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문법 사전 - English Grammar Dictionary
김정호 지음 / 바른영어사(주) / 2022년 6월
평점 :

도 서: 영문법 사전
저 자: 김정호
출판사: 바른영어사
'좋은 말'과 '좋은 글'은 그냥 탄생하는 것이 아니라 '명문의 구조'를 익히고 이를 '창의적으로 모방'하여야 하는 것 이며, 이때 재창조의 기제가 되는 것이 바로 체계화된 영문법일 것 입니다.
-본문 중-
언어를 공부 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 나라의 문법을 먼저 익히는 것이다. 물론, 현지에서 익히는 경우 문법보다 회화가 먼저 일 수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문장의 순서를 알아야 만들 수 있으니 꼭 기초문법이라고 학습을 해야한다. 오늘 바른 영어사에서 출간된 [영문법 사전]은 기존의 다른 문법서과 다르게 꼼꼼한 설명과 예시 그리고 기초문제가 있어 공부 후 복습을 할 수 있게 해 놓았다. 요즘 영문법 책은 다양한 도서가 있는 데 바른 영어사에서 출간 된 도서는 1학년에서 6학년 까지 원어민들이 학습하는 교재를 최대한 반영해서 실려 놓은 책이다. 예전, 영·미권에는 국어수업(모국어)이 있지만 국내와는 전혀 다른 방식이란 것을 알았고, 이 문법 책 역시 그렇다는 점을 저자는 소개한다.
하여튼, 영어든 다른 외국어든 시작은 무조건 문법을 시작해야하는 점이다. [영문법 사전]은 품사별로 구분되어 설명을 하는 데 단어와 문장들을 곁들였고 마지막엔 기초문제를 해 놓았다. 그런데, 이 문제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앞서 적었듯이 영·미권에서 가르치는 방식은 국내 국어수업과 다르게 학년 별로 영문법을 가르치는 데 우리는 몇 달만에(학원에 다니든 인터넷 강의를 듣든) 끝마쳐야 하니 힘들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다. 그러니, 처음부터 완전히 알고 가야 한다는 생각을 접어두고 전체 흐름을 이해하고 복습을 하면서 실력을 쌓아가는 것도 좋을 거 같다.

또한, 책은 시작하기 앞서 목차와 책 활용법을 안내하는 데 페이지가 20장이 넘는 데 모든 문장을 다 아는 게 아니기에 공부하면서 막히는 부분은 이 부분을 활용하면서 하면 좋을 거 같다. 영어의 시작은 '동사'다. 한국말은 끝까지 들어야 하지만 영어는 주어 다음 동사로 파악이 되기에 동사의 형태가 중요한다. 이 형태로 과거형인지 미래형 또는 현재인지를 구분하고 이에 맞는 단어들의 조합으로 문장이 만들어진다. 그런데 동사는 또 동사 혼자서만 의미를 담지 않고 전치사와 같이 사용하면서 다른 뜻을 나타내기도 하니 책에 소개된 전치사를 동반한 동사를 다시 한번 각인하게 되었다.
동사에 이어 명사, 대명사,전치사,형용사 , 부사 등 필요한 문법을 순서대로 설명 하는 데 책의 분량이 워낙 많다보니 한 품사만 공부하더라도 몇 시간이 걸릴 거 같다. 이미 문법 공부를 익숙하게 했음에도(지금은 기억이 가물거리지만) 읽기만 하는 데도 집중이 필요했으니 말이다. 그래서 책을 공부한다는 마음 보다는 전체적 흐름을 보는 식으로 읽어 내려갔다. 문득, 이렇게 시간이 지나갔는 데도 영어가 포기 되지 않는 건 아무래도...목표가 이뤄지지 않아서 일거다. 언어를 배우는 것을 좋아하기도 하지만 원서를 읽는 데 최종 목표인데....여전히 도달하지 못했다. 그러니 [영문법 사전]을 봤을 때 얼마나 반가웠는지....올 하반기는 우선 이 책을 완독 하는 것으로 목표로 삼고 공부를 시작하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