔하게 흘러가는 문장과 독일의 문학과 예술, 건축 등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었는 데 솔직히 이부분에서 문외한 이다보니 쉽게 다가오지 않았다. 그렇지만, 그동안 생각하고 느꼈던 독일의 모습을 조금은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책은 저자가 직접 여행을 하면서 그곳에 거주하는 몇몇 예술가들과 만남을 가지면서 그들의 직업과 문화를 보여주니 이런 모습도 있구나 라는 생각이 자주 들 수밖에 없었다.

 

'새로운 시대에는 합릭적인 산업 생산품도 아름다워야 한다' 는

전제에서 출발한 바우하우스의 기치는 곱씹을수록 더욱 더 디자인의 미덕을 생각하게 한다.

결국은 다시 원점에서 '디자인이란 무엇인가?'를 떠올려 보지 않을 수 없었다.

 

 

그동안 예술가하면 독일을 제외하곤 했었는 데 근대 조각사인 '렘브루크'의 존재는 혹독한 독일의 모습을 달리 볼 수 있게 한 인물이다. 세계대전이 터지면서 야전병원의 위생병으로 근무했지만 전쟁은 그를 가만히 내버려 두지 않고 그의 영혼을 갉아먹었고 결국 스스로 생을 마감하게 되었다. 천재적 재능을 가졌으나 일찍 세상을 떠날 수밖에 없었던 조각가...아마도 그의 작품은 묻힐 수 있었지만 독일은 그의 작품을 모으기 시작했고 결국 렘브루크 미술관을 개관했다고 한다. 이를 보면 최근 '한국 미술사'에 남겨진 미술가들의 이름을 딴 미술관을 보면서 뒤늦게 한국 미술에 관심을 갖게 되어었다. 비록 내가 알지 못하나 '렘브루크' 이름을 기억하게 되었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100년 전 바이마르엔 '바우하우스'는 많은 예술가들일 공부할 수 있도록 지어진 곳이다.



저자의 발걸음을 따라 움직일 때마다 독일이 이런 모습이었나? 저자가 향하던 한 미술관은 버스를 타고 한적한 곳에 내려야 있던 곳으로 자연과 미술이 하나가 되는 공간을 선보였다. 누군가에게 보여주고 알리기 위한 것이 아닌 그저 발길을 닿는 곳으로 향하는 것처럼 책은 한 사람의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을 보여준다. 저자의 직업이 컬럼니스트라 다양한 시각으로 넓은 분야를 두루 본다는 점이 부러웠다. 미술, 건축, 음악 등 책 속에는 평소 내가 접할 수 없는 공간이 많았다는 것. 또한, 사진으로 보여주는 독일의 모습은 정말 독일답다라는 것!! 왜냐? 화려함도 있지만 첨부된 사진을 보면 군더더기 없는 깔끔함과 실용서(?)이 먼저 다가왔기 때문이다(나만 그럴 수도 있지만..).

 

독일에서 건축가로 살고 있는 한국인 건축가는 전쟁으로 파괴된 교회 폐허 위에 미술관을 세운 쾰른에 거주하고 있다. 남겨진 역사에 무엇을 되새길 것인가...한 건축가가 공모한 이 공모전은 건축이 도시에, 사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려준 모습이었다. 그저 지어진 건물이 아니라 역사를 잊지 않고 새로운 것을 탄생시키는 시민들...그냥 이런 그들의 모습을 보고 있자니 부럽기도 하고 저자가 다녔던 여러 곳을 한 번쯤은 다녀보고 싶은 충동이 느껴진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