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말의 탄생 - 서양 문화로 읽는 매혹적인 꽃 이야기 일인칭 5
샐리 쿨타드 지음, 박민정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 꽃말의 탄생

저 자: 샐리 쿨타드 /옮김이: 박민정

출판사: 동양북스

 

꽃들은 대부분 자연 속의 다른 것들, 일상적인 물건들을 닮았을 때 그것과 관련된 의미를 새로이 얻습니다.

-본문 중-

 

꽃말의 뜻을 들을 때면 왜 그런 의미가 생겼을지..종종 의문이 든다. 결국 인간에 의해 의미가 부여 된 것이지만 상징적으로 사용되는 꽃말은 언어 대신 상황을 전달하는 용도로 이용되기도 했었다. 오늘 만난 [꽃말의 탄생]은 꽃의 어원의 탄생과 의미 그리고 그 꽃의 사용에 설명을 하고 있다. 책에 소개 된 식물들은 대부분 주위에서 보는 것이 많았고 생소한 건 몇 개 되지 않았다. 하지만, 중요한 건 아무리 흔하게 봤던 것이라도 당시 그 꽃이 사람들에게 어떤 의미와 도움을 주었는 지를 책을 읽고서 알게 되었다. 하긴, 현대는 꽃을 키우기만 할 뿐 굳이 꽃말과 약용으로 사용하지 않으니 당연할 수밖에 없다.

 

자연은 인류가 정착하기도 전에 필요한 것을 주었고 이를 아는 사람들은 식물들을 활용해 인간사에 큰 역할을 톡톡하게 해냈다. 책은 단순히 꽃말의 뜻만 알려준 게 아니라 꽃이 가진 성분을 알려주면서 어떻게 쓰여졌는지도 알려준다. 때론 독이 되기도 하고 반대로 약이 되는 종류들...그러나 제대로 아는 사람이 없었으니 약이지만 독이 되는 경우도 있었다. 첫 꽃은 미나리아재비라는 노란 꽃으로 각 나라마다 이름이 다르게 쓰여졌지만 '젖소가 먹은 탓에 우유가 크림색을 띠게 되었다'라는 의미로 통한다. 아일랜드에서 열리는 5월 봄 축제에서 아주 중요한 꽃으로 쓰이는 미나리아재비는 독성이 있는 데 사람을 해칠 수 있을 정도로 강해 여러 형태(?)로 사용 되었다. 어원은 뭔가 평번한데 성분은 참으로 무서운 식물이다.




여기서 식물의 사용법은 근접 거리 지역이 아니었어도 어디에 사용 가능한지 당시 사람들은 알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생명력이 질긴 것으로 유명한 '민들레'는 약초로 쓰여졌는 데 빅토리아 시대 아일랜드에서 심장 질환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잎을 씹었는 데 멀리 떨어진 아메리카 대륙의 메스콰키족에서 같은 이유로 민들레를 씹었다고 한다. 이를 보면 식물의 효능은 특정 지역에서만 자라는 게 아니라면 누군가는 반드시 알고 있는 것을 다시 한번 자각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문학 작품에도 쓰여졌는 데 단순히 꽃의 아름다움이 아닌 꽃말의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는 데, 작가 중엔 세익스피어도 있었다. 소설을 읽다보면 간혹 직접적인 표현 보다는 은유적으로 전달하기도 하는 데 그동안 꽃말을 몰랐으니 이해하지 못한 대사를 책을 보면서 알게 되었다.

 

사회에 문학과 약초로 사용 되고 또 심신의 안정을 주니 정말 인간사에 없어서는 안되는 식물이다. 하지만, 앞서 적었듯이 제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아무리 약이라도 독약이 될 수밖에 없는 현실이 당시의 모습이었다. '디키탈리스' 꽃은 주위에서 흔히 봤던 꽃인데 현재는 심장 질환에 도움이 주는 것인데 13세기엔 무분별하게 조제약으로 쓰여졌다. 그 안에는 간질 발작으로 병원에 입원한 반 고흐가 있었다. 제대로 된 처방이 아니니 효과는 전혀 없었고 오히려 부작용으로 인해 색에 대한 지각이 바뀌게 되었는 데 바로 고흐 하면 떠오르는 '노란색'이 그 결과라고 한다. 이 외에, 치유와 재생을 상징한 수레국화가 20세기 초 나치의 비밀스러운 상징이 되었고, 여성의 질병과 임신을 위해 쓰였던 캐모마일, 기억력을 향상 시켜주는 로즈메리, 배앓이에 듣는 약으로 쓰인 에델바이스 등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단순히 꽃말의 어원을 보는 것으로 생각했는 데 도서는 어원을 비롯해 그 꽃의 약효도 알려주니 의약이 없던 시대에 아주 중요하게 사용 된 것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