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으른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 - 미루기의 악순환에서 벗어나고 싶은 당신을 위한 심리 처방 게으른 완벽주의자를 위한 시리즈
헤이든 핀치 지음, 이은정 옮김 / 시크릿하우스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 게으른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 / 저 자: 헤이든 핀치 / 출판사: 시크릿하우스

 

미루는 습관은 대부분의 정신 건강 문제에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본문 중-

 

미루다는 것을 습관이라 생각을 하지 않았다. 잠깐 그 순간이 귀찮고 그냥 아무것도 하기 싫다라는 생각에 했던 행동이 '습관'임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그런데 미룬다는 감정은 생소한 것이 아니다 주위에서 자주 접하는 것이었는 데 저자는 이를 단순히 행동으로 보지 않고 심리학에 연결해서 보여준다. 미루기가 정신 건강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 책에 끌린 것은 사실이다. 누구나 살면서 미루기를 하는 것이라 이렇게까지 생각을 하지 않았었다. 하지만, 오늘 책을 읽으면서 원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고쳐 나가야 하는지를 소개한다. 사실, 미루기가 얼마나 문제가 될까 하겠지만 저자가 만난 사람들을 볼 때면 이런 행동을 무시했다간 인생의 나락까지 간 사례를 볼 수 있었다.

 

저자는 말한다. 미루기는 단순한 게으름이나 노력의 문제가 아니라고. 이는 불안함 마음, 싫증, 따분함을 느끼면서 부정적 감정으로 흘러가는 것을 피하려다 결국 미루려는 충동을 일으키게 된다. 그 순간을 모면하기 위해서 자신도 모르게 회피를 하게 되면 당장은 아니더라도 언젠가는 부메랑 처럼 다시 자신에게 다른 방식으로 돌아오게 된다. 여기서, 저자는 한 번 더 피력을 하는 데 사람은 미루는 패턴이 반복되고 여기에 따라오는 죄책감, 실망감의 강도를 과소평한다고 말이다. 다음에 하면 돼지...하면서도 그 다음엔 다시 미루기를 반복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책은 초반부터 미루기에 대해 어떤 설명을 하기 전에 미루기가 무엇인지? 다음으로 왜 이런 악순환을 끊지 못하는지와 심리적 문제를 알려주고 이 습관을 고치도록 접근법을 알려준다. 인간의 두뇌는 즉각적인 만족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를 멈추는 게 쉽지 않다. 더 나아가 ADHD와 우울증이 미루기와 연관되어 있음을 알려주는 데 전자는 산만하거나 만족 지연 능력이 부족해 발생하고 후자는 활력이 부족한 것으로 설명한다. 실패와 불확실성으로 회피하려는 증상이 미루기가 되면서 그에 따른 두 배의 스트레스가 오면서 심리적 압박은 가중이 된다. 여기에 자존감과 자신감도 등장을 하는 데 둘의 차이는 전자는 자신을 어떤 관점으로 보는 것인지 즉, 자신을 좋게 생각하는지 나쁘게 생각하는지를 말하며 중요한 것은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정말 '미루기' 인데...더 복잡하게 정신 건강까지 들어가니 책을 읽을 수록 심리학을 읽는 거 같았다.

 

그러나 사람의 행동에 있어서 심리학이 빠진 경우가 있던가? 하여튼, 여러 이유로 미루기를 한다는 건 완벽한 타이밍을 노린는 것이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건. 인생에 완벽한 것은 없으니깐. 이미 길들여진 습관을 고치는 건 쉽지가 않으니 과업을 시작하는 불쾌감 보다 끝마쳤을 때 오는 홀가분함(쉽지 않겠지만...)을 상상하는 마음을, 지금 이 순간 미룬다면 앞으로 더 귀찮은 일들이 생길지...생각을 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또, 메모지에 적으면서 미루는 이유가 말도 안되는 이유가 될 수가 있다는 점. 그렇지만 이 모든 것을 집중하기 위해선 체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니 건강함 음식을 섭취하는 것 역시 중요함을 지적한다.

 

고통은 인간으로서 지극히 자연스러운 경험이다.

모두가 고통을 느낀다. 즉 모두가 자기자비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비판하지 않고 관대한 태도로 스스로와 대화하면 부정적인 기분은 줄어들고 동기가 높아진다.

-본문 중-

 

어느 결정을 하지 않는 것도 결정이라는 사실과 살면서 불편한 감정과 후회할지 모르는 상황을 받아들이는 것 역시 배워야함을 알려준다. 미루기의 시작은 바로 불안함과 걱정이기에 저자는 어렵더라도 반드시 이런 감정을 배우라고 강조한다. 나는 이 책을 읽은 후 작은 실천을 했는 데 '만약 지금 안하면 더 불편해진다'라는 생각을 하면서 성공(작은 일이지만)했다. 아주 작은 변화였지만 뭔가 나도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 것은 확실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