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의 시대 윌북 클래식 첫사랑 컬렉션
이디스 워튼 지음, 김율희 옮김 / 윌북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 순수의 시대

저 자: 이디스 워튼/옮김:김율희

출판사: 윌북

 

소설 [이선 프롬]을 통해 알게 된 작가로 당시 이 책을 읽을 때 남녀의 사랑이 그저 아름다운 게 아니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준 소설이었다. 오늘 읽은 [순수의 시대] 역시 또 다른 사랑의 모습을 보여주었는 데 책 소개에 앞서 이디스 워튼은 뉴욕에서 태어났지만 유년 시절을 유럽 여러 국가에서 보냈고 결혼 후 상류층의 이목과 작가 사이에서 갈등하다 작가의 길을 선택한 인물이다. 1862년에 태어났으니 당시 여성으로 직업과 명성은 얻기 힘들었을 테고 상류층 사회에 있었다면 분명 부유한 생활을 하면 여생을 보낼 수 있었을 테다. 하지만, 이디스는 작가의 길을 선택함으로 자신의 인생을 살았고 사는 동안 구호활동과 작가로서의 명성을 얻었다.

 

우리가 속한 곳은 바로 이곳이고 여기 찾아온 사람들은 우리 방식을 존중해야 해.

 

그리고 오늘 만난 [순수의 시대]는 왠지 작가의 결혼과 자신이 겪었던 이야기들이 혼합되어 탄생한 것이 아닌가 싶었다. 소설은 뉴랜드 아처라는 젊은이를 통해 당시 사회 관습이 개인의 열정을 무너뜨리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방황하는 남녀의 상황을 알려준다. 1870년 초, 명문가문의 명예가 중요한 그 시점에 아처는 아름다운 메이와 약혼을 한 상태로, 열렬한 사랑은 아니지만 그래도 메이 라면 자신과 어울리고 아내로서 최선의 사람임을 표현한다. 하지만, 이들 앞에 사촌인 엘런이 등장하면서 아처는 자신이 미처 깨닫지 못했던 감정들을 알게 되면서 자신의 본분과(결혼을 해야하는 입장)과 열정 사이에서 방황을 하게 된다.

 

엘런은 미국인이지만 프랑스 남자와 결혼한 여성으로 이혼을 하기 위해 고향으로 도망쳤다. 당시 여성의 이혼은 아무리 남성이 100% 잘못이다 하더라도 여성에게는 흠집이었으며 위자료와 생활비를 전혀 받을 수 없기에 온전히 살려면 자신의 존재 자체를 잊고 살아야 했다. 하지만, 엘런은 누구도 선택하지 못한 이혼을 결심 후 미국으로 돌아왔다. 집안 사람들은 엘런을 다시 프랑스로 보내기 위해 그녀의 마음을 되돌려 보려고 하고 여기에 사촌인 메이는 아처에게 엘런을 부탁하게 된다. 초반, 왜 사람들은 아처에게 엘런을 부탁했을까? 아마 그 누구도 집안의 명예 때문에 강제로 무엇인가를 하기를 꺼려했기 때문이 아닐까? 이렇게 아처가 엘런에게 조언을 하고 몇 번의 만남을 통해 그는 엘런 올렌스키 백작 부인이 주위에 있는 여성과는 다른 자신의 삶에 주체성을 갖고 살아가는 인물임을 알게 되었다.



어쩌면 아처의 삶은 무난하게 주어진 삶을 살아가는 인물이었을 테다. 법률 회사에 다니고 명문가는 아니더라도 뉴랜드 가문 역시 크게 이목을 끌지 않더라도 명성이 있는 집안이다. 여기에, 자연스럽게 밍곳 가문의 자녀와 결혼을 앞두고 있으니 아처가 바라는 인생은 순탄하게 흘러가고 있었다. 하지만, 엘런을 만나게 되면서 자신 안에 있는 또 다른 자유와 열정을 깨닫게 되면서 걷잡을 수 없는 감정에 휩싸이게 된다. 메이와 결혼을 앞두 시점에서 아처는 엘런의 그림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더 나아가 메이를 비롯한 집안 사람들은 아처가 엘런을 향한 감정을 알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여기에, 가문의 명예만 생각하는 사람들은 엘런의 이혼에 대해 그녀를 주홍글씨처럼 생각하지만 겉으로 말하지 않을 뿐 조용히 엘런이 떠나기를 바라고 있는 것을 안 순간..인간의 위선적 모습을 아처는 깨닫게 된다.

 

절대 ……절대 불행해지지 말아요

 

 

아처와 엘런의 선택은 어느 것이 최선 이었을까? 제목인 [순수의 시대]를 보고 책을 읽는 동안 제목과 반대로 위선적인 인물들이 잔뜩 등장했다. 하지만, 책장을 넘길 수록 '순수의 시대'는 아처와 메이 그리고 엘런을 말하는 거 같았다. 결국, 이들은 자신들의 마음을 억누르고 당시 그들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을 택했다. 메이는 약혼자인 아처가 엘런을 향한 마음을 알았지만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어느 귀부인이나 그러하듯이 조용하게 암묵적으로 두 사람을 바라봤는 데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고 살아야 하는 삶, 자신이 아닌 다른 여인을 바라보는 약혼자를 봐야 했던 그녀의 삶 역시 아처와 다르지 않음을 느꼈다. 그저 , 자신의 자리를 지키면서 마음엔 아처와 엘런을 두어야 했던 메이의 삶.

 

소설은 아처와 엘런의 격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대신 고요하게 간절함을 느낄 수 있게 표현했다. 그리고, 세대를 넘어 새로운 세대가 등장하고 기존의 관습에서 벗어난 이들의 모습을 보면서 아처는 여전히 순수하구나...많은 세월이 흘렀음에도 여전히 본인의 의무에 충실한 자신을 보며 무엇을 놓쳤는지 알면서도 그럼에도 묵묵히 그 삶을 받아들이는 아처의 모습이 마지막까지 뇌리에서 떠나지 않았다.

 

젊은이들은 원하는 것을 당연히 얻으리라고 생각하지만 우리는 거의 항상 당연히 얻지 못하리라 생각을 했다는 거야. 궁금한 건 ……이미 그렇게 확신한다면, 과연 심장이 맹렬하게 뛸 수 있을까?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