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미술관 - 그림에 삶을 묻다
김건우 지음 / 어바웃어북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 서: 인생 미술관

저 자: 김건우

출판사:어바웃북

 

자화상은 냇물에 비친 자기 모습에 반한 나르시스의 자기애에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미에서 비롯된 그림이다.

-본문 중-

 

미술은 사람들에게 시각적 뿐만 아니라 감성과 이성에 영향을 끼친다. 예술가들의 삶은 때론 자신이 만든 작품에 투영하기도 하니 작품 설명을 들을 때면 왜 그 작품을 창조하게 되었는지를 알게 된다. 오늘 만난 [인생미술관]은 바로 이런 점을 더 상세하게 알려주는 도서다. 책에서는 낯선 인물과 또는 익숙한 화가들을 소개한다. 또한, 작가의 작품만 간단하게 설명하는 게 아니라 예술가의 생애를 먼저 설명하는 데 첫 줄은 언제 사망했는지를 알려준다. 보통 출생과 고향을 알려주면서 시작하는 책과 달리 인생의 끝자락을 보여주니 이들은 죽기 전 무엇을 남겼을까? 그리고 어떤 삶을 살았는지 궁금증이 생길 수밖에 없다.

 

책은 총 4부로 1. 삶을 짓누르는 중력에 맞서, 2.내 캔버스의 뮤즈는 '나', 3.어둠이 빛을 정의한다 마지막으로 4.'달의 뒷모습' 나뉘어져 있고 그 안에서 세세하게 화가들을 소개한다. 첫 번째 소개하는 화가는 너무나도 유명하고 누구라도 사랑하는 '빈센트 반 고흐'로 대표적인 작품은 해바라기다. 이 외에도 자화상을 그린 작품들이 있는 데 이번 책에서 새롭게 알게 된 다른 작품인 '<구두>와 <술 마시는 사람들> 이다. 고갱과 불화로 멀어지고 병원에 입원하게 되면서 거장들의 그림들을 모작하는 데 열중했다. 첫 장식이 고흐이다보니 삶의 고통에서도 그럼에도 살아가려는 모든 화가들의 생을 생각했다.

 

고흐는 자화상을 그렸고 램브란트 그리고 뭉크도 그렸다. 책을 읽으면서 눈에 띄는 건 바로 이런 '자화상'이었다. 그리고 최초로 그린 화가는 고흐가 아닌 '알브레히트 뒤러'다. 전문적으로 배우기도 전에 자화상을 그렸던 기법은 놀라웠고 더 나아가 브랜드 즉, 자신의 작품에 서명을 남긴 최초의 화가였다. 어릴 적 아버지의 영향으로 금세공 기술을 배워 훗날 동판화를 만드는 데 도움을 주었는 데 이를 보면 예술가의 길은 생각지 못한 영향을 받고 새로운 길을 개척해 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뒤러처럼 기술적인 면이 아닌 삶의 모든 것을 고통으로 밀어넣은 예술가도 있었는 데 가족사의 삶도 너무나도 기구한 '에드바르 뭉크'였다.

 


<절규>는 그의 작품 중 유명한 것인데 왜 이런 그림을 그렸을까? 심리학에서도 여러 화가들의 그림을 빌려와 설명하는 데 단순한 그림이 아닌 화가의 생이 그 안에 투영 되어 있는 것을 알게 되니 그런 작품을 볼 때면 생각이 많아지는 건 당연하다. 엄마와 누나가 결핵으로 사망하고 여동생은 평생 정실환을 겪었고 ,남동생은 결혼 후 돌연 사망을 하는 일을 겪었다. 죽음은 쉽게 잊혀지지 않는 것이지만 그 중 가족의 죽음은 평생을 따라다니는 고통이다. 그리고 뭉크 역시 이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아직 예술이 아름답다는 편견이 있던 19세기의 뭉크의 그림은 고통과 죽음, 병 등 꺼리는 표현들이라 전시도 중단되는 일도 겪어야 했었다.

 

그럼에도 뭉크는 생전에 인지도가 올라가서 다행이었는데 이와 반대로 사망 후 동시대 사람이 아닌 후대 사람들로 인해 다시 알려진 화가가 있는 데 바로 '오노레 도미에'다. 그 시대의 현실적인 모습을 고스란히 담아냈던 도미에는 먹고 살기 위해 어린 나이부터 일을 해야 했었는 데 그 중 예술 작품을 모사하는 일로 미술에 관심을 갖게 된 화가다. 문득, 고흐 역시 힘든 삶이었지만 그럼에도 전시회도 하고 나름 알려지기도 했었는 데 도미에는 전혀 그렇지 않았다. '민중의 눈'역할이라는 도미에의 그림..물론, 의도한 것은 아니었지만...그 시대는 도미에를 그렇게 만들어 갔다.

 

도미에 처럼 풍자같은 느낌이 드는 작품들을 볼 때면 미술은 아름다움이라는 한정적 이미지로 봐서는 안됨을 자각 했다. [인생 미술관]에 소개된 예술가와 작품들을 볼 때면 그림으로만 보는 게 아니라 더 깊이 파고들어 왜 이런 작품을 창조하게 되었는지를 다시 한번 느끼고 생각하게 했다. 뭐랄까...고전소설을 읽으면서 알게 되는 감정들을 [인생 미술관]에서도 느꼈고, 새로 알게 된 작가와 작품들에 대해 재독을 통해 더 알아가고 싶은 도서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