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죽이는 사람들 - 영국 최고 법정신의학자의 26년간 현장 기록
리처드 테일러 지음, 공민희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 사람을 죽이는 사람들 / 저 자: 리처드 테일러 / 출판사: RHK

 

무엇보다 이 책은 살인을 저지른 사람의 정신 상태와 그들의 사건을 분석함으로써 재발을 방지하고, 살인자가 되려는 사람이 보이는 조짐을 알아차리는 방법에 대해서도 다룬다.

-본문 중-

 

국내에 프로파일링이 신설 된 게 2000년이다. 그 전에 일어난 잔인한 사건들이 많았지만 제대로 범죄자에 대한 분석을 하지 않았다는 의미다. 그러나, 영국은 범죄자에 대한 분석을 하고 있었는 데 이는 인류 최초로 연쇄 살인마가 태어난 나라이면서 동시에 범죄 예방에 철저하게 한 나라이기 때문이다. 오늘 만난 도서는 법정신의학자로 26년간 현장에서 맡았던 각각의 사건을 알려주고 동시에, 나라에서 어떻게 대처를 하는지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사건도 소개하면서 미흡했던 것도 소개하고 있다. 책을 읽기 전까진 저자가 겪었던 사건 중심과 프로파일링으로 생각을 했었는 데 도서는 더 사건에 더 깊이 들어가면서 왜 범죄자가 되었는지 그리고 그들이 정신병으로 어떤 형벌을 받고 차후의 행적까지 다양한 사례를 알려준다.

 

도서는 총 9부로 나뉘어져 있고, 1부에서 8부까지는 범죄사건을 알려주는 데 여기서 저자는 범죄 프로파일링도 아니고 의사도 아니다. 그는 법정신의학 전문가로 범죄자를 판단하기에 앞서 한 인물이 범죄를 일으키는 것을 평가하는 일을 한다. 생소한 직업으로 국내에서도 있는지 모르겠는 데 한 사건이 재판에 들어가기 앞서 가해자의 정신상태를 파악하고 앞으로 위험성이 있는 지 예측 평가를 하기도 한다. 다르게 본다면 범죄를 일으킨 용의자가 정신병이라는 이유로 형량이 줄어들거나 아님 병동으로 호송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하니 순간 뭔가 싶었다. 그러나, 저자가 미리 적었듯이 살인자가 되려는 자를 예방하려는 게 목표라는 점을 상기하면 이 책을 읽으면서 범죄자들의 행동패턴과 성향 등은 무시할 수 없는 요소다.

 



책에 소개된 사건들은 실제 사건임에도 믿을 수 없는 일들이었다. 성적 살인을 저지른 가해자는 당뇨병과 어릴 적 학대로 살인까지 이어지게 되었는 데 더 황당한 건 몇 건의 살인을 더 저지르기 전에 경찰은 다른 사유로 남자집에 갔었고 그곳에서 분명 죽은 여자를 발견했었다. 하지만, 어떤 가해나 폭력 흔적이 없어 살인사건으로 기소가 되지 않았는 데 훗날 질식사로 죽였음을 밝혀졌다. 그러나, 이미 몇 건의 살인 사건을 저지른 후다. 저자는 이 사건을 두고 정신병원의 정보와 출소 후 치료를 받는 것등 정보가 서로 공유가 안되었기에 오히려 가해자를 길거리에 놓아두었다고 토해낸다. 범죄가 일어나면 먼저 하는 건 정신을 가늠하는 것을 한다. 사이코패스, 소시오패스냐 등 여러 병명이 붙는 데 그 이후의 어떤 방법이 보이지 않으니 그저 주위에 정신이 불안정한 사람들이 있다고만 인식이 된다. 이건 분명 잘못된 방향이다. 인식이 되었으면 정부에서 범죄를 일으키기 전에 먼저 병원에 강제 입원을 시켜 호전되게 해야하지만 본인 의사가 먼저이다보니 퇴원을 하고 싶으면 바로 병원밖을 나갈 수 있는 게 현실이다.

 

책은 정신병과 관련된 사건을 다루는 데 정부(영국)에서 정신병원을 축소하고 시에서도 그렇게 하니 위험함을 알려준다. 특히, 정신 이상 살인사건은 오랫동안 가해자의 치료가 필요한 데 중간에 멈추니 사건 발생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 조현병, 조울증 단어를 익히 들었을 테다. 정신의학에서 정신 질환을 이 두가지로 분류하는 데 이를 구분한 사람이 독일 정신과 전문의이자 근대 정신의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에밀 크레펠린'이다. 정신 질환으로 자살 확률이 높았다고 알았던 게 살인을 저지를 확률로 변한 건 한 순간이다. 저자는 여기서 산후 우울증으로 자신의 아이를 살해한 친척을 알려준다. 이것 역시 심각한 질환으로 여겨지는 데 누군가를 해치기 보단 '자살'이 많다보니 범죄까지 쉽게 이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실제 일어났던 사건이었으며 심지어 남은 딸 마저 훗날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대상자가 우리에게 하는 말의 내용뿐 아니라 그 말을 하는 방식도 살핀다. 인터뷰하는 동안 대상이 어떻게 행동하고 반응하는지 말이다. 우리는 그들이 어떤 모습인지, 어떤 식으로 말하는지 기록한다. 방어적이고 단답형인지, 수다스럽고 개방적인지 본다. 정신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에 자세한 조사가 필수다.

-본문 중-

 

저자의 역할은 사건을 어떤 흐름으로 갈지 방향을 잡아준다. 그렇기에 내린 결론을 두고 훗날 이들에게 치명타가 될 수 있다는 점. 첫 장에 소개된 당뇨를 앓았던 가해자처럼 말이다. 아동 학대와 살해, 연인을 죽인 사람들, 테러범 등 범죄 사건은 어떤 의도를 가진 게 극소수이며 대부분 정신 질환을 바탕으로 두고 있다. 이를 판단하는 게 법정신의학자의 임무라는 것인데 배워도 끝이 없는 직업 같다. <사람을 죽이는 사람들>을 읽으면서 범죄 형태는 여러가지이면서 원한 보단 자신조차 통제 할 수 없는 감정에 이끌린다는 게 무서웠다. 그렇지만 이 책을 보고나서 왠지 주위를 더 민감하게 바라봐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비록, 아무것도 할 수 없어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