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뢰성
요네자와 호노부 지음, 김선영 옮김 / 리드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 흑뢰성 / 저 자: 요네자와 호노부 / 출판사: 리드비

 

아라키 셋쓰노카미 님. 셋쓰노카미 님은 대체 무엇을 그리도 두려워하는 겁니까? 무사의 규칙을 어기고, 오다에게 대항하면서까지, 무엇이 그토록 두려운 겁니까? 간베에, 그것이 궁금합니다. 그 답을 알려 주십시오.

-본문 중-

 

때는 1578년 일본 전국이 혼란스러운 시대로 주군을 모셨던 한 무사가 칼을 들었고, 이를 모반이라고 했다. 왜 그는 이렇게 해야했던 것일까? 책을 읽기 전까진 추리소설로만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책장을 한장한장 넘기면서 추리에 역사 소설이 섞인...아니, 오히려 역사의 한 부분을 읽었다는게 정확하다. 일본 역사를 알았다면 아마 <흑뢰성>을 읽을 때 더 흥미롭게 읽지 않았을까 싶었다. 소설은 오사카만을 아직 제패하지 못한 오다 그리고 대항하는 인물 무라시게 인물을 보여주고 여기에 간베에를 등장시켜 초반부터 무라시게의 싸움은 승리할 수 없음을 말한다. 어쩌다 상황이 이렇게까지 되었을까?

 

성과 요새로 둘러쌓여있는 아리오카 성..그 안에는 언제든 전쟁을 준비하는 무라시게와 부하들이 있지만 누구하나 신뢰할 수 없는 존재들이다. 싸움을 중지하기 위해 간베에는 목숨을 걸고 이곳으로 오게 되지만 설득하지 못하고 결국 지하 감옥에 갇히게 된다. 책은 단시간의 내용을 담은 게 아니라 1년 가까운 시간을 나열하고 있고 그 안에 전쟁을 보여주기도 하는 데 왜 오다에 칼을 들게 되었는 지...무라시게의 생각을 알았을 때 누가 과연 전쟁 속에서 온전한 정신으로 버틸 수가 있을까? 전쟁은 인간을 광기로 만들어버린다. 만약, 광기가 되지 못한다면 그 목숨은 위태로울 뿐이라는 점을 느꼈다.

 



아리오카 성에 간베에가 갇힌 후 이상한 일이 일어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무라시게는 지혜로운자 간베에게 조언을 구하러 간다. 하지만, 그에게 들은 건 이상한 문장일 뿐이지만 이 또한 간베에가 줄 수 있는 최대한의 배려였음을 알 수 있다. 서서히 오다의 군대가 조여올 수록 오사카 성 주위를 지키는 다른 장수들은 대항하기도 전에 쉽게 항복을 해 버린다. 믿었던 이들도 있고 그렇지 않을거라던 사람도 있었지만 상황은 기울어져 갔고 무라시게는 점점 서 있을 공간을 잃어가기 시작한다. 책은 빠른 전개를 보여주지 않기에 다소 지루할 수도 있겠지만 전쟁의 참상과 인간의 잔혹성을 알려준다.

 

사람은 자기가 파멸한다는 미래를 부정하기 위해서라면 아무리 사소한 기적에도 매달린다.

-본문 중-

 

여러 명의 장수들이 등장한다. 어떤 이는 무라시게에게 충성을 보이기 위해 전쟁터에서 목숨을 잃었고, 다른 이는 배신을 서슴치 않았고, 외면을 했다. 마지막 기대를 걸었던 아니 오지 않을거라는 것을 알면서도 무라시게는 마지막 희망을 걸을 수밖에 없던 그 심정에 울컥함만이 자리 잡았다. 하지만, 전쟁보다는 내부 분열로 무너질까 불안했던 것은 나뿐만이 아니었을 테다. 그리고, 이 승리없는 전쟁을 이끌어가야 했던 이유를 알았을 때 과거나 지금이나 앞으로 우리가 알아야 할 점이라는 것. 백성과 신하를 그 누구보다 더 두려워해야 한다는 점을 무라시게는 이미 알고 있었다. 그러나 전쟁을 일으킨 무사들 외에 백성과 병사들은 어떤 생각이었을까? 현재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전쟁을 생각하니 전쟁 그 자체는 변하지 않고 정말 꾸준히도(?) 이어오는 구나 했다.

 

간베에, 주군이 내리는 벌은 사죄로 용서받을 수 있다. 신불의 벌은 기도로 면할 수도 있겠지. 하지만 백성과 가신이 내리는 벌은 누구도 저항할 수 없다. 내가 두려웠던 것은 그것이야. 그래서 모반했다.나는 그저 아라키 가문을 남기려 했을 뿐이다. 무사로 살아남을 방법을 찾았을 뿐이다.

-본문 중-

 

책을 덮고서 긴 시간을 달려온 거 같았다. 결국 무너저 버렸으나 한 사람의 신념을 볼 수 있었고, 또 다른 이의 전략에... 역사에 남겨진 또 다른 이면을 <흑뢰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알게 되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