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리탑의 살인
치넨 미키토 지음, 김은모 옮김 / 리드비 / 2022년 7월
평점 :

도 서: 유리탑의 살인
저 자: 치텐 미키토/옮김:김은모
출판사: 리드비
내내 자신이 사냥하는 쪽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어쩌면 이 유리탑에서 나는 거대한 사냥꾼을 피해 도망치는 사냥감에 불과한지도 모른다.
작가 데뷔 10주년 기념으로 집필한 <유리탑의 살인> 솔직히, 추리소설이니 하겠지 하면서 책장을 넘겼다. 왜냐? 일본 추리시장은 넓고 다양한 소재가 있어 그 중의 하나겠지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아니 기존에 만난 추리와 다른 분위기를 보여주니 소설도 소설이지만 이 안에 소개된 여러 미스터리 작가나 책을 볼 때면 작가가 오히려 미스터리 마니아가 아닌가? 라는 의구심이 들었다. 그만큼 <유리탑의 살인>에는 많은 추리소설 책이 등장한다는 사실이다. 또한, 표지에서 보여주는 유리탑을 보면서 어떤 내용이 있을지...마치 몽환적인 책표지로 더 기대를 갖기도 했었다.
책은 초반부터 범인인(?) 유마가 전망대에 홀로 갇혀 있고, 여기에 저자는 책이 이미 막을 내렸다고 적어놨기에 독자는 다음 장이 현재 상황이 일어나기 전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치조 유마 그는 누구인가? 처음부터 용의자라고 등장했기에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는가를 생각하면서 읽기 시작했다. 그는 의사로 현재 유리탑을 소유한 코즈시마 타로의 주치의다. 그럼 코즈시마는 누구인가? 생명 공학 박사로 현재 희귀병의 고칠 수 있는 발견할 정도로 의학에 큰 발전을 한 인물이며 동시에 미스터리 마니아다. 그런 그가 어느 날 몇 명의 손님을 유리탑에 초대를 했다. 초대 된 사람은 주치인 유마, 명탐정인(자칭) 아오이 츠키요, 영능력자 유메요미 스이쇼, 소설가 쿠루마 코신, 편집자 사쿄 코스케,형사인 카가미 츠요시 그 외엔 저택에 머무는 메이드와 요리사, 집사다.

그런데 초반부터 유마는 코즈시마를 향한 살인을 염두에 두고 있었는데 그건, 한 제약회사가 발명한 신약에 대해 코즈시마가 사용금지 신청을 해놨기 때문이다. 만약 금지 신청을 취소하면 죽일 이유가 없지만 그렇지 않다면 반드시 그를 죽여서라도 소송을 취소해야만 하는 이유가 충분히 있었다. 하지만, 소송을 취소하지 않는다는 말에 유마는 결국 코즈시마에게 독약으로 그를 사망에 이르게 했다. 자 그럼 이제 유마는 무엇을 해야하나? 타살이 아닌 자연사로 코즈시마의 사망을 만들어야 했다. 그렇게 해서 유마는 코즈시마 방을 밀실로 만들고 모든 이들에게 자연사로 사망했음을 말하려는 순간!! 명탐정인 츠키요로 인해 계획이 어긋나기 시작한다. 반드시 자연사로 해야했는데 걸림돌이 생겨버렸고, 더 나아가 집사와 메이드인 미도카가 시체로 발견 되었다.
유마는 절대 코즈시마 외에 두 사람을 죽이지 않았다. 그렇다면 누가? 왜? 두 사람을 죽인 것일까? 그리고 이제 유마는 누군지 모를 살인자에게 자신의 일까지 죄를 뒤집어 쓰기로 결심하고 사건 추리에 동참하기 시작한다. 츠키요와 형사인 카가미는 현장 사진을 찍어두고 어떻게 밀실에서 세 사람이 사망했는지를 추리하면서 13년 전 한 스키장에서 연쇄살인 사건 장소가 바로 이곳!! 유리탑인 것을 알게 된다. 또한, 몇 년 전 이 저택 근처에서 조난 당한 사람들이 실종된 사건을 들춰내면서 코즈시마와 사망한 두 사람이 혹여 그 사건( 두 사건 모두)과 관련된 인물이 아닌지 의심하기 시작한다. 정말, 이들은 연쇄 살인마였을까?
내 생각에는 아무리 명쾌하게 사건을 해결하는 명탐정도 실상은 자신의 추리력을 발휘할 수 있는 사건이 벌어지기를 그저 기다릴 뿐인 수동적인 존재, 약하디약한 존재야.
책은 유마와 다른 살인자를 찾는 과정을 보여주면서 츠키요와 죽은 코즈시마가 미스터리 매니아라는 점을 내세워 고전 추리소설과 작가들을 사건에 주입시키면서 풀어간다. 대표적으로 엘러리 퀸 , 애거서 크리스틴, 아리스가와 아리스 ,마쓰모토 세이초, 존 딕슨 카, 시마다 소지 등 작가와 책을 알려주는데 이는 모두 츠키요를 통해서다. 그렇다면 츠키요는 어떤 인물인가? 명탐정으로 명성이 자자한데 집착이라고 할 정도로 '명탐정'역할에 열광적인 여성이다. 그녀의 추리로 유마가 저지른 사건까지 밝혀지게 되는데.....독자는 여기서, 절대 책이 완결 되었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 왜냐? 마지막, 반전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저자는 사건의 진실을 독자에게 찾아보라고 하는데 이런 부분 때문에 책과 현실이 살짝 재미있는 혼란이 오기도 했었다. 으흠, 기존에 알던 추리소설과는 다른....여러 추리소설들을 통해 <유리탑의 살인>을 풀어가는 방식이라 해도 될까? 하여튼, 독창적인 흐름에 마지막 부분까지 흥미를 잃지 않고 읽은 도서인 건 확실하다는 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