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해석 - 헤르만 헤세 인생론
헤르만 헤세 지음, 배명자 옮김 / 반니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 인생의 해석

저 자: 헤르만 헤세

출판사: 반니

 

아주 드물게 일어나는 일이지만, 자기 자신을 제삼자의 눈으로 보고 갑자기 문득 어제까지 없었거나 알지 못했던 무언가를 알아차리는 순간이 있다. 인생에서 결코 잊을 수 없는 그런 순간. 일반적으로 느껴지는 것과 달리 사람은 언제나 같은 사람이 아니고, 깊이 새겨진 영원한 존재가 아니라는 사실을 우리는 살짝 놀라면 갑자기 깨닫는다.

-50p-

 

인생의 어느 시점을 지나고 보면 남은 인생을 비롯해 지난 온 세월을 되새기곤 한다. 오늘 읽은 헤세의 [인생의 해석]은 어린시절부터 죽음까지 한 인간이 느끼는 감정들을 조용하게 담고 있는 데 사실, 헤르만 헤세가 살아온 삶을 고스란히 보여준 에세이다. 전부터 느끼는 거지만 헤세의 작품은 고요하면서 깊이있는 문체가 많아 읽으면서 생각하는 게 많다. 그렇기에 이 책은 그리 두텁지 않았지만 완독하기엔 시간이 걸린 건 사실이다. 또한, 책을 읽고 있으니 저자의 작품이 사뭇 느껴지기도 한다. 많이는 읽지 않았지만 소설은 아닌데 소설 같은 문장을 보기도 했고, 또한 헤세는 시를 쓰기도 했기에 많은 글이 아닌 짧은 문장으로 감정을 보여주기도 했다.

 

책은 어린 시절 친구의 죽음과 어린 동생과 자신의 차이(?)를 알게 되는 순간 자신도 모르게 우월감을 살짝 가지기도 했지만 동시에, 동생의 순진한 마음에 부끄러움을 느끼기도 한다. 더 나아가, 아이들의 교육을 인도하는 길 중 가장 중요한 건 '세계문학'이라 하는 데 이는 그 작품에서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과 추구하는 것을 넓은 시야로 이해하고, 함께 진동할 수 있는 중요한 것임을 강조한다. 우리 역시 고전문학의 필요성을 이와 비슷한 방향으로 선호하지 않는가 . 청소년기는 어느 나라든 과도기를 겪고 있는 데 이에 대한 교육방침은 조심스럽게 접근해도 결국 유년기의 소중한 시간을 빼앗게 됨을 헤세는 안타깝게 바라봤다.




삶을 계속해서 살아간다는 것...헤세는 아버지의 부음을 듣고 바로 집으로 가지 못했다. 한창 혼란스러운 시기에 기차를 몇 번 갈아타서 가야했던 고향...그곳에서는 그는 형제들을 만나고 다시 한번 부모님들이 자신들에게 심어주었던 '믿음'이 여전히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 아버지의 죽음에 대해 헤세는 비로소 죽음이 무엇인지를 느꼈고, 이로 인해 아버지와 자신을 이해하는 시간을 갖기도 했다. 아들에서 아버지가 되어 가는 것...그리고 죽음을 향해 천천히 간다는 건 무서움과 두려운 마음이 들 수밖에 없다.

 

그러나 노년에 대한 회상은 정원 속의 만개한 꽃들로 비유하는 데 전에는 눈에 띄지 않던 돌볼 생각조차 하지 못한 꽃이 피어나며, 인내의 꽃과 교양의 풀이 만개하고, 신중함과 초연해짐을 헤세는 전달한다. 나이가 든다는 건 예전에 생각하지 못한 것을 깨닫기도 하고 성급함 대신 느긋함을 자연스럽게 얻기도 한다. 헤세가 적은 문장을 읽으면서 늙음이, 노년이 결코 어둡다고는 볼 수가 없다. 노화는 자연의 흐름이라는 걸, 우리는 너무 서둘러 앞서거나 자주 뒤처져 자신을 보는 게 아님을 곰곰히 생각해 본다.




노년기에는 고난도 많지만 축복도 많은데, 그중 하나가 바로 문제와 고통 사이에서 두터워지는, 망각과 피로와 체념이라는 보호막이다. 언뜻 보기에 그것이 나태함, 무딤, 추한 무관심일 수 있지만, 그 순간을 조금만 다르게 조명하면 평온,인내,유며,지혜이자 도교의 무위일 수도 있다.

-151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