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수와 풍경의 세계 - 7명의 고전과 7명의 선구
윤철규 지음 / 미진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 산수와 풍경의 세계

저 자: 윤철규

출판사: 미진사

 

미술 작품을 보면서 그동안 접한 것은 대부분 유럽을 비롯한 서양미술이다. 물론, 더 익숙하고 정보(책을 포함한)가 넘쳐나니 더 편안하게 다가갈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한편으론 동양미술도 서양미술 만큼 후세에 남겨질 정도로 실력이 있는 화가와 작품이 있을 텐데 관련 책이나 정보가 많이 없어 아쉬운 마음이 들 뿐이다. 그리고 오늘 새로운 시각으로 미술을 보는 책을 만났는 데 자연을 두고 산수와 풍경이라는 그림 화법(분위기가 달라서)이 다른 그림들을 보게 되었다. 평소 두 단어의 차이를 의식하지 않았는 데 이 책을 보자마자 산수와 풍경의 차이는 무엇일까? 평소 궁금하지도 않았던 질문에 아차 싶었고 나름대로 산수화는 동양을 풍경은 서양이라는 생각만 스쳐지나갔다.

 

저자는 두 그림의 차이를 설명하지만 결국 비슷한 뜻을 담고 있음을 말하고 중국과 유럽의 대표적인 화가 7인의 작품을 대조하면서 동시대는 아니더라도 시간의 흐름에 어떻게 변천이 되었는지를 설명 해 준다. 또한, 워낙 꼼꼼하게 설명을 하니 중국 역사를 자세히 모르다보니 어색하기도 했는 데 이점을 제쳐두고 그냥 어떤 인물이 있었고 그가 어떤 화법으로 그림을 그렸는지 딱! 이정도까지만 습득을 하면서 읽어갔다. 먼저, 산수를 시작으로 본문이 시작이 되는데 산수화의 시작은 언제라고 하기 보단 고대 문학[시경]에서 이들이 식물을 사람에 비유해 탐스러움을 표현한 것이 중국 문학에 영향을 끼치고 위진남북조 시대 무렵에 산수화가 탄생했다. 이는 눈에 보이는 것만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의 것을 묘사하고 전하려는 것이 바로 '산수화'였고, 서양 고대 문화는 그리스·로마(사실 그리스지만 로마제국으로 이어져 이렇게 부른다)로 시작한다. 중국과 다르게 서양은 인간을 중시했기에 사실적인 묘사가 특기였고 실내 장식용으로 풍경 그림이 다수 그려지기도 했다.

 

종병이 산수의 형상으로 도를 아름답게 할 수 있다고 한 것은 우주의 참된 아름다움이 산수화를 통해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본문 중-

 


산수화가 자연을 넘어 정신을 그리게 된 것은 종병이라는 인물에서 시작되었다. 산을 좋아했으며 중국 최초의 원근법으로 그림을 그렸고, 산이 보이지 않는 정신이 깃든 영적인 것으로 정의했다. 이를 보면 간혹 산수화를 볼 때면 몽환적(최대한의 정확한 표현...)느낌이 들었는 데 아무래도 종병으로 인한 화법 때문이 아닌가 싶었다. 하여튼, 중국은 산수화가 이렇게 변화의 흐름을 탔는 데 '천리강산도'라는 길이가 10미터가 넘는 대작을 그린 '왕희맹'이 등장한다. 그림은 산과 나무, 언덕과 다리, 나루가 있으며 푸른 색상을 넣은 게 독특했다. 여기서 중요한 건 그의 나이가 당시 18세였다는 점으로 북송 마지막 황제 휘송이 왕희맹의 진가를 알아보게 되면서 알려진 인물이다. 그런데, 정말 책에서만 보더라도 이런 그림을 어떻게 그렸을까 하고 놀라 정도인데 저자는 당시 시대의 묘사 수준이 어디까지 도달했는지를 알려주는 그림이라고 설명을 한다.

 

이에, 반해 서양의 풍경은 시도서(성경속 내용을 그림으로 그린 것)로 시작 되었다. 문맹이 많던 당시 글 보다는 그림으로 시민들에게 성경을 알려 주는 게 흔했기 때문에 시도서는 월력을 작성하면서 기념일을 표시하게 되었고 여기에 삽화를 넣은게 시초였다. 월력도의 역할이 생각보다 크게 작용하면서 풍경화의 공간과 깊이 그리고 통일감도 서서히 발전되었다. 그림을 배우다 보면 중국에서도 마찬가지로 원근법과 데생이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는 데 산수화와 다르게 서양의 풍경은 지금의 풍경을 의미하는 게 아니었다. '지역 내지는 땅을 가리키는 말'에 가까웠던 '풍경'은 계약서에 사용된 단어였다. 어찌되었든 누군가는 지역이 보이는 그림을 그려야 했고 그가 바로 '알브레히트 뒤러'다. 당시 주어진 일 외에 마을과 나무숲을 묘사했는 데 그가 남긴 풍경 데생은 수백 점이나 그렸지만 남에게 보여주는 일이 없어서 후세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점에 너무 늦은 화법에 아쉬움을 느꼈다.

 

산수화와 풍경화가 어떻게 다른데?

-본문 중-

 

중국은 곤륜산이라는 존재를 만들어 신선을 만들었고 불교 역시 산수화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 서양 역시 서서히 풍경화를 그리는 화법이 달라지고 시민들과 귀족을 포함한 그림도 등장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표현법으로 이상적인 풍경으로 서서히 드러나기도 했었다. 분명 이들이 바라본 것은 다른 세계도 아닌 같은 공간이지만 바라보는 시각이 달랐다. 근래에 그림 관련 책을 보면서 미술 작품을 보면 볼 수록 작품을 통해 작가의 생각(아마도..)을 조금씩 알게 되었다. 요컨대 , 보여주는 시각적 그림에서 머무르지 않고 더 깊이 고민을 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렇기에 [산수와 풍경의 세계]는 다른 표현법 뿐만 아니라 당시 시대상과 문화를 고스란히 만날 수 있는 도서라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