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클린 책방은 커피를 팔지 않는다
이지민 지음 / 정은문고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 브루클린 책방은 커피를 팔지 않는다 / 저 자: 이지민 / 출판사: 정은문고

 

눈높이가 남다른 고객들을 만족시키는 건 분명 쉽지 않은 일이겠지만 책방 주인으로서는 그만큼 보람찬 일이기도 하다.

-본문 중-

 

'동네책방'이라는 단어를 들은 지가 언제였을까? 오늘 만난 <브루클른 책방은 커피를 팔지 않는다>는 제목만으로 끌린 도서였다. 코로나 사태 이전에도 동네 책방을 포함한 서점들의 경영난은 평탄치 않았다. 결국, 부도가 나기도 했고 이 여파는 해변에 밀려드는 파도처럼 모든 것을 앗아가 버렸다. 지역 작은 서점을 살린다는 취지로 시작한 도서정가제..현재도 진행 중인데 결과는 글쎄 잘 모르겠다. 오프라인 보다 온라인이 편해진 시대에 쉽게 인터넷을 책을 구입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니 이 제도가 얼마나 큰 효과가 있는지 잘 모르지만 장단점을 늘 같이 따라니니...라는 생각으로 늘 결론을 낼 뿐이다. 그러나 오늘 만난 책은 정말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보여주고 그 지역에서 대형 서점의 분점이 아닌 개인의 독특한 방식만으로 이끌고 있는 책방이다.

 

독립서점이야말로 우리의 과거이자 현재, 미래라고 생각합니다. 책을 사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독립서점이에요. 인터넷서점이나 대형서점도 독자에게 책을 팔지만, 책방에 걸어 들어가 직접 책을 고르고 사람이 골라준 진짜 책을 읽는 경험을 제공해 줄 수는 없어요.

-본문 중-

 

브루클린에 살고 있는 저자는 자녀와 같이 브루클린에 있는 동네 책방을 탐방한다. 가난한 예술가들이 맨해튼에서 살지 못하고 이곳으로 온 것은 경제난 때문이었다. 그 여파로 이곳은 예술가들이 넘쳐나는 공간이 되었다. 저자가 방문한 책방의 공통점은 그 지역 주민들이 단골이라는 사실이다. 코로나 사태가 일어나기 전 책방은 작가들의 강연 장소가 되었고, 아이들을 위한 도서 행사도 운영 했었다. 파워하우스 온 에잇스 책방은 여러 나라의 작가들의 책을 진열하고 소개하는 데 여기서 작고한 토니 모리슨에 대해 조금 알게 되었다. 국내에서도 인지도가 있는 저자인데 백인들 사이에서 흑인으로 산다는 게 어떤 삶인지 그녀의 책을 통해 알려주는 데 이민자들로 모여진 미국에서 인종 차별이 한 세대에 머무르지 않고 다음 세대로 이어진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각인하게 된 부분이었다.




대형 서점과 경쟁을 위해서 독립 서점의 특별한 것을 일궈낸 사람들...아마존을 통해 쉽게 책을 구매할 수 있음에도 손님들은 이곳을 찾아가는 데 그건 그 공간에서 자신에게 맞는 책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엔 권장도서 목록을 쉽게 볼 수 있는 데 미국에서는 딱 권장도서가 없어 그럴 수도 있지만 방문하는 수고스러움 속에 자신을 좀 더 알아보는 시간을 갖는게 아닐까 싶다. 커뮤니티 북스토어는 50주년을 맞이한 책방으로 작가를 초대해 오프라인 행사를 종종 진행 했었다. 이제는 온라인으로 주로 운영을 하게 되었지만 여전히 건사하다는 것. 코로나로 문을 닫아야 했던 그때 기존 고객들은 웹사이트을 통해 주문을 해주었다는 점만 보더라도 이곳이 사람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느끼게 된다.

 

고객들이 계속해서 저희 서점을 찾는 이유는 직원들을 믿기 때문이죠. 직원들은 고객들이 어떠한 책에 관심이 있는지 알아내려고 많이 노력하는 편이에요.

-본문 중-

 

또한 독립 서점인데 지점까지 낸 맥널리 잭슨 책방은 책 판매가 목적이 아니라 이곳을 방문한 모든 사람들이 다시 방문하도록 좋은 경험을 선사하는 일에 더 집중을 두었다. 대형 서점도 아닌데 지점까지 냈다는 점에 놀라웠고, 더 나아가 서점의 분위기는 각 지점마다 다르다. 오로지 책에만 집중하는 서점들...그리고 여기에 헌책방이 빠질 수가 없다. 한동안 헌책방에 빠져 다닌 적도 있었는 데 당시, 방문하면 누구에게나 종이컵에 커피 한잔을 주었던 사장님이셨다. 낡은 책을 본 느낌은 '책을 보면서 시간을 느낀다'였다. 저자가 방문한 북 서그 네이션 헌책방은 네 명의 서적상이 모여서 운영하는 것이다. 저자을 초청해 낭독과 질문답변을 하기도 했었는데 중요한 건 사람들을 끌어모으기 위한 행사가 아닌 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시도한다는 점이다. 여기에, 초판본과 희귀본 까지 취급하니 누군가에겐 헌 책방은 보물창고라 할 수 있겠다.

 

헌책이 주는 위로가 있다. 색은 바래도 한 귀퉁이는 접혀 있으며 누군가의 낙서로 가득하지만 아직 쓰임새가 있음을 알려준다.책에 난 그 같은 상흔은 상처가 아니다.

-본문 중-

 

오로지 책에 집중을 할 수 있는 공간들....그러나, 책방과 같이 커피를 판매한 서점도 있다는 것!! 그런데 두 가게의 사연이 비슷하다. 헌책이 점점 늘어나면서 확장을 해야하는 서점과 카페를 더 확장을 해야하는 두 주인이 만나 새롭게 탄생한 베터 리드 댄 데드. 시를 위주로 운영하고, 개인이 주장하고 싶은 내용을 개인자비로 출간한 도서들도 쌓여 있는 곳...판매가 목적이 아닌 것을 확연히 알 수 있다. 이 책을 보면서 좋았던 건 책 속에서 소개 된 책들이다. 이미 만났던 책들도 있고 낯선 책들도 있었는 데 어른 뿐만 아니라 아이에게도 알려주고 싶은 책도 있었다. 그리고 한편 국내에도 이런 독립서점이 있을 텐데 제대로 가 본 적이 없는 데 뭐랄까...이 요점에서 난 책을 읽는 사람인가? 아님 좋아하는 사람인가? 라는 의문이 생겼다. 핑계를 대자면 가는 데만 1시간이 넘는 거리이다보니 가는 건 포기, 책 구입은 온라인을 이용했었는 데 오늘 내가 사는 동네에 독립 서점이 있는지 온라인으로 찾아봤는 데 이 자체만으로 설레였고, 책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게 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