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왕의 무사 귀인별 1~2 - 전2권
이은소 지음 / 고즈넉이엔티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왕의 무사 귀인별

저 자: 이은소

출판사: 고즈넉이엔티

 

 

내 눈이 그대를 담고 있으니까.

내 마음이 그대를 담고 있으니까.

그대가 내 마음에 들어와 있으니까.

-본문 중-

 

달달하고 이쁜 책을 만났다. 로맨스를 오랫동안 읽었지만 사극 로맨스 보다 현대물을 선호해서 거의 시대물은 읽지를 않았는 데 한 두권씩 읽다보니 사극 로맨스의 매력을 알게 되었다. 오늘 읽은 [왕의 무사 귀인별]은 내용이 자극적이지도 않고 그렇다고 밋밋하지도 않게 흘러간다. 역사의 픽션을 가져왔기에 배경의 한정된 모습을 볼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번 책에서는 연약한 여인이 아닌 오히려 연인(남자)를 보호하는 강한 모습을 보여주어 읽기도 전에 끌리게 되었다. 소설은 임금 익종의 죽음 이후 그 아들마저 죽음을 피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그리고 현재 누군가는 이 임금 자리에 올라 앉아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그렇게 해서 자리에 오른 인물은 이원범.

 

 

그는 누구인가? 익종이 사망하면서 관련된 모든 사람들은 사형과 유배를 떠나게 되었고 그 중 원범의 가족도 포함 되어 있었다. 유일한 형 마저 역도에 휘말려 죽음을 면치 못했다는 것. 홀로 그렇게 유배지인 강화에서 살게 되었다. 몇 년 전 비오는 어느 날 섬에 사람들이 들어왔다. 어린 소년은 겁에 질려 비를 맞기만 할 뿐이었고 누구도 그 소년에게 비를 피하는 것을 주지 않았다. 어린 별이는 그 소년에게 비을 피할 수 있게 갓을 주었고, 그 다음날 소년의 형은 사형을 면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살고 싶지 않았지만 별이는 소년을 끊임없이 챙기고 살아가게 했다. 그렇게 시간이 흐른 후 별이와 소년 원범은 서로에게 중요한 존재였으나 미처 마음을 제대로 확인 하지 못한 채 운명의 신은 이들을 갈라 놓아 버렸다.

 

 

그리고 원범이 떠난 날, 괴인에 의해 별이의 아버지 박시명은 죽었다. 무사였던 아버지였지만 결국 죽음을 피하지 못했고, 별이는 민 상궁(과거 아버지와 같은 궁에 있던 인물)의 제지로 목숨을 건졌다. 하루 한날 사랑하는 사람을 두 명이나 잃은 그 날, 별이는 다짐했다. 아버지의 복수를 하기 위해서...그리고 그렇게 10년이라는 세월이 흘렀고 어느 날 별이 앞에 아버지를 죽인 김좌근의 아들 김병운(사실은 원범)이 나타났다. 그런데 이 남자 너무 허술할 뿐이다. 죽여야 하는 데 자꾸 흔들리는 별이와 자신을 은애하는 것으로 오해한 남자는 어떻게 하면 상처 주지 않게 거절할 것인가를 고민한다.


이원범. 그는 궁에 들어갔지만 꼭두각시였다. 권력에 이성을 잃은 대왕대비는 자식과 손자마저 자신의 손으로 명을 단축 시켜버렸다. 어느 누구도 대왕대비를 대적하거나 거역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원범은 좋은 왕이 되고 싶었다. 백성을 살리는 왕이 되고 싶었다. 그리고 사랑하는 여인의 지아비가 되고 싶었다. 그러나 10년 동안 원범은 그 어느 것도 이룰 수가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여인이 마음에 들어왔다. 원범은 자신의 이름을 김병운이라고 속이고 한 여인을 만났는 데 그녀의 이름은 소성 즉, 별이었다. 그렇게 서로를 그리워 하던 연인은 재회했음에도 전혀 서로를 알아보지 못했다. 서로가 누구인지 모른채 인연을 이어가 던 중 대왕대비의 음모가 무엇인지 드러나고, 별이의 아버지가 왜 죽어야 했는지 아니, 애초 왜 산 깊숙한 곳에서 살아야 했었는 지 숨겨진 이야기가 수면 위로 올라온다

 

 

우리는 이해에 따라 언제든지 칼을 겨누고 상대의 등에 칼을

꽂을 수 있는 사이지요. 이 궁궐에는 사람이 없지요.

마음이 없는 그림자만 있지요. 이 궁궐에 사는 그림자에게는

진심이 없지요.

-본문 중-

 

 

또한 원범의 선한 성정이 사람들을 몰려들게 했는 데 그 안에는 김좌근의 아들 김병운도 있었다. 심복이라고 할 만큼 원범을 따랐고, 왕대비의 아들 강하 그리고 심규가 있었다. 그렇지만 좋은 왕이 되려는 원범의 모습은 나약했고, 대왕대비의 권력은 너무 막강해 두 사람의 모습을 볼 때면 긴장감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더 나아가 별이의 존재를 이미 알고 있었기에 별이에게 위험이 닥치기도 하는 데....만남과 헤어짐을 몇번을 하는지....원범의 성정이 너무 순수해서 독자인 나도 불안감을 들기도 했었지만 이 모습이 이원범의 매력이 아니겠는가 싶다. 또 서로가 누구인지 알았을 때 행복 그리고 두 사람이 앞으로 함께 할 거라는 행복한 미래...하지만, 넘어야 할 산이 많기에 더욱더 곤고해져야 하는 시간이 필요 했다.

 

 

이렇게 유쾌하기도 했고 뭉클함을 주기도 한 [왕의 무사 귀인별]. 조선 땅에서 여인으로 태어나 할 수 있는 게 제한적이라 무예를 익힌 별이의 이미지가 호기심을 자극했고, 여기에 원범과 그의 심복들이 익살스럽고 어른스러운 모습 때문에 책을 읽으면서 웃음을 잃지 않게 한 도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